목차
천식(Asthma)의 정의
천식발작의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협력관리
약물요법
간호관리
문제 01 ~ 10
정답 및 해설
천식발작의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합병증
진단검사
협력관리
약물요법
간호관리
문제 01 ~ 10
정답 및 해설
본문내용
다.
간호관리
(1)간호사정
환자가 말을 하고 급성 증상이 없을 시 촉진요인을 확인하고 과거 천식 발작시 완화요인을 포함한 자세한 과거력을 사정한다.
(2)간호진단
①기도개방유지불능
②불안
③지식부족
(3)간호계획
①개인의 최상 PEFR, FEV1 수치의 80%을 유지하는 것
②하루동안 밤낮으로 최소의 증상을 경험하는 것
③허용 가능한 활동 수준 유지
④천식 악화의 재발이 없고 천식발작의 발생률 감소
⑤관리에 참여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갖추는 것
(4)간호수행
①천식의 유발.자극요인 피함
②스카프나 마스크 착용
③아스피린이나 NSAID약물 피함
④비선택적 B차단제 금기
⑤하루 2~3L 수분 섭취
⑥산소투여
⑦지속적인 환자 관찰
⑧환자의 공포감 완화
⑨최대 호기유량 매일 측정
⑩좋은 영양상태 유지
문제
1.천식발작의 위험요인으로 옳은 것은?
가. 꽃가루, 동물의 털, 먼지 등의 알레르기원
나. 담배 연기, 에어로졸 스프레이, 건조한 공기, 극단적인 온도 등의 환경적인 자극
다. 편도선염, 부비동염 등의 호흡기 감염
라. 스트레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2. 기관지 천식의 특징적인 증상 및 징후로 옳은 것은?
가. 가슴의 답답함 나. 천명음
다. 발작적인 기침 라. 진한 객담과 호흡곤란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3. 폐기종과 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73세 노인이 갑작스런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산소공급을 위해 이 환자의 정확한 환기 상태를 알고자 할 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는?
가.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ABG)
나. 흉부 X-ray
다. 폐기능 검사
라. 전혈구 검사(CBC)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4.천식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진단적 검사로서 다른 합병증이 없을 때 필요하지 않은 검사 는?
1)혈액검사상 호산구 증가 확인
2)최대 호기 유속계를 이용한 최대 호기 유속 측정
3)폐기능 검사를 통해 폐쇄성 기도 변화 확인
4)흉부 X선 촬영
5)형철 IgE상승 확인
5. 천식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흉부 X-선 검사로 천식의 확진이 가능하다.
나. 혈액 속에서 호산구의 증가를 확인한다.
다. 최대호기유속(PEFR)의 증가가 나타난다.
라. 폐기능 검사상 잔기량과 FRC의 증가를 나타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상황>
68세 여자인 김씨는 상기도 감염으로 급성 천식 발작이 생겨 병원 응급실을 통해 내과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관련 사정자료는 다음과 같다.
기침을 하며, 황색의 끈적한 객담을 배출한다.
좌호흡
폐기능검사 결과 노력호기량(FEV)감소
ABGA : pH 7.327, PaO2 43.5mmHg, PaCO2 52.3mmHg, O2 saturation 82.1%
약물치료 : Aminophylline 350mg+5%D/W 1000cc IV daily
O2 분당 2리터 흡입
6. 위의 자료를 근거로 선택할 수 있는 간호진단은?
가. 환기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나. 기도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다. 기관지 수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라. 체액부족 위험성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7. 천식환자의 자료로부터 분석한 간호문제이다. 이중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간호문제는?
1)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
2)급성 천식 발작으로 인한 호흡곤란
3)천식환자의 자가 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4)피로로 인한 역할수행 장애
5)호흡곤란으로 인한 운동장애
8. 급성 천식환자의 천식발작 시 응급처치로 사용할 수 있는 약물투여의 예이다. 옳은 것은?
가. Albuterol(Ventolin)흡입 투여
나. Ephedrine 40mg 경구 투여
다. Aminophylline 정맥 투여
라. Cromolyn(Intal) 흡입 투여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9. 천식발작이 있는 환자와 가족을 위한 간호사의 사회.심리간호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환자와 가족에게 함께 있다는 확신을 준다.
나. 발작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를 표현하도록 한다.
다. 환자를 돌보는 태도는 조용하고, 안정되게 한다.
라. 환자의 손 가까이 초인종을 두고 밤에 불을 끄지 않는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10. 병실에 입원한 급성천식발작 환자가 불안해하면서 호흡이 힘들어 보이고 지쳐 있다. 이때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는?
1)병실에 불을 꺼주고 조용하게 해준다.
2)환자에게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한다.
3)독서나 TV시청 등 기분을 전환하도록 한다.
4)간호사가 함께 있다는 확신을 갖도록 돕는다.
5)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정답 및 해설
1. ⑤
위의 보기 모두 천식발작의 위험요인이다.
2. ⑤
위의 보기 모두 천식의 특징적인 증상이나 징후이다.
3. ②
폐의 환기능력을 사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는 동맥혈 가스분석과 폐기능 검사이다.
4. ④
흉부 X선 촬영은 기타 다른 합병증이 없는 한 굳이 할 필요없다.
5. ③
기관지 천식은 합병증이 없는 한 특별히 흉부X-선 검사가 필요없다. 천식일 때 혈중 호산구의 증가, PEFR의 감소, 잔기량과 FRC의 증가가 특징적인 검사소견이다.
6. ①
가→호흡곤란, 기좌호흡, 산소공급
나→황색의 끈적한 객담, 폐 천명음, 기침
다→천명음, FEV감소, ABGA 결과
7. ②
간호의 우선순위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 사회.심리적인 문제의 순으로 정한다.
8. ②
'나’와 ‘라’는 비만세포 안정제이다.
9. ①
간호력을 수집할 때 환자의 호흡이 곤란하지 않도록 질문하여 환자를 지치지 않게 하고, 환자가 피곤해 할 때, 그 외 필요한 정보한 가족으로부터 얻도록 한다.
10. ④
급성천식발작 시 환자는 죽음의 공포를 느낀다.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하고 정서적 지지와 의료진이 그와 함께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관리
(1)간호사정
환자가 말을 하고 급성 증상이 없을 시 촉진요인을 확인하고 과거 천식 발작시 완화요인을 포함한 자세한 과거력을 사정한다.
(2)간호진단
①기도개방유지불능
②불안
③지식부족
(3)간호계획
①개인의 최상 PEFR, FEV1 수치의 80%을 유지하는 것
②하루동안 밤낮으로 최소의 증상을 경험하는 것
③허용 가능한 활동 수준 유지
④천식 악화의 재발이 없고 천식발작의 발생률 감소
⑤관리에 참여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갖추는 것
(4)간호수행
①천식의 유발.자극요인 피함
②스카프나 마스크 착용
③아스피린이나 NSAID약물 피함
④비선택적 B차단제 금기
⑤하루 2~3L 수분 섭취
⑥산소투여
⑦지속적인 환자 관찰
⑧환자의 공포감 완화
⑨최대 호기유량 매일 측정
⑩좋은 영양상태 유지
문제
1.천식발작의 위험요인으로 옳은 것은?
가. 꽃가루, 동물의 털, 먼지 등의 알레르기원
나. 담배 연기, 에어로졸 스프레이, 건조한 공기, 극단적인 온도 등의 환경적인 자극
다. 편도선염, 부비동염 등의 호흡기 감염
라. 스트레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2. 기관지 천식의 특징적인 증상 및 징후로 옳은 것은?
가. 가슴의 답답함 나. 천명음
다. 발작적인 기침 라. 진한 객담과 호흡곤란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3. 폐기종과 천식의 기왕력이 있는 73세 노인이 갑작스런 호흡곤란으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산소공급을 위해 이 환자의 정확한 환기 상태를 알고자 할 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는?
가.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ABG)
나. 흉부 X-ray
다. 폐기능 검사
라. 전혈구 검사(CBC)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4.천식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진단적 검사로서 다른 합병증이 없을 때 필요하지 않은 검사 는?
1)혈액검사상 호산구 증가 확인
2)최대 호기 유속계를 이용한 최대 호기 유속 측정
3)폐기능 검사를 통해 폐쇄성 기도 변화 확인
4)흉부 X선 촬영
5)형철 IgE상승 확인
5. 천식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흉부 X-선 검사로 천식의 확진이 가능하다.
나. 혈액 속에서 호산구의 증가를 확인한다.
다. 최대호기유속(PEFR)의 증가가 나타난다.
라. 폐기능 검사상 잔기량과 FRC의 증가를 나타난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상황>
68세 여자인 김씨는 상기도 감염으로 급성 천식 발작이 생겨 병원 응급실을 통해 내과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관련 사정자료는 다음과 같다.
기침을 하며, 황색의 끈적한 객담을 배출한다.
좌호흡
폐기능검사 결과 노력호기량(FEV)감소
ABGA : pH 7.327, PaO2 43.5mmHg, PaCO2 52.3mmHg, O2 saturation 82.1%
약물치료 : Aminophylline 350mg+5%D/W 1000cc IV daily
O2 분당 2리터 흡입
6. 위의 자료를 근거로 선택할 수 있는 간호진단은?
가. 환기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나. 기도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다. 기관지 수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라. 체액부족 위험성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7. 천식환자의 자료로부터 분석한 간호문제이다. 이중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간호문제는?
1)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
2)급성 천식 발작으로 인한 호흡곤란
3)천식환자의 자가 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4)피로로 인한 역할수행 장애
5)호흡곤란으로 인한 운동장애
8. 급성 천식환자의 천식발작 시 응급처치로 사용할 수 있는 약물투여의 예이다. 옳은 것은?
가. Albuterol(Ventolin)흡입 투여
나. Ephedrine 40mg 경구 투여
다. Aminophylline 정맥 투여
라. Cromolyn(Intal) 흡입 투여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9. 천식발작이 있는 환자와 가족을 위한 간호사의 사회.심리간호 내용으로 옳은 것은?
가. 환자와 가족에게 함께 있다는 확신을 준다.
나. 발작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를 표현하도록 한다.
다. 환자를 돌보는 태도는 조용하고, 안정되게 한다.
라. 환자의 손 가까이 초인종을 두고 밤에 불을 끄지 않는다.
1)가, 나, 다 2)가, 다 3)나, 라
4)라 5)가, 나, 다, 라
10. 병실에 입원한 급성천식발작 환자가 불안해하면서 호흡이 힘들어 보이고 지쳐 있다. 이때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는?
1)병실에 불을 꺼주고 조용하게 해준다.
2)환자에게 처방된 진정제를 투여한다.
3)독서나 TV시청 등 기분을 전환하도록 한다.
4)간호사가 함께 있다는 확신을 갖도록 돕는다.
5)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정답 및 해설
1. ⑤
위의 보기 모두 천식발작의 위험요인이다.
2. ⑤
위의 보기 모두 천식의 특징적인 증상이나 징후이다.
3. ②
폐의 환기능력을 사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는 동맥혈 가스분석과 폐기능 검사이다.
4. ④
흉부 X선 촬영은 기타 다른 합병증이 없는 한 굳이 할 필요없다.
5. ③
기관지 천식은 합병증이 없는 한 특별히 흉부X-선 검사가 필요없다. 천식일 때 혈중 호산구의 증가, PEFR의 감소, 잔기량과 FRC의 증가가 특징적인 검사소견이다.
6. ①
가→호흡곤란, 기좌호흡, 산소공급
나→황색의 끈적한 객담, 폐 천명음, 기침
다→천명음, FEV감소, ABGA 결과
7. ②
간호의 우선순위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 사회.심리적인 문제의 순으로 정한다.
8. ②
'나’와 ‘라’는 비만세포 안정제이다.
9. ①
간호력을 수집할 때 환자의 호흡이 곤란하지 않도록 질문하여 환자를 지치지 않게 하고, 환자가 피곤해 할 때, 그 외 필요한 정보한 가족으로부터 얻도록 한다.
10. ④
급성천식발작 시 환자는 죽음의 공포를 느낀다.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하고 정서적 지지와 의료진이 그와 함께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자료
호흡기내과-천식
천식 이론적 고찰
천식(asthma)
[간호][환자간호]안수술과 백내장수술환자의 간호, 제왕절개수술환자의 간호, 기분장애환자의...
폐렴, 천식 케이스
[간호학]천식
천식(Asthma)의 문헌고찰 및 간호사정
천식성_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종류 비교
천식 케이스 (asthma)
[의학] 간질의 정의, 원인 및 치료
천식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 천식성 기관지염 Asthmatic Bronchitis & 소아 천식 Ped...
[공황장애] 공황장애의 정의와 진단기준 및 임상특성, 공황장애(공황발작)의 원인(생물학적-...
천식의 병태생리와 간호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