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롤리타렘피카의 마케팅 전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아모레퍼시픽 소개
(1) 개요
(2) 연혁
(3) 해외 진출 배경
(4) 해외 진출 전략

2. 시장 현황 분석
(1) 세계 화장품 시장 현황
(2) 주요 브랜드 현황
(3) 프랑스 시장 특성과 진출 배경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성과 분석

7. 최종 결론

본문내용

렘피카가 1997년 출시되었을 때 용기라든가 향수의 향 또는 이미지 등 전반적으로 이전의 향수들과는 다른 차별화를 보여 주었다. 이에 따라 많은 언론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이러한 롤리타 렘피카의 시장 점유율은 해가 갈수록 확대되었다. 프랑스 향수 시장에서는 경쟁이 치열하고 매년 새로운 향수가 나오는 곳이기에 1%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게 되면 성공했다는 평을 듣게 된다. 롤리타 렘피카는 이러한 향수 시장에 첫 선을 보인 1997년 4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프랑스 향수 시장의 1%를 점유하였다. 물론 런칭 후 첫 해가 지난 1998년 초 중반 시기에는 첫해와 다르게 그 점유율이 정체되긴 하였지만 지속적인 마케팅전략을 통해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2004년에는 2.8%의 점유율로 4위를 하는 등 꾸준히 3~5위권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롤리타 렘피카는 향수 사업의 오스카라 불리며 오래된 역사를 지닌 향수분야 최고의 권위 있는 시상 재단인 FIFI로부터 97년에는 프랑스 최우수 여성 향수, 98년에는 유럽 최고 여성 향수로 선정되는 등 각종 상을 휩쓸었다. 1998년 10월에는 미국 향수시장에도 진출하여 미국 최우수 여성 향수로 뽑히기도 하였다. 또한 21세기 통합적 세계시장에서 창조적인 경영과 능동적·적극적 대응으로 각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한 부문에 수여되는 상인 WBA에서 금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롤리타 렘피카 성공은 아모레퍼시픽이 프랑스 외의 EU국가에도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해주었고 프랑스에서 한 전략을 바탕으로 중국진출에서도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피는 등 기존의 프랑스 했던 전략을 적응시켜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게 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7. 최종 결론
향수산업에 있어서 프랑스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확립되어 있고 많은 수요, 최고의 산업하부구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무한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시장이다. 이러한 시장에 롤리타 렘피카가 출시할 때 첫 반응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더욱이 외환 위기 소용돌이에 있던 서울 본사의 지원은 기대할 수도 없었다. 그러나 위기의 순간, 시장의 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8개월 만에 시장점유율 ‘마의 1%’대 벽을 깨며 프랑스 향수시장 진입에 성공한 데 이어 1999년 3월엔 1.4%, 2007년 에는 2%대로 올라섰다. 세계적인 향수인 샤넬의 점유율이 3%대인 점을 고려하면 비약적인 성장이다. 아모레 측은 롤리타 렘피카가 향수의 본고장인 파리 시장에 안착한 것을 발판으로 이제는 세계 시장을 공략한다는 야심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2006년 봄 2번째 향수 제품인 ‘롤리타 렘피카 엘(L)’을 내놓았다. 롤리타 렘피카 엘은 지난해 2∼3월에 파리 프랭탕 백화점에서 한 달간 진행한 프리 런칭 행사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매출(목표대비 180%)을 올려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고 2006년에만 1800만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한편 ‘롤리타렘피카’의 성공은 한·불 경제협력에도 한몫 하고 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대표이사는 2006년 7월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를 받기도 하였다. 롤리타 렘피카의 성공적인 출시를 통해 한·불 양국 간 경제 협력과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2009년에도 롤리타 렘피카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프랑스의 온라인 사이트 중 거의 유일한 랭킹 사이트이고 규모가 큰 코스메티끄 커뮤니티인 보떼 떼스떼에서 이루어진 랭킹에서 보면 1위가 롤리타 렘피카 제품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인기몰이를 할 만한 제품이 출시된 경우가 적고 매출액 증가 대비 비용의 증가도 커져 프랑스 현지 법인의 영업이익은 몇 년째 마이너스인 상태였다. 그러던 중 바로 얼마 전인 2010년 8월 프랑스 법인은 2009년 ‘씨 롤리타’의 발매와 함께 꾸준한 매출 성장에 힘입어 전년대비 18% 성장한 426억 원을 달성하고 2분기 영업이익을 흑자로 전환하였다.
지금까지 롤리타 렘피카의 사례를 통해 아모레퍼시픽이 어떻게 프랑스 시장에 진출 하여 성공하였는지 그리고 현재 상황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롤리타 렘피카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국내 화장품 업체가 이루지 못한 프랑스 화장품 시장 침투에 성공한 유일한 회사가 되었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은 프랑스 시장에서 그 영역이 아직까지 향수에만 국한되어 있고 아모레퍼시픽이라는 국내 브랜드 이름이 아닌 롤리타 렘피카라는 현지 디자이너의 이름으로 진입하였기에 삼성과 같이 본래의 이름을 내고 진입한 국내 기업에 비해서는 그 브랜드 영향력이 적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아모레퍼시픽은 꾸준히 브랜드 영향력을 넓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며 그러한 측면에서 아모레퍼시픽이 ‘DJSI World’ 지수에 편입된 것은 브랜드명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국내 뷰티·헬스 업체 중 최초로 'DJSI World'에 선정된 것이며 프랑스 로레알과 미국 P&G를 따돌리고 월드지수 기업에 오른 것이기에 그 의미가 크지 않나 한다. 또한 시에나밀러가 아모레퍼시픽 쇼핑백을 들고 찍힌 사진이 국내에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는데 이처럼 헐리웃 스타들의 광고 효과는 미국 시장뿐만 아니라 유럽에도 아모레퍼시픽 브랜드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렇게 아모레퍼시픽이 지속적으로 브랜드 이름을 높이면서 동시에 롤리타 렘피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다른 브랜드들의 이미지를 아모레퍼시픽의 제품이라고 점차적으로 알린다면 아모레퍼시픽 또한 로레알, 시세이도 등과 같은 국제적인 명품을 가진 화장품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www.amorepacific.co.kr
www.lolitalempicka.co.kr
www.sulwhasoo.co.kr
www.kcia.or.kr
www.scsk.or.kr
www.seri.org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1.02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