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건강교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건강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세한 조절 운동이 가능해지기 전에 전체적이고 전반적인 근육 운동이 가능해진다. 통합이란 이렇게 분화된 여러 가지 능력이 복합적인 하나의 기능으로 합쳐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어린 아동은 앉을 수 있고, 컵에 눈을 고정할 수 있으며, 컵을 손으로 잡아서 들 수 있고, 컵을 입에 대고 들어 올릴수 있어야 컵으로 물을 마시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앉고, 컵을 손으로 잡아서 들고, 컵을 입에 대고 들어 올리는 능력을 익히는 관정이 분화이고, 분화된 각 능력을 전체적으로 합하여 컵의 물을 마시는 것이 통합이라 할 수 있다.
⑵신체 기관별 성장 유형
아동의 신체 성장은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변화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키. 몸무게, 가슴둘레 등은 일반적인 성장 곡선의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신체 여러 기관과 조직의 성장 속도는 각기 다르다. 신경계(뇌)는 처음 몇 년간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4~5세에 성인의 80~90%에 달하며, 이후는 완만한 성장을 한다. 생식기는 사춘기에 이를 때까지 성장이 매우 느리다. 림프계는 림프절, 흉선, 비장, 편도선, 아데노이드 등을 말하는데, 면역에 중요한 기능한다. 림프 조직은 신체 크기에 비해 작지만, 출생 시에 발달되고 있으며, 6세까지 빠르게 증가하여 성인 수준에 도달한다. 그 이후에도 계속 성장하여 10~12세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여 성인크기의 2배가 된 후, 빠르게 감소하여 청소년기 말에 성인 수준이 된다.
⑶신체 외형의 변화
만1세까지는 급속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신체 성장이 전반적으로 빠르게 진행된다. 머리 크기는 출생 시에 키의 1/4 을 차지하는데, 1년이 되면 몸통이 많이 성장하여 머리 크기는 키의 1/5 이 된다. 또한 얼굴은 처음에 눈 윗부분에 눈 아랫부분보다 넓지만, 턱의 발달로 점차 균형을 이루어간다. 이에 비해 만 2~6세는 이전처럼 급속하지는 않으나 꾸준한 성장을 보이는 시기이다. 2~3세 아동은 몸통에 비해 팔고 다리가 빠르게 성자하여 키가 성인의 1/2에 이르지만, 여전히 땅딸한 배불뚝이 모습을 하고 있다. 18개월이 되면서 피하 지방이 줄어들고, 팔과 다리가 빠르게 자라며, 2세가 되면 가슴둘레가 배 둘레 보다 커져서 배불뚝이 모습에서 벗어나게 된다. 3~6세 아동은 지방이 많은 통통했던 살이 빠지고, 팔과 다리가 빠르게 자라며,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져서 성인과 비슷한 균형 잡힌 외모로 변한다. 이 시기 동안 남아와 여아의 신체 외형은 비슷하여, 머리 모양과 몸의 차이로 성별을 구별하게 된다.
2) 신체 성장지표
⑴몸무게
몸무게는 출생 시 평균3.3kg 정도이며,2.7~4.0kg이면 정상 범위에 속한다. 출생 후 처음 3~4일간 5~10%의 몸무게가 줄어들 수 있으나, 10~14일에 다시 늘어난다. 처음 1년간은 신체가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이며, 특히 전반기 6개월은 몸무게를 비롯한 신체 성장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전반기 6개월은 몸무게를 비롯한 신체 성장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전반기 6개월간 몸무게는 일주일에 150~210g씩 증가한다. 생후 3~6개월에 출생 시 몸무게의 두 배가 되고, 12개월에 세 배가 되며, 2년 6개월이면 네 배가 되어 남아는 평균 12.9kg,여아는 평균12kg이 된다. 4년이 되면 다섯 배가 되어 평균 16.7kg이 되고, 5년이 도면 여섯 배가 되어 평균 18.7kg이 된다.
⑵ 키
키는 출생 시 평균50cm 정도이며,45~55cm이면 정상 범위에 속한다. 키는 처음 1년간 빠르게 성장하여 전반기 6개월간 한 달에 2.5~3cm씩 증가하고, 후반 6개월간 한 달에 1.25cm~1.5cm씩 증가한다. 12개월이 되면 출생 시 키의 50%가 증가하여 75cm 가량 되고, 2세가 되면 85~87cm 정도 된다. 성인이 되었을 때 키는 출생 시 키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으나, 유아기 때 키와는 상관관계가 높아서 유아기 때 키로 성인이 되었을 때의 키를 예측할 수 있다. 즉 2세가 되었을 때 성인기 키의 1/2 정도가 된다. 4세가 되면 출생시 키의 두 배가 되어 100cm 정도가 된다.
⑶머리
머리둘레는 출생 시 평균 33~35cm로, 배 부분 32~37cm의 범위에 있다. 머리는 처음 1년간 빠르게 커져서 처음 6개월까지 머리둘레가 한 달에 1.3cm씩 증가하고, 이후 12개월까지 한 달에 0.6cm씩 증가한다. 머리둘레는 6개월에 43cm 정도가 되고, 12개월에 45~46cm 정도가 되며, 2세에 47~48cm 정도가 되어 성인 머리둘레의 90%가 된다. 영우아기에 머리둘레가 갑자기 커지는 것은 두뇌가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이다. 출생 시 신생아의 골격은 완전히 형성되지 않아서 많은 부분이 연골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신생아가 출생 시 어머니의 좁은 산도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부드러운 막 부분 중 대표적인 것이 대천문과 소천문이다. 대천문은 두정골과 전두골 사이의 막부분이며, 넓이 2~3cm, 길이 3~4cm의 마름모꼴이다. 소천문은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막부분이며,1cm 이하의 역삼각형 모양이다. 동은 출생 후 성장하면서 두개골의 부드러운 막 부분이 차차 딱딱한 뼈로 변해간다. 따라서 천문이 점차 닫혀서 소천문은 6~8주에 닫히고, 대천문은 12~18개월에 닫힌다. 대천문은 울거나 기침할 때 팽창 될 수 있고, 두 개 내압이 상승할 때 팽창될 수 있으며, 탈수 상태일 때 함몰될 수 있다.
⑷가슴과 배
가슴둘레는 출생시 평균 32cm이며, 30~35cm이면 정상 범위에 속한다. 출생 시 가슴둘레는 머리둘레보다 2cm 정도 작으나, 1세 정도에 가슴둘레가 머리둘레와 비슷해지고, 이후 가슴둘레가 머리둘레보다 커진다. 1세 정도에 가슴둘레가 머리둘레와 비슷해지고, 이후 가슴둘레가 머리둘레보다 커진다. 신생아의 가슴은 전후 지름과 좌우 지름이 같은 원통형이나, 영아기에 점차 좌우 지름이 전후 지름좌 커져서 성인의 모습과 비슷해진다. 복부는 원통형의 웅근 모양으오 복부둘레는 음식 섭취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생후1년간 가슴둘레와 비슷하다.
2. 호흡기 구조와 기능
인간은 생존을 위해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

키워드

영유아,   건강,   교육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84페이지
  • 등록일2011.11.04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