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건 사전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일건 사전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 요

❐작 동 원 리
❍솔 레 노 이 드
❍다 이 오 드
❍S C R

❐관 련 이 론

❐부 품 설 명

❐회 로 도

❐시 뮬 레 이 션

본문내용

턴스와 주파수가 클수록 가 작아져서 회로 전류는 증가
(마) 커패시터는 저주파의 신호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하는 데 사용(낮은 주파수 사용)
(바) 커패시터에는 직류가 통과할 수 없다
가) 정상상태의 직류 회로에서는 커패시터 양단의 전위차가 일정하기 때문에 이 되고 따라서
나) 이는 직류를 주파수가 0인 교류로 간주해도 설명된다
에서 f=0이라 하면
이 되기 때문
커패시터의 접속
(1) 직렬접속
(가)
=>
(나)
(다)
=>
(2) 병렬접속
(가)
(나)
=>
인덕턴스
코일이란 동선과 같은 선재를 나선 모양으로 감은 것을 말합니다. 회로기호는 로 표시 하며, 단위로 헨리[H]가 사용 됩니다.선재를 많이 감을수록 코일의 성질이 강해지며 헨리의 값도 커지게 됩니다.코일은 내부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공심으로 하는 것보다 철심에 감거나 코어라 부르는 철분말을 압축, 응고시킨 것에 감는 편이 보다 큰 헨리값이 얻어집니다.
코일은 인덕턴스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와 자기인덕턴스(Self Inductance)가 있습니다.
Inductor의 접속
(1) 직렬연결
(가) Inductor의 구조는 전선을 계속 나선형으로 감아놓은것에 비유할 수 있다. 그래서 Inductor의 직렬연결은 전선을 나선형으로 계속해서 감아놓았다가 잠시 직선으로 연결한 후 다시 나선형으로 계속해서 감는것을 되풀이 한다는 것으로 표현하여도 된다.
(나) n개의 인덕턴스가 직렬접속된 회로(왼쪽)와 하나의 인덕턴스 만으로 구성된 회로(오른쪽)에 같은 전압 가 인가되어 역시 같은 크기의 전류 가 유입된다면 인덕턴스 는 직렬 접속된 n개 인덕턴스에 대한 합성인덕턴스라 할 수 있다.
(다) 왼쪽 그림으로부터
(라) 오른쪽 그림으로부터
(마) 즉 (다), (라)로부터 직렬 합성인덕턴스 는
이 되어 저항을 직렬접속하는 경우와 같다.
(2) 병렬연결
(가) 두 회로에 같은 전압 를 인가해서 역시 같은 전류 가 두 회로에 유입된다면 오른쪽 그림의 인덕턴스 값 는 병렬 접속된 n개 인덕턴스에 대한 합성 인덕턴스가 된다.
(나) 왼쪽 그림으로부터
(다) 오른쪽 그림으로부터
(마) 즉 (다), (라)로부터 병렬 합성인덕턴스 는
이 되어 병렬저항의 합성과 마찬가지로 합성인덕턴스 값이 감소된다.
상호 인덕턴스
상호유도작용에서 1차측 전류의 시간 변동분과 2차측에 유도되는 전압의 비례 계수.
전압의 비례상수. 기호는 M, 단위는 헨리[H]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다른 코일을 가까이 했을 경우, 상호유도작용 (Mutual Induction)에 의해, 접근시킨 코일에 교류전압이 발생하는 특성
이 상호유도작용의 정도[H]의 기준은 어떤 코일에 매초 1A의 비율(1A/s)로 전류가 변화할 때, 다른 쪽의 코일에 1V의 기전력을 유도하는 두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1헨리(H)로 정의한다.
자기 인덕턴스
코일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발생하는 자속의 변화가 자신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것을 자기유도작용이라고 하며, 그 정도를 자기 인덕턴스 (Self Inductance)라 한다.
자기 인덕턴스의 경우는 전류의 변화율이 1A/s일 때 1V의 기전력을 발생하는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1H로 정하고 있다.
<교류에서의 인덕턴스의 작용>
직류전압 - 저항 성분
교류전압 - 저항 성분과 인덕턴스 성분(역기전력 발생 - 전류 흐름 방해)
저항R은 없고 코일의 자체 인덕턴스L만 존재하는 회로에 사인파 전류i
i = √2 I sinωt(A)
υ\' = - LΔi /Δt= - LΔ(√2 I sinωt)/Δt = √2ωLIsin(ωt - π/2) = √2Vsin(ωt - π/2)
유도 기전력υ\'는 전류 i보다 위상 π/2(rad)만큼 위상이 뒤짐
전류i를 계속적으로 흐르게 하려면 이 유도 기전력υ\'를 없앨 수 있는 전압 υ를 인가
υ는 υ\'와 크기는 같고 위상은 반대
υ = -υ\' = - √2Vsin(ωt - π/2) = √2Vsin(ωt + π/2) = √2ωLIsin(ωt + π/2)
전압υ는 전류i보다 π/2(rad)만큼 위상이 앞섬
V = ωLI
ωL은 R과 같은 작용(유도 리액턴스)
단위 : Ω(오옴)
XL = ωL = 2πfL(π : 원주율, f : 주파수)
◎ L만인 회로에서 전압은 전류보다 위상이 π/2(rad)만큼 앞선다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π/2(rad)만큼 뒤진다)
◎ 유도 리액턴스 XL (XL = ωL = 2πfL)은 주파수에 비례하며, 전류량에 반비례한다
◎ 인덕턴스L이 클수록 유도 리액턴스XL도 커진다
<인덕턴스의 접속>
① 전자 결합이 없는 경우 : L=L1+L2[H]
② 전자결합이 있는 경우
-결합접속 : 12차 코일이 만드는 자속의 방향이 정방향이 되는 접속
L=L1+L2+2M[H]
-차동접속 : 12차 코일이 만드는 자속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는 접속
L=L1+L2-2M[H]
코일의 성질
1) 전류의 변화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코일은 코일내의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가 흐를려고 하면 코일은 전류를 흘리지 않으려고 하며, 전류가 감소하면 계속 흘릴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것을 \"렌츠의 법칙\"이라 합니다.(전자유도작용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는 항상 유도작용을 일으키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의 평활회로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교류를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경우, 그대로는 맥류(리플:Ripple)라고 하여 교류성분이 많은 직류이며 완전한 직류가 아닌(플러스의 직류로 정류한 경우 마이너스 전압성분만 없어진) 상태가 되지만 콘덴서와 코일을 조합한 평활회로를 사용하면 코일이 전류의 변화를 저지하려는 작용을 하고, 콘덴서는 입력전압이 0V로 되면 축적한 전기를 그때 방전하기 때문에 안정한 직류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간단한 평활회로에서는 코일 대신에 저항기를 사용하여, 콘덴서의 평활 기능만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원 어뎁터의 대부분이 이렇게 직류전원을 만듭니다.
2) 상호 유도 작용을 합니다.변압기(transformer)에 사
  • 가격3,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11.11.06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