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croup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crou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역학

5. 증상

6. 합병증

7. 진단 및 검사

8. 치료

9. 예방

10. 생활가이드

11. 응급처치

♡ History taking ♡

■ 일반적 사항

■ 입원과 관련된 정보

■ 예방접종

■ 건강력

♡ V/S check ♡

♡ 검사 ♡

♡ Medication ♡

본문내용

적용시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
소아 등은 전신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초기용량은 소량으로 하고 증상을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금기
폐쇄각 또는 전방이 얇아서 안압 상승의 요인이 있는 환자
주의
본제 과민증의 기왕력자, 교감신경 효능약에 과민증 환자, 폐부종환자,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심질환 환자, 당뇨환자, 동맥경화증 환자, 소아, 고령자
부작용
두통, 수지진전, 졸음, 어지러움, 신경과민, 불면증, 발한, 인두염, 비충혈, 식욕부진, 소화불량, 구역, 구토, 심계항진, 맥박증가, 혈압변동 등
★ Budecort 흡입액
성분/함량
Budesonide 500μg
약효분류
기관지확장제(Respiratory Relaxants)
제품성상
1회용의 플라스틱 병에 충진된 균일한 백색-회백색의 분무용 현탁액
효능효과
기관지천식(특히 스테로이드 요법의 다른 치료가 불충분하거나 적절히 않은 경우)
용법용량
소아 : 1회 0.5~1mg(1~2병)을 1일 2회 투여
금기
본제 과민증 환자
주의
폐결핵 환자, 진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기도 감염 환자, 스테로이드 의존성 환자
부작용
인후통, 구강 및 설염, 구갈, 기침, 구강 칸디다증, 쉰목소리, 오심, 두통, 불안, 초조
간호과정
사정
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
s :
" 열이 나는거 같은데 체온좀 재주시겠어요?”
“몸이 뜨끈뜨끈한데요 ”
“애 얼굴이 빨개요”
o :
v/s check
T
38.1
37.7
37.5
37.3
P
147
132
142
R
40
32
37
환자에서 홍조가 나타남
환자가 축늘어짐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1. 3일 내 환자의 고체온 징후나 증상이 없다.(빈맥, 빈호흡, 홍조 띤 피부)
2. 환자의 체온이 3일내 정상 범위에 있다.
(35.8~37℃)
3. 환아의 v/s이 정상범위내 있다.
1. 매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 매 4~6 시간마다 맥박과 호흡을 측정한다.
3. 홍조 띤 피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한다.
4. 환자의 체온 변화를 줄이기 위해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정수준 유지한다.
5. 처방에 의해 해열제를 투여하고 그 효과를 사정한다.
6. 미온수 목욕을 제공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7. 체온조절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8.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조정한다.
1. V/S을 측정하였다.
(T : 2시간마다
P&R: 4~6시간마다)
2. 8시간마다 피부색을 모니터하였다.
3. 실내 온도를 27℃ 로 적절하게 유지하였다.
4. 가습기를 틀어주었다.
5. 처방에 의해 해열제를 투여하였다.
(paren, setopen)
6. 미온수 마사지를 제공하였고 교육도 함께 시켰다.
7. 체온조절의 중요성을 교육시켰다. (고체온시 탈수가 되면 중요한 전해질이 빠져 나가고 호흡과 맥박이 빨라져 호흡에도 문제가 생긴다. 또한 열성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8. 처방에 의해 수액을 공급하였다.
(5%dextrose Naclkcl3)
1. 목표 달성
- 3일 내 빈맥과 빈호흡이 없어졌으며 정상피부색(분홍색)으로 돌아왔다.
2. 목표 달성
- 고체온이 나고 1~2일에는 체온의 변화가 오르락내리락했으나 3일 날에는 정상범위에 있었다.
3. 목표 달성
- 환아의 v/s이 정상범위 내 있었다.
사정
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
s :
"집이 아니라서 그런지 밤에 잠을 안자요”
o :
밤이 되도 환아가 자지 않음
밤에 자꾸 깨고 보챔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 관련된 수면장애
1. 3일 내 환자는 평소 수면시간(12시간)을 취한다.
2. 환자는 수면 부족의 신체적 징후 및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품, 졸려움, 낮에 잠자기(낮잠외에), 보채기 등)
1. 이완요법으로 마사지, 편안한 체위 취하기 등을 해준다.
2. 수면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절한 환경을 조성한다.
3. 익숙한 물건을 가져 올수 있게 한다.
1. 보호자에게 등 마사지를 권유하였고 편안한 체위를 취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2. 커텐 쳐주기, 불꺼주기, 티비 소리 줄이기 등 환아가 충분한 수면을 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해주었다.
3. 집에서 쓰던 이불 등을 가져올 수 있게 하였다.
1. 목표 달성
- 평소 수면시간(12시간)대로 충분히 잠을 잤다.
2. 목표 달성
낮잠 시간외에 낮에 잠을 자지 않았고 하품을 계속하거나 졸려워하거나 보채지 않았다.
사정
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
s :
“ 숨쉬는게 안돼서 그런지 자꾸 깨네요”
o :
밤에 자지 않고 낮에 잠을 잠
수시로 하품을 함
v/s check
T
38.1
37.7
37.5
37.3
P
147
132
142
R
40
32
37
청진시 Rale(나음)
가래 섞인 기침 들림
Total CO2
15mmol/L
분비물 많아 Suction 해줌
분비물로 인한 호흡 곤란과 관련된 수면장애
1. 3일 내 환자는 평소 수면시간(12시간)을 취한다.
2. 환자는 수면 부족의 신체적 징후 및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품, 졸려움, 낮에 잠자기(낮잠외에), 보채기 등)
3. 3일내 분비물이 감소하거나 없다.
4. 3일 내 호흡이 편안해 짐을 보인다.
1. 처방에 의해 진해제, 항히스타민제, 분무시 사용될 약을 제공한다.
2. 자기 전 체위배액과 타진을 격려한다.
3. 자기 전 분무기를 제공한다.
4. 자기 전 가습을 충분히 한다.
5. 자기 전 suction을 해준다.
1. 처방에 의해 약을 제공하였다.
- 진해제
: pebron syr,
muteran syr
- 항히스타민제
: primalan syr
- 분무기 사용시
; bosmin solu,
budecort)
2. 분비물 배액을 위한 적절한 체위와 타진하는 법을 교육하였다.
3. 분무기를 제공하였다.
4. 처방에 의해 가습기를 제공하였다.
5. 자기 전 suction을 해주었다.
1. 목표 달성
- 평소 수면시간(12시간)대로 충분히 잠을 잤다.
2. 목표 달성
- 낮잠 시간외에 낮에 잠을 자지 않았고 하품을 계속하거나 졸려워하거나 보채지 않았다.
3. 목표 달성
- 분비물이 적어져 기침 시 가래 섞인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4. 목표 달성
- 편안히 호흡하는 모습을 보였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11.14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