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줄거리 비교
Ⅱ. 본 론
1. 영화「밀양」과 원작소설「벌레이야기」의 차이점
1) 등장인물
2) 시점
3) 플롯 및 내용
4) 주인공의 심적변화
5) 주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줄거리 비교
Ⅱ. 본 론
1. 영화「밀양」과 원작소설「벌레이야기」의 차이점
1) 등장인물
2) 시점
3) 플롯 및 내용
4) 주인공의 심적변화
5) 주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녀의 앞에서 거울을 들고 있다. 그리고 마당에 내리쬐는 빛은 무언가를 암시하는 듯하다. 앞으로의 희망이랄까.
소설「벌레이야기」에서 작가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존엄성이 짓밟힌 인간을 말하며 그런 의미에서 벌레는 아내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설은 신앙 속 인간감정의 소외를 다루면서 이를 자살이라는 절망적인 모습으로 그려낸다. 그러나 영화는 다시 햇살을 비추며 종찬의 사랑과 함께 좀 더 구원과 희망이라는 주제에 집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구원은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도대체 누가 어떻게 해야 구원이 되는지 의문이 든다. 영화에서 이창동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인생의 희망이나 구원이란 바로 우리가 밟고 있는 이 땅에서부터 찾는 것이 아닌가, 멀리 저 하늘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구원이나 소망이 있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영화에서 신애를 구원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바로 종찬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주인공에게 불행이 닥쳐왔을 때 신에 대한 믿음과 신앙을 가졌지만 그것은 오히려 더 큰 상처를 남긴 반면, 그녀가 무시하고 외면했던 세속적인 밀양 주민들과 종찬은 그런 그녀를 마지막까지 버리지 않고 따뜻하게 감싸준 점에서 구원은 신적인 대상에만 종속되어 있지 않고 인간이 위로 받을 수 있는 것이 현재 이 곳이며 이러한 세속적인 면에 있어 원작과 다른 접근을 시도한 것 같다.
하늘의 이중성을 매개체로 풀어나간 영화 「밀양」은 인간의 삶의 고통을 극한까지 몰고 가며 종교적 힘을 통해 극복하려 하지만 결국 우리 각자가 용서하고 구원받아야 할 인생이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영화와 원작의 차이점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결말이다. 원작에서는 극복하지 못한 채로 끝나지만 영화에서는 종찬과 마주보며 극복의지를 보이며 끝난다. 내가 느낀 전체적인 느낌을 말하자면 소설은 차갑고 영화는 따뜻하다.
Ⅳ. 참고문헌
이청준, 「벌레이야기」, 열림원, 2007.
김영봉, 「숨어계신 하나님」, 서울:IVP, 2008.
김중철, 「소설에서의 영화적 기법」,「소설과 영화」, 서울:푸른사상, 2000.
방민호, 「소설과 영화사이」,「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서울:창작과 비평, 2000.
이승준, 「위안과 화해가능성으로의 환상」, 「이청준 소설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5.
송태현, 소설 「벌레 이야기」에서 영화「밀양」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5, 2008.
소설「벌레이야기」에서 작가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존엄성이 짓밟힌 인간을 말하며 그런 의미에서 벌레는 아내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설은 신앙 속 인간감정의 소외를 다루면서 이를 자살이라는 절망적인 모습으로 그려낸다. 그러나 영화는 다시 햇살을 비추며 종찬의 사랑과 함께 좀 더 구원과 희망이라는 주제에 집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구원은 가능한 것인지, 가능하다면 도대체 누가 어떻게 해야 구원이 되는지 의문이 든다. 영화에서 이창동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인생의 희망이나 구원이란 바로 우리가 밟고 있는 이 땅에서부터 찾는 것이 아닌가, 멀리 저 하늘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구원이나 소망이 있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영화에서 신애를 구원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바로 종찬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주인공에게 불행이 닥쳐왔을 때 신에 대한 믿음과 신앙을 가졌지만 그것은 오히려 더 큰 상처를 남긴 반면, 그녀가 무시하고 외면했던 세속적인 밀양 주민들과 종찬은 그런 그녀를 마지막까지 버리지 않고 따뜻하게 감싸준 점에서 구원은 신적인 대상에만 종속되어 있지 않고 인간이 위로 받을 수 있는 것이 현재 이 곳이며 이러한 세속적인 면에 있어 원작과 다른 접근을 시도한 것 같다.
하늘의 이중성을 매개체로 풀어나간 영화 「밀양」은 인간의 삶의 고통을 극한까지 몰고 가며 종교적 힘을 통해 극복하려 하지만 결국 우리 각자가 용서하고 구원받아야 할 인생이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영화와 원작의 차이점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결말이다. 원작에서는 극복하지 못한 채로 끝나지만 영화에서는 종찬과 마주보며 극복의지를 보이며 끝난다. 내가 느낀 전체적인 느낌을 말하자면 소설은 차갑고 영화는 따뜻하다.
Ⅳ. 참고문헌
이청준, 「벌레이야기」, 열림원, 2007.
김영봉, 「숨어계신 하나님」, 서울:IVP, 2008.
김중철, 「소설에서의 영화적 기법」,「소설과 영화」, 서울:푸른사상, 2000.
방민호, 「소설과 영화사이」,「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서울:창작과 비평, 2000.
이승준, 「위안과 화해가능성으로의 환상」, 「이청준 소설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5.
송태현, 소설 「벌레 이야기」에서 영화「밀양」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5, 2008.
추천자료
■ 카프카의 변신(독후감)
[독후감] 시간은 항상 미래로 흐르는가 - 독서감상문, 서평, 요약
교사용 지도서 수업지도안 분석 및 비평
'변신'을 읽고
한국단편.중편.장편소설 81편 정리
[우수 평가 자료]원점에 서다 독후감-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올리의 그림동화 만들기 (Orly's Draw a Story)
[조직행동론]소림축구를 통해서 본 조직행동연구
광고로 배우는 아이디어발상법 - 기말
[영유아 교수 방법론] 언어, 수학, 사회, 음악, 과학, 동작, 미술교육 관련 교재교구를 영아...
[구전, 구전예언, 구전서사시, 구전소설, 구전광고, 구전커뮤니케이션]구전과 구전예언, 구전...
[인성교육][인성지도][인성][교육]인성교육(인성지도)의 배경, 인성교육(인성지도)의 필요성,...
[우수자료]DEATH 죽음이란 무엇인가 요약 및 서평
영유아 교수방법 각 영역별 해당 교구 조사하기 (언어교육, 사회교육, 수학교육, 음악교육,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