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의적인 접근방법, 즉 크레도 우트 인텔리감을 택한다. 우리는 믿는 존재, 즉 우리의 믿음을 심화시키고 입증하기를 추구하는 존재들이다. 나는 우리가 텍스트라는 거울을 들여다 볼 때 우리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것을 알게 될 수 있다는 믿음을 옹호한다. 첫째로 어거스틴은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을 믿는다. 둘째로 어거스틴은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얻는 이해가 단어들 자체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믿는다. 셋째로 어거스틴은 그의 논문서, 모든 이단설은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문학적 이해의 도덕성과 관련해서 어거스틴은 자신의 최상의 해석학적 덕목, 즉 사랑을 옹호한다. 텍스트는 의미의 보고이다. 만약 독자들이 이 언어적인 그릇들에 담긴 어떤 부요에 대해서 서로 불일치한다면 다시금 어거스틴은 사랑을 추천한다. 기독교 신학에서 중심적인 덕목으로 여기는 믿음과 소망과 사람과 겸손이다. 이 덕목들은 사회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바로 그 덕목들이다. 함께하는 삶은 대개 해석이다. 해석학에서 윤리학에서 황금률은 다른 중요한 이들, 즉 텍스트들, 사람들, 하나님을 사랑과 존경으로 대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해석학[성경 해석,기독교 해석,문법적 해석,역사적 해석]
[성경해석학] 성경해석학 핵심정리 서브노트
성경해석학 총론 2장 해석의 역사
성경해석학 총론 4장 해석자
성경해석학 총론 5장 해석목표
유대인 세계의 성서해석(성경해석), 성서해석(성경해석)의 기본요소와 방법, 설교와 생태신학...
[성서해석][성경해석]성서해석(성경해석)의 영역, 설교를 위한 성서해석(성경해석), 크리스챤...
[성경해석][성서해석]성경해석(성서해석)의 시대별 특징과 요소, 성경해석(성서해석)의 비개...
심상법 교수님 성경해석학 주차별 과제 요약
성경해석학(성경 계시의 구조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