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운 연구 과제물 -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음운 연구 과제물 - 고등 학교 문법 교과서 검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본 론
1. 교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동화
(1) 자음 동화
(2) 구개음화
(3) 모음 동화
(4) 모음 조화(母音調和)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1) 축약
(2) 탈락

4. 첨가
(1) 사잇소리 현상

Ⅲ.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위치에서 ‘T\'로 중화되는 예를 든다.
라 하기도 한다.
국어에서 중화란, 일반 환경에서 대립을 보이던 평음, 경음, 격음이 특정의 중화 환경(즉 휴지나 자음 앞)에서 그 대립이 상실되어 평음으로 실현되는 것을 말한다. 김주필(1997), “고등 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음운론 기술 내용의 몇 가지 문제점”, 영남 국어 교육5.
예를 들면, ㅆ→ㅅ, ㅌ→ㄷ, ㅍ→ㅂ, ㅋㄲ→ㄱ, ㅊ→ㅈ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그런데 마찰음 ㅅ과 ㅆ, 파찰음 ㅈ과 ㅉ, ㅊ은 동일한 상관속이 아닌 ‘ㄷ’으로 실현되는 특성을 보이므로 중화라 할 수 없다. 하지만 국어 학계에서는 중화 개념을 마찰음과 파찰음의 경우에까지 적용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음절의 끝에서 일어나는 음운 현상을 일컫는 말이므로 잘못된 것이 아니며 교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흙→[흑], 흙도→[흑또], 없다→[업따]에서 \'ㄺ\'이 ‘ㄱ’, ‘ㅄ’이 ‘ㅂ’으로 되는 것은 탈락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몫→[목], 값→[갑], 외곬→[외골], 핥지→[할찌], 앉고→[안꼬], 않는→[안는], 얇다→[얄따], 읽지→[익찌], 젊다→[점따], 읊지→[읍찌],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다→[널따], 넓고→[널꼬], 넓지→[널찌], 밟다→[밥따], 밟고→[밥꼬], 밟지→[밥찌]의 예에서 보듯이 ‘ㄳ, ㄺ’이 ‘ㄱ’으로 되는 것, ‘ㄵ, ㄶ\'이 ‘ㄴ’으로 되는 것, ‘ㄼ, ㄽ, ㄾ, ㅀ’이 ‘ㄹ’로 되는 것, ‘ㄻ’이 ‘ㅁ’으로 되는 것, ‘ㅄ, ㄿ’이 ‘ㅂ’으로 되는 것은 모두 탈락현상 이 규칙은 어간과 어미가 통합할 때에, 그 경계에 있는 음운이 탈락하는 음운 과정을 지배하는 규칙이다. 이러한 규칙은 A → / X - Y와 같이 나타낸다.
이며 교체가 아니다.
그러므로 문법 교과서의 탐구 3(67쪽)의 예들은 이 음운의 변동을 설명하기에 부적절하다.
※ 과거에 연음 법칙으로 설명되었던 ‘낫으로[나스로], 흙이[흘기], 없어[업써]’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음운의 변동은 무엇인가?
2. 동화
(1) 자음 동화
음절의 끝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 자음을 닮아서 그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이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자음 동화라고 한다. 대표적인 자음 동화 현상으로는 비음화 와 유음화가 있다. <고등 학교 문법 67쪽>
여기에서 자음 동화는 자음의 자질에 의한 자음의 동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비음운론적 제약이나 특별한 예외 같은 것이 별로 발견되지 않으므로 다른 음운 현상에 비해서 비교적 논란이 많지 않다.
문법 교과서 68쪽의 탐구 활동 2의 예 중, ‘「몇 리」가 어떤 단계로 자음 동화가 일어나는지 설명하여 보자.’고 하면서 그 과정을 3단계로 설정해 놓고 있다. 학생들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이미 배웠기 때문에 이 과정을 생략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몇 리’의 동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제대로 보여 주려면 ‘몇’이 [

키워드

문법,   교과서,   국어,   교체,   동화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1.1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