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 문법교과서 요약 + 이익섭 ․ 채완「국어문법론강의」, 허웅「국어학」비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론 - 문법교과서 요약 + 이익섭 ․ 채완「국어문법론강의」, 허웅「국어학」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등학교 교과서「문법」요약

1. 언어와 국어

2. 말소리

3. 단어

4. 어휘

5. 문장

6. 의미

7. 이야기

8. 국어의 규범

Ⅱ. 이익섭 ․ 채완「국어문법론강의」, 허웅「국어학」비교

1. 형태론적 관점

2. 통사론적 관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루눈\', \'큰 눈\' 등으로 구분. - 다설지역
한국인들은 \'rice\'를 \'모, 벼, 쌀, 밥\'으로 구분. - 농경문화 지역
(2) 언어는 오랜 세월에 걸쳐 가꾸고 다듬어 온 문화적 산물이며, 언어를 도구로 하 여 축적되고 후대에 전승됨으로써 형성, 발전하여 왔다.
국어와 한글
1) 국어의 특질
(1) 음운의 특질
① 국어의 음운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독특한 음운 대립이 있다. 다른 언어의 자 음과는 달리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등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 소리가 서로 대립한다.
② 국어에는 다른 언어에 비해 /ㅅ, ㅆ, ㅎ/과 같이 마찰음이 많지 않다.
③ 음절 끝 위치에 오는 파열음들이 파열되지 않을 수 있다. \'밭\' → [받]
④ 국어에서는 첫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나 \'ㄹ\'이나 \'ㄴ\'이 오지 못한다.
로인(老人) → 노인, 녀자(女子) → 여자
⑤ 국어에는 \'ㅏ, ㅗ\'끼리, \'ㅓ, ㅜ\'끼리 어울리려는 모음조화 현상이 있다.
(2) 어휘의 특질
① 한자어: 3세기 무렵에 중국에서 전래되고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불교와 유학 이 융성함에 따라 더욱 많이 유입되었다.
② 외래어: 중국어, 몽골어, 여진어, 만주어, 일본어, 서양의 여러 언어 등이 있다.
③ 고유어: ㄱ. 감각어( 발갛다, 벌겋더, 뻘겋다, 붉다)와 상징어가 크게 발달.
ㄴ. 의성어( 퐁당, 풍덩)나 의태어( 알록달록, 얼룩덜룩 ) 발달.
ㄷ. 친족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발달. aunt = 큰어머니, 이모, 고모
(3) 문법의 특질
① 대부분의 문법적 기능은 조사와 어미에 의해 실현되는 \'첨가어(교착어)적 특질\' 을 가진다.
② 단어형성법이 발달하여 두 용언을 합하여 새로운 용언( 오르내리다, 검푸르 다)을 만들기도 하고, 용언의 어간과 명사를 합하여 새로운 명사( 접칼, 덮밥) 를 만들기도 한다.
③ 국어의 문장은 대체로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으로 나타나며, 어순은 영어 나 중국어에 비해서 자유로운 편이다.
④ 국어의 문장에서 꾸미는 말이 대개 꾸밈을 받는 말 앞에 오며, 서술어는 원칙적 으로 맨 뒤에 온다.
⑤ 높임표현이 발달하였다. \'-(으)시-\'와 같은 선어말 어미나 \'-습니다\'와 같은 어말 어미를 사용하기도 하며, \'모시다, 계시다\'처럼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위대한 문화 유산, 한글
(1) 한글의 우수성
남북한 7천만이 사용하는 한글은 독창적이며 과학적인 문화 유산이다.
① 어떤 다른 나라의 문자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발음기관과 천지인(天地人)을 본뜬 상형의 원리로 세종 대왕이 직접 창제했다.
② 한글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이름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이며, 세종 25년(1443) 음력 12월에 세종대왕이 직접 창제하였고, 1446년 음력 9월에 반포하였다.
(2) 한글의 제자 원리
① 상형(象形): 발음기관을 본따 \'ㄱ, ㄴ, ㅁ, ㅅ, ㅇ\' 초성자를 만들었다.
② 가획(加): \'ㄱ, ㄴ, ㅁ, ㅅ, ㅇ\'에 획을 더하여 \'ㅋ, ㄷ, ㅌ, ㅂ, ㅈ, ㅊ, , ㅎ\' 을 만들었다.
③ 병서(竝書): \'ㄱ, ㄷ, ㅂ, ㅅ, ㅈ, ㅎ\' 등을 가로로 나란히 써서 \'ㄲ, ㄸ, ㅃ, ㅆ, ㅉ, \'을 만들고, \', , , , , , , \'도 만들었다.
④ 연서(連書): \'ㅁ, ㅂ, ㅍ\'과 \'ㅇ\'을 세로로 이어 써서 \',, \'을 만들었다.
⑤ 합용(合用): \', ㅡ, ㅣ\' 를 합성하여 \'ㅘ, ㅝ\', \'ㅚ, ㅑ, ㅟ, ㅔ\'를 만들었다.
2. 말소리
인간이 사용하는 말소리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나, 말소리가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무한한 수의 표현이 가능하다.
음운과 음운 체계
1) 음성과 발음 기관
(1) 음성: 사람의 입을 통하여 나오는 소리 가운데에서도 말할 때에 사용되는 소리
(2) 발음 기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입 밖으로 나오는 동안 말소리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일체의 기관
2) 국어의 음운 체계
(1) 음운: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추상적인 말소리
(2) 모음: 날숨이 목청사이를 지나면서 목청이 떨어 울리면 소리가 나는데, 혀의 위치 나 입술의 모양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진 소리는 입안을 통과하면서 공명이 일어나 모음을 형성한다.
① 단모음: 발음하는 돋중에 입술인아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
ㄱ. 구분: 혀의 최고점의 위치(혀의 높낮이와 혀의 앞뒤), 입술모양
혀의 앞뒤
전설모음
후설모음
입술모양
혀의 높이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ㄴ.
②이중모음: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리로 옮겨 가며 발음 ㅑ, ㅘ
③ 반모음: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모음. 음성의 성질은 모음과 비슷하나 반드시 다른 모음에 붙어야 발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다.
(3) 자음: 목청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통로가 좁혀져서 공기의 흐름이 장 애를 입게 되어 다양한 소리가 만들어 지는 것.
조음위치
조음방법
두 입술
윗잇몸, 혀끝
센입천장, 혓바닥
여린입천장, 혀 뒤
목청 사이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비음



유음

(4) 소리의 길이
① 같은 모음을 특별히 길게 소리냄으로써 단어의 뜻을 구별한다.
말ː[言], 말[馬, 斗] 눈ː[雪], 눈[眼] 밤ː[栗], 밤[夜]
②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째 음절에 나타나고, 본래 길게 발음되던 것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은소리로 발음된다.
한국+말ː → 한국말 함박+눈ː → 함박눈
3) 음절: 한 뭉치로 이루어진 소리의 덩어리
① 음절의 구조: \'(자음) + 모음 + (자음)\'
첫소리(초성) + 가운뎃소리(중성) + 끝소리(종성)
② 음절의 형태
ㄱ. 모음 단독: 아, 야, 어, 여, ……
ㄴ. 자음 + 모음: 가, 나, 다, 라, ……
ㄷ. 모음 + 자음: 악, 약, 억, 역, ……
ㄹ. 자음 + 모음 + 자음: 강, 날, 독, 북, ……
음운의 변동: 어떤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그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 는 현상 꽃[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