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량측정장치(Flow Measurement Apparatus) 실험이란?
2. 실험 목표
3. 시험장치 및 기구
4. 관계지식
5. 유의 사항
6. 실험 순서
7. 실험결과
8.오차원인에 대한 평가 및 분석
9.분석 및 고찰
2. 실험 목표
3. 시험장치 및 기구
4. 관계지식
5. 유의 사항
6. 실험 순서
7. 실험결과
8.오차원인에 대한 평가 및 분석
9.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제 값과 비교하는게 아니라 실제유량 값과 이론유량을 계산하기 위한 유량계의 높이 차에 관점을 두었다.
1) 사람이 직접 높이의 눈금을 재다 보니 육안으로 생긴 오차
2) 유량계 관 안의 여러 가지 이물질에 인한 저항 발생으로 실제 압력과 차이가 나는 압력이 나와서 유량을 계산할 때 큰 오차가 발생함
3) 측정계기의 불완전성 때문에 생기는 오차 예) 자, 온도계, 계기판 등의 눈금이 정확하지 않거나 영점보정이 안된 경우.
4) 측정기구의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으로 인한 눈금의 변화, 질량 측정시 공기의 부력에 의한 영향 등
9.분석 및 고찰
오리피스와 벤츄리 모두 유체의 유량을 조절해 유속에 관여하고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번 실험은 오리피스와 벤츄리관에 각각 다른 유량을 흘려 넣어 그에 따른 수두를 측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유량 계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벤츄리관과 오리피스에서만 측정하면 되었으며 측정 횟수도 그다지 많지 않았고 벌써 몇 번째 같은 실험 장비를 다뤄왔던 터라 이미 익숙해진 탓도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그 계산 방법은 간단하지 않았다. 이론상 나와야 할 수치와 차이가 좀 나서 원인을 찾느라 좀 고심했다. 우리조의 실험은 대략 초기에 설정했던 유량 수치와 비슷한 걸로 보아 실험 자체는 잘 된 듯하다. 약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었다. 먼저 유체의 압력과 난류현상으로 인해 손실을 일으키는 것 같았다. 그리고 관내의 잔류 공동 현상과 관내의 먼지 및 부식으로 인한 마찰 손실 등을 생각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에 설정하여 흘려준 유량보다 계산된 유량이 더 크게 나오는 것을 볼 때 다른 오차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주변 여건 즉, 온도나 압력과 같은 기타 제반과 유량을 설정 했을 때의 실수, 그리고 지금까지 매번 실험하면서 가장 문제의 주원인 이었던 수두 차의 부정확한 측정이 여러 가지 손실 여건보다 많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 것 같다. 오차의 원인이 전체 실험에 어떻게 작용되었든지 그건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으니 그 결과 값만을 두고 생각해 본다면 이번 실험으로 오리피스와 벤츄리계를 통과하는 유량이 많을수록 그 차압은 더욱 커지고 유량계수 또한 점차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리피스와 벤츄리 모두 비슷한 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또, 이 두 가지 장비만을 두고 본다면 오리피스가 벤츄리보다 차압이 적게 걸린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1) 사람이 직접 높이의 눈금을 재다 보니 육안으로 생긴 오차
2) 유량계 관 안의 여러 가지 이물질에 인한 저항 발생으로 실제 압력과 차이가 나는 압력이 나와서 유량을 계산할 때 큰 오차가 발생함
3) 측정계기의 불완전성 때문에 생기는 오차 예) 자, 온도계, 계기판 등의 눈금이 정확하지 않거나 영점보정이 안된 경우.
4) 측정기구의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으로 인한 눈금의 변화, 질량 측정시 공기의 부력에 의한 영향 등
9.분석 및 고찰
오리피스와 벤츄리 모두 유체의 유량을 조절해 유속에 관여하고 유압을 조절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번 실험은 오리피스와 벤츄리관에 각각 다른 유량을 흘려 넣어 그에 따른 수두를 측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유량 계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벤츄리관과 오리피스에서만 측정하면 되었으며 측정 횟수도 그다지 많지 않았고 벌써 몇 번째 같은 실험 장비를 다뤄왔던 터라 이미 익숙해진 탓도 있을 수 있겠다. 하지만 그 계산 방법은 간단하지 않았다. 이론상 나와야 할 수치와 차이가 좀 나서 원인을 찾느라 좀 고심했다. 우리조의 실험은 대략 초기에 설정했던 유량 수치와 비슷한 걸로 보아 실험 자체는 잘 된 듯하다. 약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었다. 먼저 유체의 압력과 난류현상으로 인해 손실을 일으키는 것 같았다. 그리고 관내의 잔류 공동 현상과 관내의 먼지 및 부식으로 인한 마찰 손실 등을 생각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에 설정하여 흘려준 유량보다 계산된 유량이 더 크게 나오는 것을 볼 때 다른 오차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주변 여건 즉, 온도나 압력과 같은 기타 제반과 유량을 설정 했을 때의 실수, 그리고 지금까지 매번 실험하면서 가장 문제의 주원인 이었던 수두 차의 부정확한 측정이 여러 가지 손실 여건보다 많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 것 같다. 오차의 원인이 전체 실험에 어떻게 작용되었든지 그건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으니 그 결과 값만을 두고 생각해 본다면 이번 실험으로 오리피스와 벤츄리계를 통과하는 유량이 많을수록 그 차압은 더욱 커지고 유량계수 또한 점차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리피스와 벤츄리 모두 비슷한 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또, 이 두 가지 장비만을 두고 본다면 오리피스가 벤츄리보다 차압이 적게 걸린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천자료
유동가시화
생활속의 환경제어 중 온수온돌 바닥복사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위생실험(원심펌프 벤츄리 미터)
유량측정보고서
유체 실험 장치대 (Hydraulic Bench) 에 의한 유량 측정
[유체실험] 유동가시화(PIV) 실험
기계공학실험 water bench를 이용한 유량 측정
Orifice meter & Ventury meter 예비레포트
벤츄리관에서의 유량의 측정
TAB기초이론
wet test meter 와 rotameter calibration
베르누이 실험
수리학 예비 < 오리피스 실험 >
[단위조작실험] 피토관과 벤츄리메타 유량측정- Pitot tube에 의한 유량 측정, Venturi 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