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서평/요약] 교회행정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서평/요약] 교회행정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교회행정의 기본개념
2.교회행정의 기능과 관리자의 역할
3.교회행정과 계획
4.목표관리와 교회의 유효성 전략
5.문제분석과 의사결정
6.교회조직과 대의민주제도
7.교회의 기구와 직책
8.교회기관 관리
9.조정과 통제
10.커뮤니케이션과 교회행정
11.인관관계
12.교회지도자와 리더쉽
13.교회의 성장과 관리
14.미래사회와 교회행정

본문내용

산주의 국가에서 기독교국가로, 제도적 전통으로부터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분에서 사역자의 공동체로, 남성지도자 체제에서 남녀 동반자 제도로, 세속화로부터 종교적 상대주의로, 핵가족에서 가족의 다양화로, 국교 분리로부터 그리스도인의 정치적 행동주의로, 그리고 위태로운 국가들에서 위태로운 행성(行星)으로의 변화이다(Snider, 1993).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21세기에 있을 교회의 변화는 지금과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이다. 나름대로 그 변화의 몇가지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글로벌 목회의 확산
지금까지는 개교회는 지역교회로서, 개교회 목회자는 지역교회의 목회자로서 역할을 성실히 감당해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개교회나 목회자들이 지역교회나 한 곳의 목회자로서만 안주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한다. 이른바 교회개방시대가 온다. 모든 목회자가 세계적인 목회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목회자의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영어가 글로벌 언어로 자리를 잡으면서 한국에도 외국인 목사가 위임목사로 초빙되며, 우리 목사도 외국으로 간다. 이른바 목회자들의 지구적 분담(global sharing)이 시작된다. 이것은 지구적인 목회적 돌봄(global ministrial care)이 더욱 요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도 지구적으로 확산된다. 한 지역의 개교회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있는 교회는 세계 곳곳으로 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국의 교회들이 한국에 들어온다. 인공위성이 더 많이 띠워지면서 다채널시대가 도래하게 되는데 그 때는 채널을 통한 교회의 세계화가 확산될 전망이다. 21세기 초에 우리 안방에는 수천, 수만의 TV채널이 들어오게 되며, 그중에 상당수 교회는 여러 채널을 확보하면서 교회의 세계화를 선도하게 될 것이다.
② 보이지 않는 교회의 등장
지금 C&C, 곧 컴퓨터와 커뮤니케이션의 결합을 통해 정보화사회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PC를 통한 인터넷이 안방을 찾아오고, 이것의 활용이 세계적으로 급격히 확산되면서 세계인의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삶의 양식도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금의 인터넷은 앞으로 올 정보고속도로 세계의 그림자와 같다. 정보고속도로 작업이 세계적으로 연결되는 시기가 오면 그 변화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크다. 그 작업이 21세기 초기에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경쟁적으로 그 사업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통신에 혁명이 일어나고 모든 것이 전자화되면서 교회에도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앞으로는 보이지 않는 시장의 규모가 보이는 시장을 압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듯이 앞으로는 보이지 않는 가상교회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보이는 교회는 많은 비용이 들지만 인터넷교회 등 가상교회는 비용이 들지 않고 많은 교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천후 예배와 참여가 가능하다. 모든 것은 온라인으로 연결된 인터넷 연결망이나 정보고속도로에서 이뤄진다. 소프트웨어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발전하듯 인터넷교회의 활동양상도 하루가 다르게 변화될 것이다. 지금 원격교회·원격예배는 물론 원격전도·원격선교·원격신앙고백·원격세례 등이 언급되고 있다. 앞으로는 심지어 가상목회자가 등장하게 될 것이다. 당장은 프로그램화된 것에 한정되겠지만 앞으로 인공지능의 발달정도에 따라 영적 목회활동에 참가하는 정도도 달라질 것이다. 그렇다고 보이는 교회의 역할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그만큼 다양화된다. 많은 사람들은 가상교회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지만 인터넷이나 정보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이것은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그것은 목회자가 피할 수 없는 영역이 된다. 오히려 마우스에만 익숙해진 인간들에게 영적인 터치를 해야 하는 중요성과 그 역할이 커질 것이다.
③ 기능교회의 등장
앞으로 교회는 보다 다양해지고 교회마다 특색이 있게 된다. 다른 교회와의 자그마한 차이가 그 교회를 특색있게 만들고, 많은 교인들은 그런 교회를 택하게 된다. 그렇고 그런 교회가 많아지는 것보다 개성이 돋보이는 교회의 출현을 기다린다. 신세대가 새로운 시대의 주인공이 되면서 더욱 요구된다. 이것은 전체적으로 볼 때 다양한 기능교회(functional church)의 등장을 예고케 한다. 나름대로 특색있게 기능하는 교회가 살아남게 되기 때문이다. 한 교회가 사회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물론 이것도 충족시키고 저것도 충족시킬 수 있는 만능교회라면 문제가 다르다. 그러나 그렇게 할 수 있는 교회는 많지 않다. 지금은 지역별 교회가 대부분이지만 앞으로는 유년교회·청소년교회·노년교회·여성교회·직업별 교회·취미별교회·종족별 교회가 등장하게 될 것이며 그것과 관계되는 전문목회자들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④ 공동목회의 확산
지금까지의 목회는 위계적 목회였다. 담임목사를 정점으로 위계가 철저히 이뤄져 왔다. 교회는 위계사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교회만큼 철저하게 위계를 지켜온 곳도 드물다. 그러나 앞으로는 정보의 공유와 함께 평등사상이 깊게 자리를 잡으면서 사회는 평등사회로, 교회는 위계적 목회구조를 탈피하는 쪽으로 바꿔진다. 교회는 성직자에 대한 신비성이 무너지면서 성직자와 평신도의 엄격한 구분보다 공동의 사역자로 나가게 된다. 이것은 목회의 역할이 좀더 폭넓고 좀더 유연하게 될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일부 교단의 끈질긴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성목회자가 늘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성목회자와 다른 여성 교회지도자가 증가하여 교회의 공동체에서 여성의 참여가 크게 늘어간다. 교회에서 여성사역자가 는다는 것은 세계교회전체로는 유기적 생태학적 모델을 향한 경향이 커지고, 평신도사역의 추세가 커지며 모든 신자가 사역자로 준비하는 일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말해준다(Snider, 117-118). 이와 함께 교회는 앞으로 공동목회를 선호하게 될 것이다. 공동목회는 네트워킹 목회(networking ministry)의 한 유형이다. 한 사람의 담임목사가 아니라 여러 사역자가 공동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일하게 된다. 이것은 교회가 글로벌화하면서, 교인들의 욕구가 다양화해지면서, 팀목회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더욱 확산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오랜 유교적 문화에
  • 가격15,0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11.11.2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