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근대화론을 말하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2.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이들..

3.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4. 끝맺음

5.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본문내용

5년 815를 맞을 수 있었던 것이다. 남과 북은 서로 다른 정부를 꾸렸지만, 북에서는 빠르게 친일분자들을 척결시키고, 토지를 무상몰수 무상분배의 원칙에 따라 민중들에게 평등한 경제활동을 보장했다. 오히려, 남에서 친일파들을 척결하지 못해 아직까지 이런 식민사관이 남아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4. 끝맺음
올바른 역사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지난 몇 년간 고등학교에서 국사를 필수과목에서 없애는 과오를 저질렀다가 이번 교육과정 개편에서 다시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고 한다.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 한다. 한일관계에 있어서도 지금 영토분쟁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연유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일본에서는 동해를 일본해로, 독도를 다케시마로 계속해서 주입시키고 있는데, 한국의 역사교육은 어떠한가? 역사에 대한 중요성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얼마나 자주적 입장의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다. 적어도 뉴라이트 역사교과서는 다신 안나오게 해야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의 한국은 미국우월주의에 너무 많이 빠져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방의 문제에서 미국에 예속된 부분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분단된 상황에서 남북의 대화나 갈등이 북미관계에 따라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남한정부는 미국의 눈치를 보며 대북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경제적 상황 역시, 졸속적이고, 치욕스러운 한미FTA체결을 통해 농업을 포기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하면서 전 사회적인 공분을 사기도 했다. 사회문화 전반적으로도 미국이 영향에 자유로운 것이 없으며, 곳곳에 맥도날드와 스타벅스. 나이키 매장 등이 늘어서 있는 것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 지금의 우리 역시 미국의 식민지 속에 살면서, 미국 때문에 우리나라가 잘 살 수 있다는 착각을 하고 있진 않을까 걱정스럽기도 하다. 우리의 것을 더 자랑스럽게 여기고, 우리 민족의 자주성과 창의성으로 세계를 진두지휘하는 순간을 함께 만들어나가야겠다.
5.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역사연구회)
- 한국사의 근대성 연구 (권희영, 백산서당)
-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포럼)
- 오마이뉴스 (www.ohmynews.com)
- mbc (www.imbc.com)
- 위키백과 (ko.wikipedia.org)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