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태초에 전쟁이 있었다.
2.보통사람들의 일상에서 재현된 대한민국
3.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2.보통사람들의 일상에서 재현된 대한민국
3.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충성을 바탕으로 한다지만 아직도 이 땅에 연좌제라는 것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대한민국이 다시 연좌제라는 제도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1987년에 적어도 절차적인 민주화를 쟁취한 이후 과거 독재정권에 의한 인권침해에 대한 조사가 많이 이루어 졌다. 특히 대중매체를 통해 그동안 감추어졌던 과거사의 진실이 소개되면서 많은 피해자들이 입을 열고 있으나 더 많은 관련자들은 여전히 침묵하고 스스로 기억을 억압하고 있다. 입을 열면 다칠 수도 있다는 연좌제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연좌제에 관련하여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많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과연 진실에 접근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때로부터 얼마나 연좌제의 그늘에서 자유로워 졌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김동춘 지음,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6년
윤택림 지음, 『인류학자의 과거여행-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2003년
윤해동 등 편, 『근대를 다시 읽는다』, 역사비평사, 2006년
한홍구 지음, 『대한민국史 1』, 한겨레신문사, 2003년
1987년에 적어도 절차적인 민주화를 쟁취한 이후 과거 독재정권에 의한 인권침해에 대한 조사가 많이 이루어 졌다. 특히 대중매체를 통해 그동안 감추어졌던 과거사의 진실이 소개되면서 많은 피해자들이 입을 열고 있으나 더 많은 관련자들은 여전히 침묵하고 스스로 기억을 억압하고 있다. 입을 열면 다칠 수도 있다는 연좌제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연좌제에 관련하여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많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과연 진실에 접근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때로부터 얼마나 연좌제의 그늘에서 자유로워 졌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김동춘 지음,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6년
윤택림 지음, 『인류학자의 과거여행-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2003년
윤해동 등 편, 『근대를 다시 읽는다』, 역사비평사, 2006년
한홍구 지음, 『대한민국史 1』, 한겨레신문사,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