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좌제(連坐制)를 생각한다 ―전쟁과 이후 일상에서 재현되는 대한민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들어가며-태초에 전쟁이 있었다.

2.보통사람들의 일상에서 재현된 대한민국

3.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충성을 바탕으로 한다지만 아직도 이 땅에 연좌제라는 것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대한민국이 다시 연좌제라는 제도의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1987년에 적어도 절차적인 민주화를 쟁취한 이후 과거 독재정권에 의한 인권침해에 대한 조사가 많이 이루어 졌다. 특히 대중매체를 통해 그동안 감추어졌던 과거사의 진실이 소개되면서 많은 피해자들이 입을 열고 있으나 더 많은 관련자들은 여전히 침묵하고 스스로 기억을 억압하고 있다. 입을 열면 다칠 수도 있다는 연좌제에 대한 기억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연좌제에 관련하여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많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과연 진실에 접근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때로부터 얼마나 연좌제의 그늘에서 자유로워 졌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김동춘 지음, 『전쟁과 사회』, 돌베개, 2006년
윤택림 지음, 『인류학자의 과거여행-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2003년
윤해동 등 편, 『근대를 다시 읽는다』, 역사비평사, 2006년
한홍구 지음, 『대한민국史 1』, 한겨레신문사, 2003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2.06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