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품 해제
Ⅱ. <절구이수> 분석
2. 1. 제1수
2. 2. 제2수
Ⅲ. 맺음말
Ⅱ. <절구이수> 분석
2. 1. 제1수
2. 2. 제2수
Ⅲ. 맺음말
본문내용
1443년)에 착수하여 성종 12년(1481년)에 완성되었다. 원래 활자본으로 모두 25권이 간행되었으나 1, 2, 3, 4권과 11, 12, 13, 14권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두시언해>는 15세기 국어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초간본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쓰였던 ‘ㅸ, ㅱ, ㆅ’ 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ㅿ’과 종성 자리에 쓰인 ‘ㆁ’은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초간본을 바탕으로 17세기 초에는 중간본을 간행했는데, 약 150여 년의 차이를 두고 많은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는 초간본 <두시언해>의 <절구이수(絶句二首)>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두보의 <절구이수>는 피난지 ‘성도’에서 지은 제목이 없는 두 편의 한시(漢詩)다. 첫째 수는 따뜻한 봄날에 제비와 원앙이 노니는 풍경을 노래했다. 둘째 수는 봄의 정경을 바라보면서 그 봄이 지나감을 아쉬워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Ⅱ. <절구이수> 분석
긴 예 과 뫼쾌 빗나니 遲日江山麗
매 곳과 플왜 곳답도다 春風花草香
기 노니 져비 오 泥融飛燕子
몰애 더우니 鴛鴦이 오놋다 沙暖睡鴛鴦
미 니 새 더욱 오 江碧鳥兪白
뫼히 퍼러니 곳 비치 블
두보의 <절구이수>는 피난지 ‘성도’에서 지은 제목이 없는 두 편의 한시(漢詩)다. 첫째 수는 따뜻한 봄날에 제비와 원앙이 노니는 풍경을 노래했다. 둘째 수는 봄의 정경을 바라보면서 그 봄이 지나감을 아쉬워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Ⅱ. <절구이수> 분석
긴 예 과 뫼쾌 빗나니 遲日江山麗
매 곳과 플왜 곳답도다 春風花草香
기 노니 져비 오 泥融飛燕子
몰애 더우니 鴛鴦이 오놋다 沙暖睡鴛鴦
미 니 새 더욱 오 江碧鳥兪白
뫼히 퍼러니 곳 비치 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