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사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 신화 속 사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르테미스 신앙이 아폴론의 그것보다 선행된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실제로 아르테미스 신앙은 미노아시대부터 이미 크레타와 소아시아 지방에서 크게 성행. 크레타 유적지에서 가슴을 드러낸 대지의 여신이나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에 안치된 수많은 유방(달걀)을 가진 여신은 아르테미스가 풍요와 다산의 여신임을 말해준다.
아르테미스는 경작된 농산물이나 길들여진 가축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자연 상태로 살고 있는 숲과 야수들, 짐승들을 돌보는 수호신. 특히 해산의 신으로서 어린 짐승들의 번식과 정상적인 성정을 주관한다. 짐승들뿐만 아니라 식물의 번식과 성정도 여신의 소관 사항이다. 자연 상태의 동식물의 번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달의 공전주기. 보름과 그믐 때의 자연 생산력은 극대 상태이고 상현과 하현 때는 극소 상태. 이런 달의 주기와 생식력의 관계에서 아르테미스는 자연스럽게 달의 여신 셀레네의 신격을 흡수.
난산으로 죽어간 여인의 모습에서 아르테미스 여신의 위력을 느꼈고, 달빛 비치는 밤이나 칠흑 같이 어두운 숲이나 들판을 지날 때 또한 여신은 공포와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까닭에 아르테미스 여신은 많은 곳에서 지하 세계의 여신인 헤카테와 동일 시 되기도 했다. 아르테미스는 어둠의 세계를 지배하는 신이기에 이 여신과 관련된 별자리 이야기가 많이 생산 되었다.
고대 그리스 인들은 고통 없이 급작스레 죽은 자들은 먼 곳에서 아르테미스가 쏜 화살에 맞아 죽는 것으로 믿었다. 특히 해산하다 죽은 여인은 모두 이 화살을 맞았다고 믿었다.
트로이 전쟁에서 헤라가 아르테미스를 여인들의 사자라고 부르며 마음대로 여인들을 죽인다고 말한 것은 여신의 그런 민간신앙을 잘 표현하는 말이다.
아르테미스의 잔혹한 형태는 밤의 어둠과 사람이 살지 않는 숲과 들판에 대한 인간의 공포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니오베의 경우, 니오베는 식물의 여신으로 해석하고, 그 자식들이 죽은 것은 거센 햇살에 쏘여 새싹이 말라 죽은 것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있다.
아르테미스와 아프로디테
사랑과 냉정의 관계는 아프로디테와 아르테미스 양 여신 사이의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아르테미스를 숭배하는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토스의 죽음에서 두 여신이 충돌한다. 일설에 따르면 아프로디테의 연인 아도니스를 죽인 멧돼지는 아르테미스가 보낸 것이라고 한다. 순결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보기에 아무리 사랑이라고 하지만 여신이 인간 남자를 사랑한다는 것이 참고 보아주기에는 너무 지나쳤다고 생각해서 아르테미스가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방해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복수로 아프로디테는 테세우스의 후처인 파이드라(아리아드네의 동생)로 하여금 테세우스 전처소생인 히폴리토스(히폴리테의 아들)를 사랑하게 만든다. 양모가 아들을 사랑하는 일종의 사련인 셈. 히폴리토스는 이런 부자연스러운 사랑을 피해 궁전을 떠나 숲 속으로 피해버린다. 이에 자존심이 상한 파이드라는 히폴리토스에게 누명을 씌우고 자살해 버린다. 히폴리스토 역시 부친의 버림을 받고 절망하여 난폭하게 전차를 몰다가 절벽에서 떨어져 사망한다. 이 과정은 두 여신이 쟁투를 벌이는 형국이고 인간이 신들의 놀이개가 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 이후 아르테미스는 아폴론의 아들이며 의술의 신(자신의 조카)인 아스클레피오스에게 히폴리토스를 살려달라고 부탁. 그러나 제우스의 분노를 사서 오히려 아스클레피오스가 죽임을 당함. 그러나 아프로디테의 부탁을 받아 아스클레피오스가 아도니스를 사려낸 것과 비교하면 제우스에 대한 영향력은 아르테미스에 비해 아프로디테가 훨씬 막강한 것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
아르테미스 신격의 약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서 아르테미스는 헤라에게 양팔이 잡힌 채 뺨을 얻어맞는 장면이 나온다.
제우스 신앙이 확고해지면서 다산과 풍요의 여신이며 어둠의 세계를 장악한 여신의 위력은 많이 약화 되었다. 농사와 가축이 일반화 되고, 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어두운 숲과 들판에 대한 인간의 공포도 줄어들었다. 또 도시의 발달과 인공에 의해 조성된 도로의 발달로 미지의 신에 대한 공포를 줄여주었다. 다만 산욕의 죽음과 급사에 대한 공포는 여전히 아르테미스 여신의 몫으로 남아있었다.
8주차 사랑과 복수의 여인 팜므파탈: 메데아
모반의 역사: 아이손과 펠리아스
테살리아 땅 이올코스라는 나라의 왕은 아이손이었다. 그 왕의 동생 펠리아스는 형을 왕좌에서 몰아내고 그 자리를 차지해버렸다. 그 후 그는 아이손을 가족과 추방시켜 버렸다. 아이손은 이역을 떠돌다가 죽고 말았고, 그의 아들은 반인반마의 켄타우르 키론이 맡아 기르게 되었다. 이 아들이 바로 이아손이었다. 펠리온 산맥 동굴에 사는 키론은 박식하고 뛰어난 사냥꾼이며 의사였다. 성격도 온유하고 다정하여 이미 많은 영웅들을 양육한 적이 있었다. 어린 이아손은 이 현명한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 씩씩한 청년으로 성장했다. 모든 신들로부터 사랑도 받게 되었다. 한편 펠리아스는 왕좌에 앉아 있었지만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한 예언 때문이었다. \"신발을 한 짝만 신고 산으로부터 한 남자가 너에게 나타날 것이다. 그는 이방인이기도하고 동향인이기도 하다. 이 사람을 조심하라!\" 라는 게 그 예언이었다.
이아손의 복귀 시도
스무 살이 된 이아손은 왕좌를 되 찾기 위해 고국으로 가기로 결심했다. 이아손이 귀국 중 비 때문에 물이 크게 분 강변에서 노파를 한 사람 만나게 되었다. 노파는 그에게 강을 건너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이아손은 노파를 품에 안고 세차게 흐르는 강을 건너갔다. 건너는 도중 이아손의 샌달 한 짝이 벗겨져 떠내려 가버렸다. 이제 그는 발 한쪽은 맨발로 걸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자 노파는 빙긋이 웃으며, \"청년, 그냥 그대로 가시오. 샌달 한 짝이 이올코스의 아버지 왕좌에서 기다리고 있을 것이오.\" 라는 말을 남기고 모습을 감춰버렸다. 그때서야 이아손은 헤라 여신이 가는 길을 축복하러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하고 마음이 든든해졌다.
이아손의 귀국과 요청
이아손은 이올코스 성 중앙의 큰 시장에 도착했다. 숙부 펠리아스는 포세이돈에게 제사를 올리고 있었다. 그의 품위와 용맹스런 모습에 백성들은 경탄해 마지 않았다. 펠리아스는 곧 낯선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9페이지
  • 등록일2011.12.1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