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 초기시의 이국정서와 향수(고향을 제재로 표현된 소외의식)그리고 바다
2.2 중기시의 종교성(카톨릭)
2.3 후기시와 동양 정신
3. 결론
4. 참고문헌
2.본론
2.1 초기시의 이국정서와 향수(고향을 제재로 표현된 소외의식)그리고 바다
2.2 중기시의 종교성(카톨릭)
2.3 후기시와 동양 정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지용 시 연구
1.서론
정지용의 공식적인 시작품은 『정지용 시집』에 수록된 89편과 『백록담』에 수록된 33편을 합한 122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박용철은 『정지용 시집』을 〈시문학사〉에서 만들 때, 카톨릭에 귀의하기 전과 후의 작품을 구분하여 편집했다고 밝히고, 『정지용 시집』의 ‘23’부는 카톨릭에 귀의하기 전, ‘14’부는 카톨릭에 귀의한 후의 작품들이라 했다.
이에 의하면 『정지용 시집』에 수록된 89편의 시편들은 두 개의 시기 구분이 가능하다. 실지로도 그의 작품들을 자세히 읽어보면 ‘23’부의 작품들과 ‘14’부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작품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쉽게 발견된다. 그런가 하면 『백록담』에 수록된 작품들도 또한 그것들대로의 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지용의 122편의 시편들은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승우, 『한국현대시인연구』, 국학자료원, 1998, p.30.
일반적으로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들은 형식적인 면에 치우쳐,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보잘것없는 시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감각적인 이미지즘의 시인으로 알려진 정지용의 시 세계에서 사상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는 것은 종교시라고 일컬어지기도 하기에 정지용 그의 시의 사상적 바탕이 된 종교 귀의를 기준으로 초중말기의 세 시기로 구분 지어 각 시기들의 주요 작품 및 정지용의 시적 특성을 살펴보겠다.
2.본론
2.1 초기시의 이국정서와 향수(고향을 제재로 표현된 소외의식)그리고 바다
정지용의 초기 시는 그의 공식적인 작품 활동이 시작된 1926년부터 1930년까지니까 1920년대 후반에 쓰여진 시편들이다. 이시기의 정지용은 가족과 고향을 떠나 소외된 자로서 타향타국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생활의 연속 속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라든지 일본에서 본 현대문물의 모습을 담은 작품에 소외의식이 나타남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원명수, 『모더니즘 시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87, p. 50
그의 소외의식이 나타나고 있는 또 다른 작품은 바다를 소재로한 것들이다. 이런 소외의식 속에서 정지용의 초기시의 감각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데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알아보겠다.
옴겨다 심은 종려나무 밑에
빗두른 슨 장명등,
카페프란스에 가쟈.
이놈은 루바쉬카
또 한놈은 보헤미안 넥타이
삣적 마른 놈이 압장을 섰다
밤비는 뱀눈처럼 가는데
페이브먼트에 흐늙이는 불빛
카페프란스에 가쟈.
이놈의 머리는 빗두른 능금
또 한놈의 심장은 벌레먹은 장미
제비 처럼 젖은 놈이 뛰여 간다.
[오오 패롤(앵무)서방!
1.서론
정지용의 공식적인 시작품은 『정지용 시집』에 수록된 89편과 『백록담』에 수록된 33편을 합한 122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박용철은 『정지용 시집』을 〈시문학사〉에서 만들 때, 카톨릭에 귀의하기 전과 후의 작품을 구분하여 편집했다고 밝히고, 『정지용 시집』의 ‘23’부는 카톨릭에 귀의하기 전, ‘14’부는 카톨릭에 귀의한 후의 작품들이라 했다.
이에 의하면 『정지용 시집』에 수록된 89편의 시편들은 두 개의 시기 구분이 가능하다. 실지로도 그의 작품들을 자세히 읽어보면 ‘23’부의 작품들과 ‘14’부의 작품들은 서로 다른 작품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쉽게 발견된다. 그런가 하면 『백록담』에 수록된 작품들도 또한 그것들대로의 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지용의 122편의 시편들은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승우, 『한국현대시인연구』, 국학자료원, 1998, p.30.
일반적으로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들은 형식적인 면에 치우쳐,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보잘것없는 시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감각적인 이미지즘의 시인으로 알려진 정지용의 시 세계에서 사상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는 것은 종교시라고 일컬어지기도 하기에 정지용 그의 시의 사상적 바탕이 된 종교 귀의를 기준으로 초중말기의 세 시기로 구분 지어 각 시기들의 주요 작품 및 정지용의 시적 특성을 살펴보겠다.
2.본론
2.1 초기시의 이국정서와 향수(고향을 제재로 표현된 소외의식)그리고 바다
정지용의 초기 시는 그의 공식적인 작품 활동이 시작된 1926년부터 1930년까지니까 1920년대 후반에 쓰여진 시편들이다. 이시기의 정지용은 가족과 고향을 떠나 소외된 자로서 타향타국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생활의 연속 속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이라든지 일본에서 본 현대문물의 모습을 담은 작품에 소외의식이 나타남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원명수, 『모더니즘 시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87, p. 50
그의 소외의식이 나타나고 있는 또 다른 작품은 바다를 소재로한 것들이다. 이런 소외의식 속에서 정지용의 초기시의 감각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데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서 알아보겠다.
옴겨다 심은 종려나무 밑에
빗두른 슨 장명등,
카페프란스에 가쟈.
이놈은 루바쉬카
또 한놈은 보헤미안 넥타이
삣적 마른 놈이 압장을 섰다
밤비는 뱀눈처럼 가는데
페이브먼트에 흐늙이는 불빛
카페프란스에 가쟈.
이놈의 머리는 빗두른 능금
또 한놈의 심장은 벌레먹은 장미
제비 처럼 젖은 놈이 뛰여 간다.
[오오 패롤(앵무)서방!
추천자료
한국현대시의 낭만성에 대해서
감수성과 행동의지 사이의 괴리- 윤동주의 '또다른 故鄕'
현대시의 민속적 요소
[인문과학] 이상 시 연구
[현대시문학사] 현대시 동인의 시사적 의의와 공과
[현대시]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 분석을 통한 상실의 애환과 삶의 의미 분석
한국현대시사별 대표작가와 시정리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현대시교육] 교수학습전략 - 유치환 ‘행복’을 재미있게 가르치기
[현대시교육] 나와 삶과 문학수업이 함께 만나기 위하여(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현대시의 정신과 감각 레포트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제 7 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 123절 중심으로
현대시 교수 학습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