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반체로서의 plasmid란 무엇인가?
2. 분자유전학적 관점에서의 plasmid의 용도와 그 기능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3. Plasmid 구조(형태)에 대해 서술하시오. (그림포함)
4. 자신의 DNA gel 사진을 첨부하시오.
5. Gel 사진을 보고 Uncut DNA, Vector, Insert DNA size를 계산하시오.
6. 예상했던 결과를 간략히 쓰고, 실제 결과와 차이가 있다면 그 이유에 대해 3번 문제를 참조하여 서술하시오.
7. EtBr 염색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8. 참고자료
2. 분자유전학적 관점에서의 plasmid의 용도와 그 기능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3. Plasmid 구조(형태)에 대해 서술하시오. (그림포함)
4. 자신의 DNA gel 사진을 첨부하시오.
5. Gel 사진을 보고 Uncut DNA, Vector, Insert DNA size를 계산하시오.
6. 예상했던 결과를 간략히 쓰고, 실제 결과와 차이가 있다면 그 이유에 대해 3번 문제를 참조하여 서술하시오.
7. EtBr 염색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8. 참고자료
본문내용
Sample은 하나의 단편이 전기영동 gel에 나타나야 한다고 예상되었고 제한효소로 처리한 DNA Sampl은 두 단편이 생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5번 well에서 한 조각만 나왔어야 하는데 희미하게 다른 조각이 보였다. 이는 DNA정제 과정에서 단백질 등의 불순물이 일부 포함되거나 다른 조원과 같은 자리인 것으로 보아 단편의 이동흔적이 진하게 남은 것일 가능성도 작게나마 생각해 본다. 6번 well에서는 두 단편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제한효소로 잘 절단 됐다고 생각된다.
사진을 보면 단편들의 뒤로 단편이 이동한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은 우리가 EtBr의 염색약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우리 눈으로는 전기영동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EtBr의 염색약을 사용하고,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통해서 단편들이 이동한 정도를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편들이 이동하면서 염색되어 묻어있던 EtBr의 일부가 gel에 남게 되면서 이동한 흔적을 남기는 것 같다. 또한 agarose gel의 농도가 높을수록 단편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되는데, 우리 조에서 만들었던 gel의 농도가 높아서 단편의 이동속도에 영향을 끼치고 그 이유로 인해 gel 자체에 염색약이 묻게 될 가능성이 커졌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7. EtBr 염색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 Ethidium bromide(EtBr)은 UV에 노출이 되면 형광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DNA와 매우 친화력이 크다. EtBr은 DNA가 이중 나선을 이룰 때 나타나는 하나의 밴드와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진을 보면 단편들의 뒤로 단편이 이동한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은 우리가 EtBr의 염색약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우리 눈으로는 전기영동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EtBr의 염색약을 사용하고,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통해서 단편들이 이동한 정도를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편들이 이동하면서 염색되어 묻어있던 EtBr의 일부가 gel에 남게 되면서 이동한 흔적을 남기는 것 같다. 또한 agarose gel의 농도가 높을수록 단편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되는데, 우리 조에서 만들었던 gel의 농도가 높아서 단편의 이동속도에 영향을 끼치고 그 이유로 인해 gel 자체에 염색약이 묻게 될 가능성이 커졌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7. EtBr 염색의 원리를 설명하시오.
- Ethidium bromide(EtBr)은 UV에 노출이 되면 형광색으로 발광한다. 또한, DNA와 매우 친화력이 크다. EtBr은 DNA가 이중 나선을 이룰 때 나타나는 하나의 밴드와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