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확인법
3. 원칙법
4. 감동법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하여 현재의 상태를 확인(다짐)한다. 이를 직설확인법이라고 한다. (1나)는 기상대에서 발표한 정보에 근거를 둔 것이 아니고 구름의 이동이라든가 자기 자신의 어떤 느낌에 근거할 때 사용되므로 다른 경험을 접하면 자신의 믿음이 취소될 수 있다. 이를 추측확인법이라 한다.
(2) 가. 내 本來 求 업다니 오 이 寶藏이 自然히 니를어다
(법화경언해 권2,226장)
나. 王ㅅ 中엣 尊신 王이 업스시니 나라히 威神을 일허다 (월인석보 권10, 9장)
다. 오 얻과라 (월인석보 권7, 9장)
(2)에서는 중세국어의 확인법을 알 수 있다. (2가)의 ‘니를어다’에서 ‘-거-’(>-어-)가 붙은 것은 ‘니를-’이 자동사이기 때문이고, (2나)의 ‘일허다’에서 ‘-어-’가 붙은 것은 ‘잃-’이 타동사이기 때문이다. (가),(나)와 같이 중세국어에는 확인법이 ‘-거-/-어-’로 나타나며, 선어말어미 ‘-오-’와 결합되면 (다)와 같이 ‘-과-, (-가-)’로 교체된다. 고영근(1997)은 확인법 형태소가 어간에 직접 붙을 수 있다고 하고, 이를 “부정확인법”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확인법은 아래 같이 의문형, 명령형, 연결형, 관형사형에서도 발견된다고 본다.
가. 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1.02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3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