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규명

3. ‘-오/우-’의 문법적 성격

4.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4.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5. 후행 어미와의 결합 양상
5.1. ‘-오/우-’와 수의적으로 결합하는 어미
5.2. ‘-오/우-’와 결합하지 않는 어미
5.3. ‘-오/우-’와 항상 결합하는 어미

6.-오/우-의 변천
6.1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6.2 명사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7. 맺음말

※ 참고자료

본문내용

능은 관련성이 있으며 이들을 동시에 설명해 낼 수 있어야만, ‘-오/우-’에 대한 기술은 완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정례, 1995)
3. ‘-오/우-’의 문법적 성격
‘-오/우-’ 연구의 초창기에는 ‘-오/우-’가 독립된 기능을 가진 형태소로 인식되지 못하고 음운론적 단위로 인식되어 ‘雅語助詞’ (前間恭作, 양주동), ‘삽입모음’ (김형규) 등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허 웅(1958)에서는 ‘삽입모음’으로 가칭하였으나 ‘-오/우-’를 독립된 형태소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오/우-’는 일찍부터 단순한 음운론적 단위가 아닌 하나의 형태소로 인식되었으며, 형태소로서 갖는 문법적 성격에 대하여는 그것의 기능을 둘러싸고 꽤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前間恭作은 ‘-오/우-’를 부정법어기를 이루는 ‘조(동)사’로, 大江孝男은 이차적 어간 형성에 참여하는 요소로 처리하였다. 즉 ‘-오/우-’를 어기 또는 어간의 일부로 파악함으로써 통사적 기능과 관계하기보다는 의미적인 보조요소인 준어간 형식으로 본 것이다. 전간공작(1924:23), 대강효남(1958:123)에서 이러한 접근을 하고 있으며, 이는 손주일(1980:31)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선어말어미에 대한 종래의 일반론에서 비롯된 해석으로 볼 수 있다. 선어말어미에 대한 종래의 일반적 해석에 대하여는 이승욱(1973:183) 참조.
이숭녕(1959)에서는 어간을 형성하는 ‘접미사’로서의 ‘-오/우-’와 활용 어미인 ‘prefinal ending’으로서의 ‘-오/우-’의 기능에 논의를 집중시킨다.
허웅(1963)에서는 ‘삽입모음’이라는 명칭을 버리고 ‘인칭대상활용어미’로 대신하였으며 후에 ‘인칭법대상법의 안맺음씨끝’으로 부르고 있다.
이기문(1972), 안병희(1967), 고영근(1981)에서는 ‘선어말어미’로 통일되어 가며 유창돈(1973ㄱ)의 ‘선행어미’도 같은 용어이다. 결국 ‘-오/우-’를 prefinal ending, 선어말어미, 선행어미, 안맺음씨끝 등으로 달리 부르고 있으나 그 문법적 성격을 동일하게 파악하고 있으며 용어상의 차이에 불과한 것이다. 선어말어미의 용어에 대하여는 고영근(1989:243) 참조.
손주일(1980)에서는 ‘-오/우-’의 형태론적 환경을 ‘어간+선어말어미+어말어미’의 구조로 보임으로써 ‘-오/우-’가 접미사가 아닌 어미의 일부로서 선어말어미임을 확실히 하고 있다.
전정례(1995)에서는 ‘-오/우-’를 어간 형성에 참여하는 접미사가 아닌 어미의 일부로 보는 것은 ‘-오/우-’의 기능을 어휘적 기능이 아닌 통사적 기능에서 찾아야 함을 명백히 해 주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4.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종결형ㆍ연결형의 ‘-오/우-’는 일반적으로 주어가 제1인칭 대명사 ‘나, 우리’ 등 화자일 때 나타난다. (1)은 선어말어미 ‘-오/우-’가 대명사 주어인 ‘나, 우리’에 일치하여 쓰인 것이다.
(1) 가. “내 마 命終호라” (월인석보 권9, 36장 상)
나. “내 이 爲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4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