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의 키치(kitsch)적 특성과 현대건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자인의 키치(kitsch)적 특성과 현대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디자인과 키치(kitsch)에 대한 일반적 고찰
2.1 건축의 디자인적 특징
2.2 응용예술로서의 키치(kitsch)
2.3 키치(kitsch)의 한계와 과제
3. 현대건축의 배경 및 디자인지식의 변화
3.1 사고 개념의 확대와 독창성
3.2 다양한 재해석과 기호론적 모델
3.3 절충적 경향과 다원주의(pluralism)
4. 건축디자인 언어의 키치(kitsch)적 유희성
4.1 조각적 사고와 아우라(aura)의 상실
4.2 역사적 전통성의 재해석 및 모방
4.3 초현실주의적 우연성과 왜곡
4.4 장소성과 기호론적 심벌(Symbol)부여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움(유희;遊戱)은 현대 예술에 있어 점차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것은 외적 결과보다 활동 그 자체의 흥미로 인해 일어나는 자유로운 활동이며, 긴장으로부터 벗어난 원시적인 편안함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4.1 조각적 사고와 아우라(aura)의 상실
본질적으로 건축은 합리적 보편성과 사용자에 대한 기능적 측면을 요구하며, 이것은 디자인 언어의 관계(relationship) 및 확장을 바탕으로 규범적 사고와 맥락을 같이 한다. 즉, 근대 건축의 일관된 목적에도 부합하는 사고로서 기능적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정형적인 획일화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조각적 디자인 사고는 건축가의 개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독창성이나 상징적 표현을 목적으로 디자인을 전개하는 사고이므로 주요 개념은 이미지(image)를 중심으로 시각적 단서(visual cue)에 따라 내부 기능을 채워 나가는 방법론이다. 이것은 1960년대 이후 이상적 모델(ideal model)과 다원론적 측면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하며, 대개는 보편적 합리성보다는 전체적인 외피나 도시경관과의 맥락 등을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적인 특징은 잘 표현되지만 반대로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예상치 못한 오류를 범하기 쉽다.
표5. 디자인의 사고 전개와 방법론 비교
규범적 질서와 기능
시각적 상징성과 표현
주요목표
및 전개방향
보편적 사용성 및 합리성
( IN:기능 ▶ OUT:형태 )
독창적 개성 및 사용자요구
( OUT:형태 ▶ IN:기능 )
전이적 개념 및 분류
기능주의적 합리성과 은유
최소치(+α) / 최대치(-α)
표현주의적 유추와 상징성
목표치(±α)
Style
합리적 모델, 기능주의
이상적 모델, 다원주의
건축적
패러다임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및 키치(kitsch)
장 점
활용성 측면의 오류의 최소화
상징성 및 장소성의 구현
단 점
획일적 경향
보편적 기능성과
균질성의 부족
현대건축의 조각적 사고는 시각 디자인 언어를 중심으로 키치(kitsch)적 유희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키치(kitsch)는 사실상 저급 문화로부터 시작된 쾌락주의가 깊이 배어 있다. 즉, 유희는 즐거움을 통해 자기만족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태도로서 단순히 현대건축의 시각적 과시와 차별화 욕구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자기위안으로서의 문화적 욕구를 의미한다.
아우라(aura)의어떤 대상과 그 주위에서 감지되는 것과 같은 일련의 분위기, 혹은 진품이 가지는 유일무이한 가치나 정서.
상실은 자유로운 감각적 향수를 느끼는 대신 그 본질적 가치는 잃게 되는 것을 뜻한다. 아우라(aura)가 사라진 유희적 표현은 이질적인 재료, 스케일, 형태 등을 허용함으로서 때로는 혼란스럽고 기존의 관습적 체계에 대한 파괴적인 충동을 표현한다.
그림3. 키치(kitsch)적 유희성과 아우라(aura)의 상실
의도적으로 아우라(aura)를 제거하고 건축을 하나의 미술조각품과 같은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에는 현실의 구속으로부터 이탈하려는 심리가 내재되어 있다. 그것은 현실의 세계가 너무나 심각한 데서 오는 인간적인 반작용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환상적 이미지들을 통해 사회의 억압적인 요소들로부터 대리 만족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4.2 역사적 전통성의 재해석 및 모방
역사적 전통성이란 쉽게 변하지 않으며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생성, 발전되어온 일종의 문화적 산물로서 모방 및 복제의 대상인 동시에 창조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건축의 역사 또한 우리가 그것을 행함으로 생기는 하나의 “흔적”이므로 건축가에게 전통적 모델은 새로움을 창조해낼 수 있도록 디자인 사고를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그림4. 역사적 전통의 역할
역사적 전통의 재해석은 키치(kitsch)의 환상적 현실주의를 창조하는 자기기만적 성격을 잘 나타낸다. 즉,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를 분리시킴으로써 특정한 내용보다는 본질에 대한 흔적을 남기게 된다. 즉, 키치(kitsch)적 전통성은 ‘본질’보다는 ‘효과’로써의 측면이 좀 더 크다고도 할 수 있으며, 시각적 표현양식의 태도이다. 가시적 기호를 통해 전통성을 구현함으로써 일상의 행복감을 주며, 역사적 본질과 전통은 정신적 부담이 아닌, 즐거움을 위한 ‘도피처’가 된다.
키치(kitsch)는 그 특성상 건축적 적용범위가 매우 한정되므로 대부분의 역사적 전통성 역시 디자인 언어의 모방 및 재현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전혀 이질적인 고대 또는 중세양식을 차용하거나 형태 자체를 특정한 대상처럼 보이도록 시각적으로 연출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는 비일상적인 시각적 유희를 제공하며, 색다른 차원의 경험과 정보를 통해 역사적 본질보다는 일상의 즐거운 건축을 경험하게 한다.
유럽식 고전건축의 유형을 모방한 외관 및 파사드
노이슈반슈타인성(Neuschwanstein Castle)
디즈니랜드(Disneyland) 판타지랜드
롯데월드 매직 아일랜드
랭스(Reims)성당,1211년
노틀담(Notre-Dame)성당, 파리, 1163-1250년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한국적 전통성의‘본질’보다는‘효과’로서의 표현
수덕사 대웅전
독립기념관
통도사 대웅전
주한프랑스대사관
황룡사 9층목탑 (모형)
(아인스월드)
경주타워
그림5. 역사적 전통성의 재해석 및 모방
4.3 초현실주의적 우연성과 왜곡
초현실주적 사고라 함은 인간의 무의식 속에 내재된 비합리적인 감정이나 잠재의식, 또는 환상이나 공상 등을 새로운 표현 기법을 통해 표출함으로써 현실을 초월하려하는 경향을 뜻한다. 초현실주의는 1919년부터 2차 세계대전 발발 직후까지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전위적 문학예술 운동이며 다다이즘과 미래주의 등 20세기에 등장한 다른 전위운동에 비해 제1차,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가장 폭넓게 확산되었으며 논쟁적인 예술운동이었다. 초현실주의는 허무적인 다다이즘의 자연스런 결과로서, 당시 1차 세계대전의 참상으로 기인된 인간의 의욕과 문명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초현실주의는 이성(理性)의 지배를 받지 않는 공상 · 환상의 세계를 중요시하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따라 꿈의 이미지를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1.26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