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의적 다양성과 현대건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주의적 다양성과 현대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장소성과 지역성의 이론적 고찰
2.1 장소성
2.2 지역성
3.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역주의
3.1 기계화 시대의 합리성
3.2 새로운 사고의 전환
3.3 현대건축과 맥락주의(Contextualism)개념의 확대
4. 지역주의 전이(轉移) 및 사례분석
4.1 시각적 단서(visual cue)와 유추(analogy)적 측면
(1) 알도로시(Aldo Rossi)의 기억과 재현
(2) 웅거스(O.M.Ungers)의 형태학적 유추
4.2 추상적 연속성과 은유(metaphor)적 측면
(1) 쥬제페 테라니(Giuseppe Terragni)의 구성적 재해석
(2) 안톤 프레독 (Antoine Predock)의 풍토적 재해석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oning by visual analogy in design problem-solving : the role of guidance 라는 논문에서 source 외에도 base라는 용어를 함께 사용하였다. 여기서 source란 이미 해결된 문제와 그 해결안을 말하며, 이는 현재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인 ‘target\'을 해결하기 위한 참고자료로서 사용하게 된다.
에서 또 다른 영역(target area)으로 사상(mapping)되거나 전이(transfer)되는 인지 과정이며, 대부분은 이미지(image)를 중심으로 발생하게 된다.이한석, 건축디자인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7,2. p38
알도로시(Aldo Rossi)와 웅거스(O.M.Ungers)의 경우 기억과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시각적 단서(visual cue)의 관계성을 유효화한 지역주의 건축의 대표적 사례이다. 건축은 기본적으로 형태적인 속성과 공간 이미지를 시각적 사고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알도로시(Aldo Rossi)와 웅거스(O.M.Ungers)의 이러한 유추적 전이는 과거의 패러다임을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에 확대하여 적용함으로써 지역적 고유성의 효과를 극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알도로시(Aldo Rossi)와 웅거스(O.M.Ungers)의 유추개념
(1) 알도로시(Aldo Rossi)의 기억과 재현
알도로시(Aldo Rossi)가 추구한 합리적 건축은로시는 『합리적 건축(Architecttura razionale, 1973』에서 “합리적 건축은 1920년대의 이탈리아 합리주의의 단순한 재생이나 계승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건축을 재발견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양자에는 차이가 있다”고 강조한다. 1960년대 로시를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의 신-합리주의 건축 운동인 텐덴자(Tendenza)는 이탈리아 도시와 역사적 도시에 관심을 가지고 건축과 도시 모두를 회복하고자 시도 하였으며, 프로그램에 구속되지 않는 건축적 질서의 상대적 자율성을 강조하였다.
건축적 질서에 의해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지닌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로시는 장소의 유추를 통해 의미를 지닌 이미지 전달의 수법으로 활용하였는데, 세계의 극장(Teatro del Mondo for the Venice Biennale)은 이러한 도시적 의미와 연속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유추(analogy)를 통해 보여준 지역주의 사례가 된다.
로시는 16세기 이래로 공적 행사와 축제를 위해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온 베네치아풍의 이동 극장이라 할 수 있는 세계의 장치(machine del mondo)나 세계의 극장(Teatro del mondo)로부터 이미지를 유추하였다. 『현대건축사고론』길성호, 미건사,1998, p117
또한 여기에 베네치아의 도시 이미지와 연속성을 부여하는 결정적 디자인 요소인 수공간을 수용함으로써 기억 속에 내재된 형태학적 유형을 유추적 사고를 통해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유추의 도시(1977)’에는 그가 추구해 온 기억의 기하학과 장소의 전이 개념이 잘 나타나고 있다. “하나의 건물을 디자인 하는 데 있어서, 장소에 대한 이러한 유추들은 나에게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만일 잘 해석되었을 때, 이러한 유추들은 이미 디자인이 된다.” (P.Portogeshi, 1982)
특히 그가 “도시의 건축”을 통해 진정한 도시적 형성물이라고 평가했던 ‘포로 로마노’는 로마 시대의 대표적 포럼의 한 종류인 동시에 중요한 유추의 선례가 된다. 즉, 포럼은 로시에게 도시를 표현하는 중심 이미지, 또는 기념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지역성과 역사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유형학적 도구로써 기억의 중첩을 통한 유추적 지역주의에 적용되었다.
알도로시(Aldo Rossi)의 기억의 재현과 지역주의
Aldo Rossi
유추의도시
(1977)
디자인전이
기억의 재현과 장소적 유추
방법론활용
선례를 통한 이미지의 재현
과거 기억의 패러다임 활용
과거 규범의 새로운 해석
목 적
기억의 재현을 통한 지역성부여
디자인전개
디자인 이미지의 확장
패러다임
합리주의적 원형
(2) 웅거스(O.M.Ungers)의 형태학적 유추
웅거스(O.M.Ungers)의 형태학적 유추와 지역주의는 건축물과 장소 사이에서 인지되는 시각적 단서(visual cue)를 통해 과거의 규범 및 유형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중심으로 생성된다.
그는 “건축 창조의 과제는 과제의 표현과 기존의 것에 대한 적응 및 장소의 가치를 높이고 강조하는 것이며, 그것은 항상 건축이 생겨난 곳의 장소의 혼(genius loci)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장소와의 관계적 개념은 단지 실질적이고 물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그 장소가 지배하고 있는 정신적, 역사적, 그리고 사회적 공간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멘투헤텝 신전에서 보이는 전면의 다주실과 파르테논 신전의 주실은 웅거스(O.M.Ungers)가 설계한 독일 건축 박물관의 평면에서 기둥으로 둘러싸인 파고라의 형태로 재생된다. 또한 내부의 중심 공간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는 웅거스가 주장했던 ‘집속의 집’ 개념이 형상화됨으로써 유형학적 차원에서의 공통된 접근 형태가 나타난다. 즉, 각각의 평면은 그 용도와 시기 및 장소를 뛰어 넘어 외부에서 내부로의 공통된 공간 진행과 변화 있는 구성을 통해 지역주의의 형태학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웅거스(O.M.Ungers)의 형태학적 유추와 지역주의
O.M.Ungers
German Architecture Museum
디자인전이
형태학적 분석 및 유추
방법론활용
형태의 재현
과거 규범의 새로운 해석
목 적
유형학적 분석을 통한 지역성부여
디자인전개
시각적 단서(visual cue)의 해석
패러다임
고전주의의 재해석
4.2 추상적 연속성과 은유(metaphor)적 측면
비유(figurative speech)의 방법으로서 은유(metaphor)는 희랍어 metaphora로부터 기원을 찾을 수 있다.Metaphor(은유)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메타페레인에서 유래되었다. 메타는 ‘너머로’ 또는 ‘위로’의 뜻이 있고, 페레인은 ‘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1.26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