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뇨기관 해부학
1. 신장(kidney)
2. 요관(Ureter)
3. 방광(Bladder)
4. 요도(Urethra)
Ⅱ. 요석(Ureter stone)
1. 역학
2. 요석의 위험인자
3. 요석의 형성기전
1) 물리적이해
2) 광물대사(Mineral metabolism)
4. 요석의 병태생리
1) 칼슘석
2) 요산석
3) 감염석
4) 시스틴석
5. 요석의 증상
6. 요석의 진단
7. 요석의 치료
1) 대기요법
2) 용해요법
3) 체외충격파쇄석술 (extraco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SWL)
4) 요관경하배석술
5) 경피적신쇄석술(percutaneous nephrolithotomy, PNL)
6) 개복수술
8. 요석의 예방법
Ⅲ. 참고문헌
1. 신장(kidney)
2. 요관(Ureter)
3. 방광(Bladder)
4. 요도(Urethra)
Ⅱ. 요석(Ureter stone)
1. 역학
2. 요석의 위험인자
3. 요석의 형성기전
1) 물리적이해
2) 광물대사(Mineral metabolism)
4. 요석의 병태생리
1) 칼슘석
2) 요산석
3) 감염석
4) 시스틴석
5. 요석의 증상
6. 요석의 진단
7. 요석의 치료
1) 대기요법
2) 용해요법
3) 체외충격파쇄석술 (extraco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SWL)
4) 요관경하배석술
5) 경피적신쇄석술(percutaneous nephrolithotomy, PNL)
6) 개복수술
8. 요석의 예방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선 기능항진증, 신세뇨관산증에 의하여 잘 생긴다. 40대 이후에는 폐경기로 인한 저구연산증으로 인하여 칼슘석이 증가하기도 한다. 소아에서도 요석이 생길 수 있는데 그 원인은 요로감염, 요로의 선천성 기형과 대사장애에 의하여 주로 생긴다. 요석의 재발율은 연간 7%로 추정이 되며, 5년에 35%, 10년내에 50%가 재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2. 요석의 위험인자
1) 유전적 요인
요석은 아메리카 인디안, 아프리카흑인, 이스라엘인에는 드물게 발생하나 추운 온대지방에 사는 아시아인, 백인에서 발생율이 높다. 요석을 유발시미는 몇가지 질환은 유전하는데 familial renal tubular acidosis(RTA)는 약 70% 환자에서 신석과 신석회화증을 일으키며 시스틴뇨, hereditary, xanthinuria, dihydroxyadeninuria도 요석을 일으키는 유전질환이다.
2) 연령과 성별
요석은 20~40대에 호발하며 남녀비는 약 3:1이다. 그러나 소아에서는 남녀비가 유사하다. 혈장 남성호르몬이 증가하면 간에서 수산의 생성이 증가하여 요석이 잘 발생하고 반대로 여자나 소아에서는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기 때문에 수산석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신석환자의 요중 testosterone 농도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감소되어 있다는 보고도 있고 Welshman 등은 여성에서 요중 구연산의 배설증가가 요설이 적게 발생하는 원인으로 간주하였다.
3) 지리조건
요석은 산이 많은 지역, 사막, 열대지방에 많이 발생한다. 미국, 영국제도, 스칸디나비아나라, 지중해 연안국, 북부인도, 파키스탄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고 중남아메리카, 아프리카에서는 적게 발생한다. 영국과 수단에서는 대부분 인산칼슘, 수산칼슘의 혼합석이고 이스라엘에서는 요산석이 흔하다.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유전적 성향이 다른 것과 함께 음식문화, 온도, 습도 같은 환경적요인들이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4) 날씨 및 계절적 영향
주로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시기의 1~2개월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땀을 흘려 소변이 농축되면 결정이 쉽게 생성되고 소변이 산성화되어 특히 요산석의 발생위험이 증가한다. Parry 등은 햇볕에 많이 노출되면 Vitamin D3의 형성이 증가되어 요중 칼슘배설을 증가시키므로써 요석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5) 수분섭취
수분섭취를 증가시키면 요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분섭취로 이뇨가 증가하면 ion activity coefficients는 증가하나 요석 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요석성분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요석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물속에 있는 미네랄성분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경수(sodium carbonate)를 먹으면 요석형성이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6) 음식
여러종류의 음식과 음료의 섭취가 요석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purines, 수산, 칼슘, 인산등을 과량섭취하면 소변내 배설이 증가한다. 1994년 Curhan이 45000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요석 유병율을 조사한 결과 저칼슘식이를 먹은 사람들에서 요석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7) 직업
요석은 사무직, 요리사, 기계실작업자, 전문직, 관리직에서 많이 발생하며 노동자에서는 적게 발생한다. 우주비행사는 고칼슘뇨증, 저구연산뇨증, 요산도감소, 요량감소가 나타나므로 요석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선진국, 부유층지역, 상류사회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동물성 단백질 섭취증가에 의한 요중 칼슘, 수산, 요산의 배설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3. 요석의 형성기전
요석의 형성기전에 관한 많은 학설이 대두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다. 여러 원인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요석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1) 물리적이해
요석은 복잡한 물리화학적 과정의 결과이다. 주 요소로는 포화, 과포화, 결정화, 결정체의 성장과 응집, 결정체 저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포화 및 과포화
소금물에 소금을 조금씩 더 넣으면 소금이 더 이상 녹지 못하고 침전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때의 소금의 농도에서 용액은 포화되었다고 하고 이용액내의 용질의 곱을 thermodynamic solubility product(ksp)라고 하며 같은 온도와 pH에서는 일정하다. 여기서 소금을 더 많이 첨가할 때 결정체가 생기게 되며 이때를 과포화상태라 한다. 그러나 소변은 물과 같이 단순한 용액이 아니고 복합된 용액으로 억제제등 다른 여러물질들이 있어서 단순한 용매에서의 ksp보다 더 높은 용질의 농도에서도 결정을 이루지 않고 녹아있다. 용질의 농도가 계속 증가하여 결정체가 발생하기 시작할때의 용질농도의 곱을ㄴ 그결정염의 formation product(Kf)라 한다. 소변내의 요석성분의 농도는 대부분 사람에서 ksp와 kf사이의 준안정성영역(metastable range)에 있다.
(2) 핵화(nucleation), 결정성장(crystal growth)과 결정응집(crystal aggregation)
정상인의 요중 수산칼슘농도는 순수용액에서 나타나는 용해도의 4배이다. 이는 소변내에 포화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실제로 소변에서 수산칼슘의 침전은 이 용해도의 7~11배 농도에서 나타나며 이때 핵(nuclei)이 형성되는데 이를 균질성 핵화(homogeneous nucleation)라 하며 이 핵은 용해되지 않고 가가 결정체의 특징적인 격자모양을 지니는 초기의 결정구조이다. 그러나 소변에서는 대부분 결정핵이 상피세포, 세포조각, urine casts, 다른결정체, 적혈구 등과 같은 물질의 표면위에서 형성되는데 이를 불균질성 핵화(heterogeneous nucleation)라 하며 이는 homogeneous nucleation보다 훨씬 낮은 포화도에서 일어난다. 이런 이유로 상피세포의 손상이 있으면 훨씬 낮은 농도에서 요석결정이 형성된다.
(3) 자유입자 핵화설(Free particle nucleation)과 결정저류설(Crystal retention)
신장내 소변은 계속이동하며 새로운 용질이 첨가
2. 요석의 위험인자
1) 유전적 요인
요석은 아메리카 인디안, 아프리카흑인, 이스라엘인에는 드물게 발생하나 추운 온대지방에 사는 아시아인, 백인에서 발생율이 높다. 요석을 유발시미는 몇가지 질환은 유전하는데 familial renal tubular acidosis(RTA)는 약 70% 환자에서 신석과 신석회화증을 일으키며 시스틴뇨, hereditary, xanthinuria, dihydroxyadeninuria도 요석을 일으키는 유전질환이다.
2) 연령과 성별
요석은 20~40대에 호발하며 남녀비는 약 3:1이다. 그러나 소아에서는 남녀비가 유사하다. 혈장 남성호르몬이 증가하면 간에서 수산의 생성이 증가하여 요석이 잘 발생하고 반대로 여자나 소아에서는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기 때문에 수산석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신석환자의 요중 testosterone 농도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감소되어 있다는 보고도 있고 Welshman 등은 여성에서 요중 구연산의 배설증가가 요설이 적게 발생하는 원인으로 간주하였다.
3) 지리조건
요석은 산이 많은 지역, 사막, 열대지방에 많이 발생한다. 미국, 영국제도, 스칸디나비아나라, 지중해 연안국, 북부인도, 파키스탄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고 중남아메리카, 아프리카에서는 적게 발생한다. 영국과 수단에서는 대부분 인산칼슘, 수산칼슘의 혼합석이고 이스라엘에서는 요산석이 흔하다.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유전적 성향이 다른 것과 함께 음식문화, 온도, 습도 같은 환경적요인들이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4) 날씨 및 계절적 영향
주로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시기의 1~2개월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땀을 흘려 소변이 농축되면 결정이 쉽게 생성되고 소변이 산성화되어 특히 요산석의 발생위험이 증가한다. Parry 등은 햇볕에 많이 노출되면 Vitamin D3의 형성이 증가되어 요중 칼슘배설을 증가시키므로써 요석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5) 수분섭취
수분섭취를 증가시키면 요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분섭취로 이뇨가 증가하면 ion activity coefficients는 증가하나 요석 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요석성분을 희석시키기 때문에 요석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물속에 있는 미네랄성분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경수(sodium carbonate)를 먹으면 요석형성이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6) 음식
여러종류의 음식과 음료의 섭취가 요석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purines, 수산, 칼슘, 인산등을 과량섭취하면 소변내 배설이 증가한다. 1994년 Curhan이 45000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요석 유병율을 조사한 결과 저칼슘식이를 먹은 사람들에서 요석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7) 직업
요석은 사무직, 요리사, 기계실작업자, 전문직, 관리직에서 많이 발생하며 노동자에서는 적게 발생한다. 우주비행사는 고칼슘뇨증, 저구연산뇨증, 요산도감소, 요량감소가 나타나므로 요석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선진국, 부유층지역, 상류사회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동물성 단백질 섭취증가에 의한 요중 칼슘, 수산, 요산의 배설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3. 요석의 형성기전
요석의 형성기전에 관한 많은 학설이 대두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다. 여러 원인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요석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1) 물리적이해
요석은 복잡한 물리화학적 과정의 결과이다. 주 요소로는 포화, 과포화, 결정화, 결정체의 성장과 응집, 결정체 저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포화 및 과포화
소금물에 소금을 조금씩 더 넣으면 소금이 더 이상 녹지 못하고 침전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때의 소금의 농도에서 용액은 포화되었다고 하고 이용액내의 용질의 곱을 thermodynamic solubility product(ksp)라고 하며 같은 온도와 pH에서는 일정하다. 여기서 소금을 더 많이 첨가할 때 결정체가 생기게 되며 이때를 과포화상태라 한다. 그러나 소변은 물과 같이 단순한 용액이 아니고 복합된 용액으로 억제제등 다른 여러물질들이 있어서 단순한 용매에서의 ksp보다 더 높은 용질의 농도에서도 결정을 이루지 않고 녹아있다. 용질의 농도가 계속 증가하여 결정체가 발생하기 시작할때의 용질농도의 곱을ㄴ 그결정염의 formation product(Kf)라 한다. 소변내의 요석성분의 농도는 대부분 사람에서 ksp와 kf사이의 준안정성영역(metastable range)에 있다.
(2) 핵화(nucleation), 결정성장(crystal growth)과 결정응집(crystal aggregation)
정상인의 요중 수산칼슘농도는 순수용액에서 나타나는 용해도의 4배이다. 이는 소변내에 포화도를 감소시키는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실제로 소변에서 수산칼슘의 침전은 이 용해도의 7~11배 농도에서 나타나며 이때 핵(nuclei)이 형성되는데 이를 균질성 핵화(homogeneous nucleation)라 하며 이 핵은 용해되지 않고 가가 결정체의 특징적인 격자모양을 지니는 초기의 결정구조이다. 그러나 소변에서는 대부분 결정핵이 상피세포, 세포조각, urine casts, 다른결정체, 적혈구 등과 같은 물질의 표면위에서 형성되는데 이를 불균질성 핵화(heterogeneous nucleation)라 하며 이는 homogeneous nucleation보다 훨씬 낮은 포화도에서 일어난다. 이런 이유로 상피세포의 손상이 있으면 훨씬 낮은 농도에서 요석결정이 형성된다.
(3) 자유입자 핵화설(Free particle nucleation)과 결정저류설(Crystal retention)
신장내 소변은 계속이동하며 새로운 용질이 첨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