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미생물 - 신체 부위별 감염질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원미생물 - 신체 부위별 감염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Ⅲ 상부소회기계 세균성 질환(Bacterial Disease of the Upper Alimentary System)
Ⅳ 상부소화기계 바이러스성 질환(Viral Disease of the Upper Alimentary System)
Ⅴ 하부소화기계 세균성 질환(Bacterial Disease of the Lower Alimentary System)
Ⅵ 하부소화기계 바이러스성 질환(Viral Disease of the Lower Alimentary)
Ⅶ 하부소화기계 원충성 질환(Protozoan Disease of the Lower Alimentary)

18장. 비뇨생식기 감염(Genitourinary Infection)
Ⅰ비뇨생식기의 해부생리구조(Anatomy and Physiology)
Ⅱ 세균성 방광염(Bacterial Cystitis)
Ⅲ 생식기계 비성병 질병(Non-Venereal Genital System Disease)
Ⅳ 성매개성 질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 ; STD)
Ⅵ. 바이러스성 성매개성 질병(Viral STD)
Ⅶ. 원충성 성매개 질환(Protozen STD)
Ⅷ. 성매개행위에 의해 감염되는 절지동물 기생충증
(STD Caused by Multicellular Parasites)

제19장. 신경계감염(Nervous System Infection)
Ⅰ. 신경계 해부생리의 구조(Neurous System Anatomy and Physiology)
Ⅱ. 신경계 세균성 감염질환(Bacterial Nervous System Infection)
Ⅲ. 신경계 바이러스성 감염질환(Viral Disease of the Nervous System)
Ⅳ. 신경계 진균 감염

제20장. 창상감염(Wound Infection)
Ⅰ. 세균성 창상감염(Bacterial Wound Infection)
Ⅱ. 혐기성 세균성 창상 감염증(Disease due to Anaerobic Bacterial Wound Infection)
Ⅲ. 동물에 물리거나 할킨 상처에 감염되는 세균성 질환(Bacterial Bite Wound Infection)
Ⅳ. 사람이 사람을 물었을 때 감염되는 질환(Human Bites)
Ⅴ. 진균성 창상감염(Fungal Wound Infection)

제21장. 혈관과 림프계 감염질활(Blood and Lymphatic Infection)
Ⅰ. 순환계 해부와 생리(Circulatory System Anatomy and Physiology)
Ⅱ.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Ⅲ. Gram 음성 간균 균혈증(Gram Negative Bacillus Bacteremia)
Ⅳ.림프절과 비장에 감염되는 세균성 질환
Ⅴ. 림프절과 혈관벽계에 바이러스성 질환
Ⅵ. 원충성 혈관 질환(Protozoan Blood Disease)

본문내용

속도로 퍼지고 있으며
AIDS가 난치병인 이유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마비시키기 때문에 HIV의 공격을 받은 면역
세포들은 HIV 항원이 들어와도 항체를 생산하지 못한다. 예방은 파트너를 바꿔 빈번한
성생위 근절이 절대적이다. 치료는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protease 효소 억제제가 대표적
이다. 역전사효소 억제제는 HIV복제에 꼭 필요한 효소를 차단하는 약이다.
미식품의약국이 1987년 승인한 지도뷰딘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러나 HIV가 이 약물에
쉽게 내성을 띠는 단점이 있다. 백신 개발은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조만간 백신
개발에 성골할 것이며 AIDS 퇴치는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① 증상 : 무증상, 병의 포기에는 influneza와 유사한 증상 : 전형적으로 무증상적 기간
이 계속된다. 폐, 장기, 피부, 뇌와 그 외 부위 감염의 증상과 몇몇 종류의 암
이 생긴다.
② 잠복기 : 대략 6주간 감기와 같은 증상, 수 개월 또는 수 년동안에 걸쳐 나타나는 암
과 비정상적인 감염들
③ 병원체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1형
④ 병원성 : 바이러스는 CD4+ 림프구와 대식세포에 감염, 그러므로 감염과 암에 대한
면역계의 저항력이 서서히 파괴되어간다.
⑤ 역학 : HIV는 증상이 있거나 무증상인 경우에도 혈액, 정액, 질 분비물에 존재한다.
보통 성관계에 의해 전파되고 감염된 약물 남용으로 인한 감염된 주사바늘에
의해 이루어지며 임신 중인 산모는 태아에게도 감염을 전파한다. 다른 STD의
후천적 전이가 있다.
⑥ 예방과 치료 : 성 접촉과 약물 남용으로부터 절제 ; 일부일처제 ; 콘돔의 사용을 권장
: 많은 파트너 또는 STD의 병력을 가진 사람이나 약물남용에 의해 감
염된 사람과의 성접촉을 피한다. 감염이 예상되는 산모와 그들의 태아
에게 항-HIV 약물 투여, 치료제는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protease 효소
억제제를 함께 사용.
Ⅶ. 원충성 성매개 질환(Protozen STD)
1. 질 트리코모나스종(Trichomoniasis, \"Trich\" 트리코모나스종)
트리코모나스증의 원인 병원체는 trichomonas vahinalis로서 원충류 편모추에 소하며
남성의 요도나 여성의 질내에 기생하는 유일한 병원체로서 세균성 질염과 진균성 캔디다 질염 다음으로 트리코모나스 질염이 성매개행위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영양형에 4개의 편모가 전단에 있으며 축색을 가늘고 길며 영양형 후단에 길게 돌출되
어있다. 성행위로 직접접촉에 의해 남자는 요도 여자는 질내에 기생한다.
여자의 질내에서 질점막에 발적, 출혈, 점막괴사, 세포침윤이 생기며 임상적 증상은 황
녹색 질분비물인 대하증, 악취, 국부소양감, 작열감이 심하다. 남자에게서는 아무 증상이
없으나, 때로 요도염과 전립선 정낭염이 생기기도 한다.
예장은 절제된 성생활과 콘돔사용으로 전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기혼 여성
25~33세에서 20~30%, 남자에서 2~3%가 감염되어 있다. 치료약제로서는
metronidazol을 경구투여한다.
① 증상 : 여성의 질 소양감과 따끔따끔한 아픔, 데인 듯 한 따가움, 질이 뭇고 질부가
붉어짐, 수포형성, 때때로 냄새가 나는 노르스름한 농 분비물이 흐르고, 배뇨
시 요도가 따가웁다. 남성의 요도 - 성기에 농 분비물이 흐르고, 배뇨시 요도
가 따갑고 고환의 통증, 전립선도 유사히 증상, 여성의 경우 많은 수가 증상
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대부분이 무증상이다.
② 잠복기 : 4~20일
③ 병원체 : trichomonas vaginalis 영양셩 전방에 4개 편모를 가진 원출 후방 편모는
물결모양의 막에 접착된다. 명백한 급격한 운동성에 있어 활발히 움직인다. ;
미토콘드리아가 없다.;hydrogenosome은 존재한다.
④ 병원성 : 염증성 변화와 출혈은 운동성이 있는 질 트리코모나스 감염으로 소양감과
농이 흐른다. 전 세계 널리 분포 ; 무증상 보균자는 점차 퍼져나간다. 은밀한
성접촉에 의해 전이
⑤ 역학 : 여러 파트너를 상대하는 사람은 감염의 위험이 더 높다.
⑥ 예방과 치료 : 감염된 산모로부터 태어난 아기는 출생시에 감염된다.
절제된 성생활, 일부일처제, 질명을 막기 위해 콘돔 사용, 치료제는
metronidazole.
Ⅷ. 성매개행위에 의해 감염되는 절지동물 기생충증
(STD Caused by Multicellular Parasites)
1. 이기생증(pediculosis ; Pubice Lice ; \"Crabs)
1) 머릿이(head louse)
기생부위는 모발 부위이며 머리 빗, 솔, 모자를 같이 사용 시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
게 옮겨 전파되며 질병을 매개하지는 않는다. 머릿이는 후두부와 경부에서 흡혈을 한
다.
2) 몸이(body louse)
의복 섬유에 붙어있다. 접촉이나 의목에 의해서 혹은 서캐가 있는사람에 의해서 전차
되며 의복과 접촉 부취에서 흡혈 시 유행성 발진티프스, 재귀열, 참호열 질병을 매개
한다.
3) 사면발이(crab louse, phthirus pubis)
몸이 미릿이 와는 뚜렷이 구별되며 길이에 비해 넓이는 상당히 넓다.
‘게’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수컷이 약 1.0mm이고 암컷은 약 1.5mm이다.
동체에 비해 비교적 긴 발톱이 있는 다리가 특이하다. 체색은 회색이고 때로는 약간 붉
은 색이다. 주로 음모에 기생하나 때때로는 겨드랑이 털, 가슴 털, 눈썹에도 부착한다.
모발에는 기생하지 않는다. 음모에 붙어있다 성접촉 시 상대방 파트너에 전파된다. 그
밖에 수건, 욕조, 변기, 속옷 내의 등으로도 전파될 수 있다.
사면발이 병원성:사면발이는 남녀 음부 음모에 붙어있으면서 흡혈시 ‘이’ 타액이 자상
부위로 주입되어 심한 가려움증과 발진이 생긴다. 이때 심한 가려움
으로 긁어서 출혈반점도 보이지만 흔히 2차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료:머리 및 음모를 감고 깨끗이 말린다.1% gamma benzene hexachloride가 함유
된 샴푸나 0.2% pyrethrins, 0.3%copper oxalate를 국소적으로 처치하면 효과가
있다.
구제법:털에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2.02.0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