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가 경쟁우위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
II. 국가경쟁력 우위의 결정요인
1. 요소조건(factor conditions)
2. 수요조건(demand conditions)
3. 연관 및 지원산업(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4. 기업전략, 구조 및 경쟁관계(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5. 우연(chance)의 역할
6. 정부(government)의 역할
II. 국가경쟁력 우위의 결정요인
1. 요소조건(factor conditions)
2. 수요조건(demand conditions)
3. 연관 및 지원산업(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4. 기업전략, 구조 및 경쟁관계(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5. 우연(chance)의 역할
6. 정부(government)의 역할
본문내용
기업이며, 해외판매를 통하여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함
- 국제경쟁력 확보의 기본요소가 되는 개발과 혁신의 측면에서 볼 때 국내경쟁은 해외기업과의 경쟁보다 우월함
국내기업과의 경쟁은 가격뿐 아니라 기술경쟁으로 이루어져 상호 비용절감, 제품의 질과 서비스향상, 신제품과 공정개발 압력으로 작용하여 개량과 혁신을 유발
- 국내경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가경제에 좋은 영향을 가져다 줌
① 강한 국내 경쟁기업의 존재는 가시적인 압력요인(간접적, 개인적인 경쟁관계)으로 작용하여 상호개선을 유도
② 치열한 국내경쟁은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압력으로 작용(특히 규모의 경제 작용시)
(예) 독일의 필기도구 기업 Staedtler(2위 기업)은 Faber-Castell과의 국내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해외시장을 집중하여 성공. 이는 또한 Faber-Castell의 해외시장 진출동기가 됨
③ 국내경쟁은 혁신의 압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일국의 기업이 경쟁우위를 고도화(upgrade)할 수 있도록 함
④ 국내 경쟁과정에서 다양한 전략의 수립과 폭넓은 상품생산은 혁신을 초래하며 산업전반에 걸친 경쟁우위를 가져와 해외기업의 침투기회를 봉쇄함. 이에 따라 일개 도시 또는 지역에 국내 경쟁기업들이 집중되어 있는 경우도 많음
(예) 이탈리아의 보석상(Arezzo, Valenza Po), 미국의 광고업(New York, Madison Ave.), 일본의 오토바이(Hamamatsu)
⑤ 국내경쟁의 존재는 경쟁우위를 창조할 뿐만 아니라, 경쟁열위를 회피하는데 도움이 됨
다양한 경쟁전략을 구사하는 국내경쟁기업의 존재는 혁신을 초래하고 경쟁을 저해하는 정부의 개입을 저지함
- 효과적인 경쟁을 위한 국내 경쟁기업의 수는 특정산업에서의 규모의 경제 달성수준에 의해 결정됨
그러나 규모의 경제는 경쟁우위에 있어서 혁신에 비하면 그 중요성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80년대 이후 많은 기술분야에 있어서 규모 민감성(scale-sensitivity)이 사라지고 있음
- 소규모 경제에 있어 국내경쟁기업이 부족한 경우 국제화 전략의 추진과 국내시장의 개방으로 대처할 수 있음
(예) central office telephone switches산업은 규모의 경제(특히 R&D에서)가 크나 스웨덴(Ericsson)과 캐나다(Northern Telecom) 등 소국 또한 경쟁력 확보
- 국내 경쟁기업간의 협력은 투자와 중복을 회피할 수 있게 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케 하지만 기술경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협력이 아닌 한 다양성을 제거하고 인센티브를 약하게 하며, 산업내 개량의 속도를 더디게 하여 경쟁우위를 훼손함
- 국내경쟁의 정도는 새로운 경쟁기업이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결정되며 그 결정과정은 국가경쟁 우위확보에 중요한 요인이 됨
6)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new business formation)
1) 완전히 새로운 기업의 설립
기존의 기업종사자로서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들에 의한 spin-off로서 이는 국내 경쟁기업의 창조를 통하여 국가경제에 유익함
다아이몬드내의 다른 결정요인들이 어느 산업에 새로운 기업이 등장할 것인가를 결정
2) 기존 기업의 내부적 다양화에 의한 새로운 산업에의 진입
관련 산업으로부터 활발한 진입은 특정산업에서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됨
이러한 내부적 진입은 한국, 일본, 독일 등 역사적으로 기업의 다양화가 인수(acquisition)보다는 새로운 기업의 설립에 의존하는 나라들에 많음
5. 우연(chance)의 역할
- 우연요인이란 일국의 환경적 여건과 관련이 없으며 기업 또는 정부의 권한이 미치지 않는 사건을 의미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중요한 요인: 순수한 발명, 기술적 단절을 초래하는 진보(biotechnology, microelectronics), 투입비용의 단절을 초래하는 충격(oil-shock), 국제금융시장 또는 환율의 급변, 세계수요의 급성장, 전쟁 등
- 우연요인은 기존의 경쟁관계 지위에 변동을 가져오는 단절을 초래하므로 중요함
이는 기존의 경쟁우위기업을 무력화시키고 새로운 조건하에서 신규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 부여
(예) microelectronics의 발전: 미국 및 독일 기업의 지배를 무력화하고 일본기업의 진입을 허용
냉전시대에 미국의 중국산 가발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한국산 가발산업의 발전
- 우연적인 사건은 Diamond내의 여러 가지 조건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함
(예) 투입요소 비용 또는 환율의 큰 변화 → 일부요소의 열위 초래 → 혁신을 촉진
전쟁의 발발 → 과학에 대한 투자필요(요소창조) → 고객관계 파괴(수요조건)
- 우연적인 사건은 관련 각국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침
(예) 1, 2차 석유파동(oil shock)은 에너지를 해외에 의존하는 나라들에 급격히 심각한 충격을 주었음
- 우연적인 사건은 특정산업에 있어서 경쟁우위에 변화를 허용하지만 실제로 어느 나라가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느냐는 그 나라의 특성 즉, 다아아몬드의 성격에 의해 결정됨
6. 정부(government)의 역할
- 국제경쟁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은 가장 두드러지게 거론되고 있는 사항이며 일본과 한국정부의 정책은 이들 나라 기업의 국제적 성공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받고 있음
- 국가경쟁력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은 Diamond의 여러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으며 독자적인 경쟁력 결정요인으로 볼 수 없음
요소조건은 정부의 보조금, 자본시장 정책, 교육정책 등 정부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국내 수요요건은 제품표준 및 규제정책에 영향을 받게 됨
- 이와 함께 정부정책 또한 Diamond의 4가지 결정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까다로운 국내수요는 제품안전기준의 조기 도입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교육투자 부문의 선택은 국내시장 경쟁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됨
- 정부가 경쟁력 결정요인들에 주는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으나 부정적인 경우도 있음
(예) 일본의 팩스산업: 일본 법무성에서 팩스 서류에 대한 법적인 증거능력을 인정함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게 됨
반면 이탈리아의 규제적 금융시장 정책은 이탈리아 금융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함
- 국제경쟁력 확보의 기본요소가 되는 개발과 혁신의 측면에서 볼 때 국내경쟁은 해외기업과의 경쟁보다 우월함
국내기업과의 경쟁은 가격뿐 아니라 기술경쟁으로 이루어져 상호 비용절감, 제품의 질과 서비스향상, 신제품과 공정개발 압력으로 작용하여 개량과 혁신을 유발
- 국내경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가경제에 좋은 영향을 가져다 줌
① 강한 국내 경쟁기업의 존재는 가시적인 압력요인(간접적, 개인적인 경쟁관계)으로 작용하여 상호개선을 유도
② 치열한 국내경쟁은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압력으로 작용(특히 규모의 경제 작용시)
(예) 독일의 필기도구 기업 Staedtler(2위 기업)은 Faber-Castell과의 국내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해외시장을 집중하여 성공. 이는 또한 Faber-Castell의 해외시장 진출동기가 됨
③ 국내경쟁은 혁신의 압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일국의 기업이 경쟁우위를 고도화(upgrade)할 수 있도록 함
④ 국내 경쟁과정에서 다양한 전략의 수립과 폭넓은 상품생산은 혁신을 초래하며 산업전반에 걸친 경쟁우위를 가져와 해외기업의 침투기회를 봉쇄함. 이에 따라 일개 도시 또는 지역에 국내 경쟁기업들이 집중되어 있는 경우도 많음
(예) 이탈리아의 보석상(Arezzo, Valenza Po), 미국의 광고업(New York, Madison Ave.), 일본의 오토바이(Hamamatsu)
⑤ 국내경쟁의 존재는 경쟁우위를 창조할 뿐만 아니라, 경쟁열위를 회피하는데 도움이 됨
다양한 경쟁전략을 구사하는 국내경쟁기업의 존재는 혁신을 초래하고 경쟁을 저해하는 정부의 개입을 저지함
- 효과적인 경쟁을 위한 국내 경쟁기업의 수는 특정산업에서의 규모의 경제 달성수준에 의해 결정됨
그러나 규모의 경제는 경쟁우위에 있어서 혁신에 비하면 그 중요성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80년대 이후 많은 기술분야에 있어서 규모 민감성(scale-sensitivity)이 사라지고 있음
- 소규모 경제에 있어 국내경쟁기업이 부족한 경우 국제화 전략의 추진과 국내시장의 개방으로 대처할 수 있음
(예) central office telephone switches산업은 규모의 경제(특히 R&D에서)가 크나 스웨덴(Ericsson)과 캐나다(Northern Telecom) 등 소국 또한 경쟁력 확보
- 국내 경쟁기업간의 협력은 투자와 중복을 회피할 수 있게 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케 하지만 기술경쟁을 유지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협력이 아닌 한 다양성을 제거하고 인센티브를 약하게 하며, 산업내 개량의 속도를 더디게 하여 경쟁우위를 훼손함
- 국내경쟁의 정도는 새로운 경쟁기업이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결정되며 그 결정과정은 국가경쟁 우위확보에 중요한 요인이 됨
6)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new business formation)
1) 완전히 새로운 기업의 설립
기존의 기업종사자로서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들에 의한 spin-off로서 이는 국내 경쟁기업의 창조를 통하여 국가경제에 유익함
다아이몬드내의 다른 결정요인들이 어느 산업에 새로운 기업이 등장할 것인가를 결정
2) 기존 기업의 내부적 다양화에 의한 새로운 산업에의 진입
관련 산업으로부터 활발한 진입은 특정산업에서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됨
이러한 내부적 진입은 한국, 일본, 독일 등 역사적으로 기업의 다양화가 인수(acquisition)보다는 새로운 기업의 설립에 의존하는 나라들에 많음
5. 우연(chance)의 역할
- 우연요인이란 일국의 환경적 여건과 관련이 없으며 기업 또는 정부의 권한이 미치지 않는 사건을 의미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중요한 요인: 순수한 발명, 기술적 단절을 초래하는 진보(biotechnology, microelectronics), 투입비용의 단절을 초래하는 충격(oil-shock), 국제금융시장 또는 환율의 급변, 세계수요의 급성장, 전쟁 등
- 우연요인은 기존의 경쟁관계 지위에 변동을 가져오는 단절을 초래하므로 중요함
이는 기존의 경쟁우위기업을 무력화시키고 새로운 조건하에서 신규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 부여
(예) microelectronics의 발전: 미국 및 독일 기업의 지배를 무력화하고 일본기업의 진입을 허용
냉전시대에 미국의 중국산 가발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한국산 가발산업의 발전
- 우연적인 사건은 Diamond내의 여러 가지 조건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함
(예) 투입요소 비용 또는 환율의 큰 변화 → 일부요소의 열위 초래 → 혁신을 촉진
전쟁의 발발 → 과학에 대한 투자필요(요소창조) → 고객관계 파괴(수요조건)
- 우연적인 사건은 관련 각국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침
(예) 1, 2차 석유파동(oil shock)은 에너지를 해외에 의존하는 나라들에 급격히 심각한 충격을 주었음
- 우연적인 사건은 특정산업에 있어서 경쟁우위에 변화를 허용하지만 실제로 어느 나라가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느냐는 그 나라의 특성 즉, 다아아몬드의 성격에 의해 결정됨
6. 정부(government)의 역할
- 국제경쟁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은 가장 두드러지게 거론되고 있는 사항이며 일본과 한국정부의 정책은 이들 나라 기업의 국제적 성공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받고 있음
- 국가경쟁력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은 Diamond의 여러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으며 독자적인 경쟁력 결정요인으로 볼 수 없음
요소조건은 정부의 보조금, 자본시장 정책, 교육정책 등 정부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국내 수요요건은 제품표준 및 규제정책에 영향을 받게 됨
- 이와 함께 정부정책 또한 Diamond의 4가지 결정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까다로운 국내수요는 제품안전기준의 조기 도입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교육투자 부문의 선택은 국내시장 경쟁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됨
- 정부가 경쟁력 결정요인들에 주는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으나 부정적인 경우도 있음
(예) 일본의 팩스산업: 일본 법무성에서 팩스 서류에 대한 법적인 증거능력을 인정함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게 됨
반면 이탈리아의 규제적 금융시장 정책은 이탈리아 금융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함
추천자료
- 피터 드러커의 '프로페셔널의 조건'을 읽고
- 국제 기업들의 전략적 제휴
- 스포티지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
- 사내 직업훈련의 지원방안에 관한 고찰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활동과 기술혁신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기업의 인재육성 동향과 과제
- [기업경쟁력][기업경쟁력 핵심역량][기업경쟁력 강화]기업경쟁력 핵심역량과 기업경쟁력 강화...
- 호텔기업간_전략적_제휴에_관한_연구
- 세계화시대의 국가경쟁력강화방안
- 글로벌시대의 산업집적지 경쟁력
- 기업의 경쟁우위전략) 경쟁우위의 개념, 경쟁우위와 경쟁전략
- KPOP (케이팝) 마케팅 전략 성공요소 브랜드 전략요소 파악
- 한진택배 [택배업 개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