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타0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바타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작..

아바타..

줄거리..

영화 속 인물..

모티프or패러디

마치며..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임무를 알고있지만 나비족에 다가가기위해 그를 받아들인다.
-용병(쿼리치)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에 빠지면 아쉬운게 이 마초(집단)이라 생각한다. 쿼리치는 용병집단의 우두머리로 나비족에 큰 원한을 가지고있다. 마치 모비딕의 에이하브선장처럼 나비족에게 당한 상처를 남겨두어 복수의 칼날은 가는 인물이다. 제이크에게 조건부로 맡긴 임무가 실패하자 광분하고 (회사의)대의 반, 사심 반으로 전쟁을 일으키며 종국에는 주인공을 죽이려들지만 실패하고 죽고만다.
-회사(파커)
언옵테니움을 캐기 위해 판도라 행성에 왔으며 어찌보면 이 모든일의 원흉이라 할 수있다. 나비족을 단순한 원주민이자 야만인으로 취급하고 그레이스박사가 설명하는 나비족의 네트워크를 헛소리 정도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 들과의 싸움으로 인한 무참한 현실을 영상으로 목격하고는 다소 움츠러들고 망설이는 모습도 보인다. 이 때문인지 결국 쿼리치에게 지휘권 마저 빼앗긴다.
*광적인 모습의 쿼리치
*문제의 언옵테니움을 들고있는 파커
-나비족
*에오와의 계시
*샤헤일루
기본적으로는 판도라 행성의 원주민이고 인디언 처럼 샤머니즘을 띄고 있다. 에오와라는 신을 섬기며 에오와의 씨앗은 항상 에오와의 계시라고 생각한다. 덕분에 주인공 제이크도 에오와의 계시로 여겨져 나비족에 합류하게 된다. 자연친화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활과 창을 사용하는 미개한 느낌보다는 이크란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독특한점은 ‘샤헤일루’라는 것으로 머리카락 끝 부분의 촉수로 동식물들과 교감을 나눌 수 있으며 이 촉수는 성기를 묘사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모티프or패러디
영화를 감상하는 중간중간에 드는 ‘어 이 장면, 이 내용 어디서 본듯한데?’하고 생각나는 것들이 있다. 그것들을 크게 세가지라고 말한다면 나는 와우와 미국의 서부개척시대, 그리고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다. 발표할때는 개인적인 느낌을 모두 전달하고 싶어 이것저것 떠들었는데 다소 허무맹랑한 감이 있어 앞에서 설명한 와우를 제외하고 크게 수정주의 서부극과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으로 정리해보았다.
-수정주의 서부극
이 영화를 보다보면 여기서 나오는 ‘하늘사람’들이 서부개척당시 미국인을 상징하고 ‘나비족’은 미국의 원주민인 인디언들이며 미국에 대한 다분히 비판적인 시각이 담겨 있을거라 생각하였다. 이런 생각은 반만 맞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받아 들였고 영화와 관련된 전문가의 해설 또한 그와 다를바 없었다. 하지만 타입지와의 인터뷰에서 감독은 그런 의도가 아니며 그러한 생각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와 다를바 없다고 설명하였기 때문이다.
수정주의 서부극은 1950년대에 탄생한 장르로 미국인의 서부개척이 사실은 이전 서부극에서 보여준 것처럼 인디언들에 대한 문명인들의 위대한 승리가 아닌 영토확장을 위한 침탈이었다는 것을 폭로하는 영화이다. 영화 ‘늑대와 춤을’,‘포카 혼타스’ 등이 있으며 야만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인디언이 아닌 백인이 아니냐는 식의 의문을 던지는 방식이며 감독의 의도가 어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2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8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