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EG-2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PEG-2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PEG-2 란 무엇인가?

2. MPEG-2의 목적.

3. MPEG-2의 기능 및 논리적 구조.

4. MPEG-2의 응용.

5. MPEG-2의 기타 관련 내용.

6. 결론.

7.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응용, 멀티미디어 통신, 디지털 오디오 방송, HDTV방송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디지털 TV 방송과, 미국의 ATV 방식에서는 MPEG-2 표준을 그 핵심적 기술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여러 전달 매체들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VOD(Video On Demand), VDT(Video Dial Tone), 홈 쇼핑, 그리고 영화 및 원거리 영상 감시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MPEG-2는 방송 환경뿐만 아니라 ATM망, Computer Network, 나아가서는 정보 고속도로 등에 서로 연결되어 동영상 데이타가 전달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 MPEG-2의 기술규격이 확정됨에 따라 비디오 복호기의 개발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미국, 유럽, 일본의 유수 회사들은 이미 IC를 출시했다. SGS-Thomson은 STi3500을, LSI가 L6400이라는 형명으로 이미 MPEG-2 비디오 복호기 IC를 발매했으며 기타 AT&T, C-Cube, GCT, Hitachi, IIT,Matsushidda, Mitsubish, NEC, Pioneer, Sony, Toshiba 등 10여개 회사도 출시했다. 이들 IC들은 대부분이 0.5~0.7㎛ 공정을 사용한 고집적 IC로서 144~208 pin QFP(Quad Flat Package) 타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도 앞으로 무궁화호 위성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멀티미디어, HDTV 등에 MPEG-2가 채택되어서 관련 IC 및 시스템의 개발을 놓고 가전사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 MPEG-2의 응용 예.
1. LG전자 수퍼멀티블루 GGW-H20L
2. DVD player.
5. MPEG-2의 기타 관련 내용.
5.1 MPEG 특허.
▷ MPEG-2에 대한 특허료 징수에 대한 논의가 시직된 후, MPEG-2의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일본의 마쓰시타, 후지쯔 등 7개 회사와 콜럼비아 대학 등이 힘을 합해 MPEG LA(Licence Administrator)라는 특허 전담 회사를 설립하였다. 이 회사의 목적은 MPEG-2 관련된 특허 풀을 형성, 본격적인 특허료 징수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것이다.
MPEG LA는 MPEG-2 특허의 80%를 확보하고 있으며, MPEG-2의 주요 응용 분야인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 DVD플레이어, DVDR, 디지털TV 등의 디지털 가전제품은 물론 MPEG-2 알고리듬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나 칩세트까지 포함하여, 특허료 징수대상을 총 6개 범주로 나누고 일정한 금액의 특허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MPEG LA가 디지털 가전제품에 책정한 MPEG-2 특허료는 4달러 안팎이지만 이 회사외에도 MPEG-2 특허의 20%를 확보하고 있는 업체들에게도 특허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전자업체들이 지불해야 하는 MPEG 2 특허료는 최소한 세트당 5~6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국내업체들이 최근 유럽지역으로 수출을 본격화하고 있는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의 경우도 유료시청자 관리를 위해선 한정수신장치(CAS: Conditional Access System)를 장착해야 해야하는데 이 기술은 미국의 NDC, 남아프리카공아국의 이리데토 등 전세계적으로 7개 업체 정도가 확보하고 있어 국내업체들이 이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트당 6~7달러 정도의 특허료를 지불해야 할 상황이다.
DVD플레이어의 경우 핵심특허를 장악하고 있는 업체들이 당초 예상과는 달리 개별적으로 특허료 징수에 나서고 있어 DVD규격제정에 참여하지 못한 국내업체들은 기본 규격사용에 따른 특허료는 물론 MPEG, AC-3, 복제방지기술 등 핵심요소기술별로 별도의 대가를 지불해야할 것이다.
1997년 10월 MPEG LA의 부사장 래리 혼이 우리 나라를 방문하여, MPEG-2 특허료에 대해 강조하고 간 바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삼성 전자도 MPEG LA에 특허 기술 보유 회사로 등록하여, 이미 일정량의 특허료를 받은 바 있다.
6. 결론.
▷ 이번 과제의 주제였던 MPEG-2를 조사하면서 크게 두 가지의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우선 첫 번째로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은 수요자의 필요성에 의해 창조된다고 생각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수요자의 멀티미디어정보의 활용도가 커지면서 더 많은 정보를 더 신속히 전송하고 수신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MPEG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초기단계였던 MPEG1 (CD를 포함한 저장매체의 동영상 압축표준)에서 이번 과제의 주제인 MPEG-2 (고선명(HDTV)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에 필요한 고화질 영상압축표준) 그리고 MPEG4 (콘텐츠의 사물이나 사람을 각각의 객체로 분할해 이를 기반으로 압축하고 표현하는 표준), MPEG7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을 위한 표준), MPEG21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유통 그리고 소비 과정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표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발전해 왔다. 그 결과 우수한 기능을 가진 MPEG기술을 확보하였다.
즉, 수요자의 필요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수요에 발맞춰 무한한 기술의 발전이 이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MPEG기술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사회에서 필요한 수많은 기술들은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을 이룩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우리나라의 기술에 대한 특허보유 이다. 앞서 MPEG기술의 특허에 관해서 언급했듯이 MPEG분야의 기술에 대한 특허를 우리나라 기업들이 소유하고 있는 부분도 있으나 상당수는 외국에서 보유하고 있었다. 이것은 이동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이유를 보면 더욱 명확해진다. 기초기술에 대한 지식이 없는 우리나라가 더 이상의 디딤돌이 없는 허공에서의 발전에 한계점에 이른 것이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분야에서도 가히 세계의 최고봉에 있다. 그러나 기술에 대한 특허보유 즉, 기초기술에 관한 지식이 없다면 이동통신 분야에서 겪고 있는 위기에 부

키워드

MPEG-2 ,   MPEG-1,   MPEG-7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2.2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