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소련 사회주의에 대한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련 사회주의 위기의 심화과정

2. 소련 사회주의에 대한 평가 - 스탈린 이후를 중심으로

3. 소련 사회주의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거치는 공산주의 사회로 말하고 있다. 그리고 레닌은 국가와 혁명 및 국가론 노트에서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를 사회주의라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를 사회주의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위의 인용문에서도 알 수 있지만, 마르크스나 레닌 모두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로서 사회주의를 계급이 철폐된 사회로 보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는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 역시 본래적 의미의 공산주의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을 형성하는 시기이며 부르주아적인 것과 공산주의적인 것의 통일체로서 과도적인 이행기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위의 언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이행기와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사이의 단절성을, 낮은 단계와 높은 단계의 연속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즉 사회주의로의 이행기에는 타격을 받았지만 다시 강력한 힘으로 부활할 수 있는 ‘자본주의적 관계’와 탄생하기는 했으나 아직 확고한 우위를 차지하지 못한 ‘사회주의 관계’의 통일과 투쟁이 이 시기의 주요한 모순을 이루지만 사회주의단계의 여러가지 모순은 부차적인 것이되는 반면,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에서는 사회주의 자체에 내재하는 사멸하는 부르주아적 요소들과 성장발전하는 공산주의적 요소들간의 통일과 투쟁이 이 시기의 주요모순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계에 따라 계급누쟁의 집중점도 틀려지게 되는데, 사회주의로의 과도기에는 자본주의를 사회주의로 변혁시키는 것이 집중이라면, 공산주의의 낮은 단계에서는 사회주의를 공산주의로 발전시키는 것이 된다.
이렇게 보았을 때 스탈린의 사회주의관은 사회주의아 공산주의를 동일한 생산양식의 두 국면으로 바라보면서 동일한 생산양식으로서의 양자간의 근본적인 일치성을 강조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사회주의로부터 공산주의로의 이행과정을 사회주의를 규정짓는 공산주의적 원리의 진화적 발전과정으로 보게됨으로써 그 과정이 지닌 모순적인 변증법적 성격 및 사회주의의 끊임없는 개조변혁의 필연성이 무시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은 공산주의로의 이행이라는 전망은 이미 공산주의와 다름없는 사회이다라는 언명 속에서 묻혀 버리며, 끝임없는 계급투쟁적 요소가 사라지면서 부르주아적 요소의 유입, 새로운 관료층의 형성 등 현재 제기되고 있는 사회주의권의 제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의 현실에서 드러난 것이, 당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행정관료층의 형성, 노동대중의 수동화 등 소련 사회주의의 위기의 특질적 징후들인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29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