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1. 지역사회개념
1) 일반적인 의미
2) 과학적인 정의
3) 관련개념 (감정기외 2005: 23)
4) 지역사회복지론 부상의 배경
5) 지역사회복지 접근방법
2. 지역사회복지실천
1) 다양한 정의
2) 유사용어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윤리와 가치
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영국
(1) 자선조직화사업
(2) 인보관운동
(3) COS와의 비교 (미국과 영국 검토)
(4) 지역사회사업의 등장과 변모 (60년대말 70년대 초)
2) 미국
(1) 초기(1870년~1914까지)
(2)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자선보증기구(Charity Endorsement Bureau)가 먼저 발족 (주로 상공회의소 내에)
(4) 자선연합회를 조직((Fed. of Charity & Philanthropy)
3] 지역사회 복지기관 협의회 (Council of Social Welfare Agencies) 등장
(1) 구성 동기
(2) 복지기관 협의회 활동:
(3) 운영상의 문제:
(4) 지역복지 협의회(Community Welfare Council, 사회복지협의회의 원형) 등장
(3) 대공황 시기= 공공복지 사업의 발전시기(29-54)
(4) 60년대 빈곤과의 전쟁 시기: 지역사회조직의 정착시기(1955-1970)
3) 일본: 생략
4) 한국
(1) 과거의 관행
(2) 외국 민간원조단체의 내한 활동
1. 지역사회개념
1) 일반적인 의미
2) 과학적인 정의
3) 관련개념 (감정기외 2005: 23)
4) 지역사회복지론 부상의 배경
5) 지역사회복지 접근방법
2. 지역사회복지실천
1) 다양한 정의
2) 유사용어
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윤리와 가치
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영국
(1) 자선조직화사업
(2) 인보관운동
(3) COS와의 비교 (미국과 영국 검토)
(4) 지역사회사업의 등장과 변모 (60년대말 70년대 초)
2) 미국
(1) 초기(1870년~1914까지)
(2)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3) 자선보증기구(Charity Endorsement Bureau)가 먼저 발족 (주로 상공회의소 내에)
(4) 자선연합회를 조직((Fed. of Charity & Philanthropy)
3] 지역사회 복지기관 협의회 (Council of Social Welfare Agencies) 등장
(1) 구성 동기
(2) 복지기관 협의회 활동:
(3) 운영상의 문제:
(4) 지역복지 협의회(Community Welfare Council, 사회복지협의회의 원형) 등장
(3) 대공황 시기= 공공복지 사업의 발전시기(29-54)
(4) 60년대 빈곤과의 전쟁 시기: 지역사회조직의 정착시기(1955-1970)
3) 일본: 생략
4) 한국
(1) 과거의 관행
(2) 외국 민간원조단체의 내한 활동
본문내용
ble Relief and Repressing Mendicity거지생활)
- 우애(호별)방문과 역할모델 제공(Casework 원형)을 시도 (김종일: 2004: 43)
- 우애방문원: 구호신청자, 가족, 이웃, 고용주까지 방문하여 상황 파악 (오늘날 자산조사)
- 빈곤층에 역할모델 제공: Casework원형 = 자신들이 역할모델 --> 빈민층 삶의 변화 시도
3] COS의 이념 및 이론적 배경
- 빈곤의 원인: 개인의 나태와 같은 도덕적 결함 --> 사회개혁은 개인의 쇄신에 의해서!!
- 사회진화론적 시각: 빈민의 삶은 의존과 자립 사이의 투쟁 -->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인 것에서 찾는 것은 사람의 적응능력을 훼손시킬 것!!
- 가치있는(deserving) 빈민과 가치없는(undeserving) 빈민 구분 --> 전자만 구제(救濟)하고, 후자는 억압적 구빈 행정의 대상이자 도덕적 교화의 대상으로 봄
4] 중요한 프로그램과 활동 (최일섭: 1985: 84-85)
- COS의 주요프로그램 3가지
① 참여가관들로부터 구호를 받는 CASE들의 명단작성 (Social svc index or exchange)
② Case분석회의(Conference): 각 Case에 대한 원조방안을 다양한 관련 집단 참가 하에 논의
③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연구 분석
* 사설복지기관들의 사업 조정이 목적이었으나 직접서비스도 제공
- 활동: 사회문제 해결에 촛점
- 기관 간 협력: case 명단의 공유, case conference, 기관의 설립과 개혁을 촉진.
- 제도 개선: 주택임대법 개정, 결핵퇴치협회의 설립, 소년법원과 교정요원들을 위한 입법활동, 요보호아동을 위한 기관 설립.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나중에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조직, 사회조사 촉진
(2) 인보관운동: Toybee Hall(인보관의 기원) (김범수, 1993 재가복지론)
1] 기본이념(Edward Dennison): “빈민에게는 자선금 배분보다 함께 살면서 도움주는 것이 효과적”
Samuel Barnett(White Chapel(빈민지역 교회) 목사): 빈민지역 복지향상을 위해 노력 --> 많은 인력이 필요 --> 옥스포드, 캠브리지 학생들에게 지역상황 설명, 자원봉사 권유
1883년 Oxford대학의 St. John\'s College와 Balliol College에서 “대도시와 대학인의 인보관운동” 연설에서 대학인이 대도시의 빈민가에서 할수 있는 일로 인보관 제시
Toynbee 사망(1883)후, 1884년 그를 기념하기위해 East London 지역에 대학 인보관(공식명칭 University Settlement in East London)을 설립, Toynbee Hall이라고 명명
목적: 지역사회 내, 교육받은 사람들이 저소득층과 접촉 --> 변화를 주고 자립시키려 함
- “빈곤 제거의 최선의 방법은 높은 생활수단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접촉”이라는 신념으로 사회개량사업에 착수
참여자:영국복지국가 형성의 지대한 공헌자인 W. Beveridge가 부관장
빈민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Michael Young 등
Tony 전 영국 수상
Jane Adams (Chicago에 Hull House라는 미국최초의 인보관을 세운사람)
2] Toynbee Hall의 활동 (19C말초-20C초)
[1] 조사연구
- 19C말 Charles Booth: 「런던시민의 생활과 노동」조사. 인보관 운동을 전개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욕구파악인데 이것의 최초 사례. 17권으로 구성
- 20C초 (1913-7) Beveridge: 무주택자, 실업자, 부랑자에 대한 경험적 사회조사
- 실업의 원인이 기술부족이나 의지력 결함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결함임을 지적
[2] 교육사업
- 20C초 노동자 교육연맹(일종의 노동자대학)의 설립. 노동자를 위한 다양한 강좌개설.
- 현재 음악교육사업, 외국어교육, 강연회, 청소년교육사업 등을 실시
[3] 아동-청소년사업: 취학 전 아동(2-5세) 대상 그룹사업
1884초 Barnett부부: 아동기금재단(어린이들에게 시골이나 해변 가에서 2주 휴가를 보내도록 하는 기금운동)운동 →현재 부활
[4] 사회복지사업(social svc사업)
소수민족 지원사업 - 방글라데시 노인을 위한 점심식사모임 등을 실시
상담소 - 영국 최초 지역사회 서민 상담: 사회보장, 이민, 국적, 무주택 등 다양한 문제 상담
결혼상담서비스
[5] 보건사업…방글라데시 출신 의사와 자원봉사자에 의한 의료보건상담사업
[6] 법률상담…19세기말 법률상담소 (poor man’s lawyer에 의해 운영), 그 외에도 범죄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보호사업도 행해짐
3] 토인비홀의 문제점: 사회개량주의에 근거한 전문가주의(부권주의)
- 원조를 제공하나 독점 --> 원조자와 수혜자는 부자관계 혹은 일방적 시혜자와 수혜자 관계
4] 영국 Settlement 협회에서 정의한 세틀먼트의 목적: 「보다 좋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협력하고, 사회단체나 지역주민이 지역의 문제를 서로 해결하기 위해 제반결정에 참여하고, 모든 사항에 관해 최대한 알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여 주는 것」
[1] 이를 위해 적극 추진해야 할 사항
① 상부상조하고, 서로 도움을 줄 것
② 실현가능한 현실적 목표 + 합리적 해결 모색 + 재정기관/당국의 가치관에 종속되지 말 것
③ 사회적인 실험을 행할 것, 그 결과를 보고하고 그것을 근거로 행동할 것
④ 특권 의식이 아니라 권리와 책임 의식의 증진을 위해 주장할 것
[2] 지양해야 할 사항
① 문제에만 집착하지말고 원인도 함께 탐구할 것
② 광범한 욕구나 문제를 무시하고, 한 지역에만 집착하지 말 것
③ 앨리트의식, 부권주의(온정주의), 전문가의식, 특권의식을 버릴 것, 시민 참가 강조
(3) COS와의 비교 (미국과 영국 검토)
COS
SETTLEMENT
사회문제의 근원
개인적 속성
환경적 요인
사상적
사회 진화적
자유주의+급진주의
참가자
사회의 상류층
교육받은 중류출신
사회문제의 접근
빈민의 개조,
역기능적인 상황의 수정
함께 거주, 그들의 생활을 이해하고, 기조사회질서 비판하지 않음
사회문제의 해결방법
케이스
- 우애(호별)방문과 역할모델 제공(Casework 원형)을 시도 (김종일: 2004: 43)
- 우애방문원: 구호신청자, 가족, 이웃, 고용주까지 방문하여 상황 파악 (오늘날 자산조사)
- 빈곤층에 역할모델 제공: Casework원형 = 자신들이 역할모델 --> 빈민층 삶의 변화 시도
3] COS의 이념 및 이론적 배경
- 빈곤의 원인: 개인의 나태와 같은 도덕적 결함 --> 사회개혁은 개인의 쇄신에 의해서!!
- 사회진화론적 시각: 빈민의 삶은 의존과 자립 사이의 투쟁 -->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인 것에서 찾는 것은 사람의 적응능력을 훼손시킬 것!!
- 가치있는(deserving) 빈민과 가치없는(undeserving) 빈민 구분 --> 전자만 구제(救濟)하고, 후자는 억압적 구빈 행정의 대상이자 도덕적 교화의 대상으로 봄
4] 중요한 프로그램과 활동 (최일섭: 1985: 84-85)
- COS의 주요프로그램 3가지
① 참여가관들로부터 구호를 받는 CASE들의 명단작성 (Social svc index or exchange)
② Case분석회의(Conference): 각 Case에 대한 원조방안을 다양한 관련 집단 참가 하에 논의
③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연구 분석
* 사설복지기관들의 사업 조정이 목적이었으나 직접서비스도 제공
- 활동: 사회문제 해결에 촛점
- 기관 간 협력: case 명단의 공유, case conference, 기관의 설립과 개혁을 촉진.
- 제도 개선: 주택임대법 개정, 결핵퇴치협회의 설립, 소년법원과 교정요원들을 위한 입법활동, 요보호아동을 위한 기관 설립.
- 지역사회계획 전문기관(나중에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조직, 사회조사 촉진
(2) 인보관운동: Toybee Hall(인보관의 기원) (김범수, 1993 재가복지론)
1] 기본이념(Edward Dennison): “빈민에게는 자선금 배분보다 함께 살면서 도움주는 것이 효과적”
Samuel Barnett(White Chapel(빈민지역 교회) 목사): 빈민지역 복지향상을 위해 노력 --> 많은 인력이 필요 --> 옥스포드, 캠브리지 학생들에게 지역상황 설명, 자원봉사 권유
1883년 Oxford대학의 St. John\'s College와 Balliol College에서 “대도시와 대학인의 인보관운동” 연설에서 대학인이 대도시의 빈민가에서 할수 있는 일로 인보관 제시
Toynbee 사망(1883)후, 1884년 그를 기념하기위해 East London 지역에 대학 인보관(공식명칭 University Settlement in East London)을 설립, Toynbee Hall이라고 명명
목적: 지역사회 내, 교육받은 사람들이 저소득층과 접촉 --> 변화를 주고 자립시키려 함
- “빈곤 제거의 최선의 방법은 높은 생활수단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접촉”이라는 신념으로 사회개량사업에 착수
참여자:영국복지국가 형성의 지대한 공헌자인 W. Beveridge가 부관장
빈민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Michael Young 등
Tony 전 영국 수상
Jane Adams (Chicago에 Hull House라는 미국최초의 인보관을 세운사람)
2] Toynbee Hall의 활동 (19C말초-20C초)
[1] 조사연구
- 19C말 Charles Booth: 「런던시민의 생활과 노동」조사. 인보관 운동을 전개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욕구파악인데 이것의 최초 사례. 17권으로 구성
- 20C초 (1913-7) Beveridge: 무주택자, 실업자, 부랑자에 대한 경험적 사회조사
- 실업의 원인이 기술부족이나 의지력 결함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결함임을 지적
[2] 교육사업
- 20C초 노동자 교육연맹(일종의 노동자대학)의 설립. 노동자를 위한 다양한 강좌개설.
- 현재 음악교육사업, 외국어교육, 강연회, 청소년교육사업 등을 실시
[3] 아동-청소년사업: 취학 전 아동(2-5세) 대상 그룹사업
1884초 Barnett부부: 아동기금재단(어린이들에게 시골이나 해변 가에서 2주 휴가를 보내도록 하는 기금운동)운동 →현재 부활
[4] 사회복지사업(social svc사업)
소수민족 지원사업 - 방글라데시 노인을 위한 점심식사모임 등을 실시
상담소 - 영국 최초 지역사회 서민 상담: 사회보장, 이민, 국적, 무주택 등 다양한 문제 상담
결혼상담서비스
[5] 보건사업…방글라데시 출신 의사와 자원봉사자에 의한 의료보건상담사업
[6] 법률상담…19세기말 법률상담소 (poor man’s lawyer에 의해 운영), 그 외에도 범죄자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보호사업도 행해짐
3] 토인비홀의 문제점: 사회개량주의에 근거한 전문가주의(부권주의)
- 원조를 제공하나 독점 --> 원조자와 수혜자는 부자관계 혹은 일방적 시혜자와 수혜자 관계
4] 영국 Settlement 협회에서 정의한 세틀먼트의 목적: 「보다 좋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협력하고, 사회단체나 지역주민이 지역의 문제를 서로 해결하기 위해 제반결정에 참여하고, 모든 사항에 관해 최대한 알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여 주는 것」
[1] 이를 위해 적극 추진해야 할 사항
① 상부상조하고, 서로 도움을 줄 것
② 실현가능한 현실적 목표 + 합리적 해결 모색 + 재정기관/당국의 가치관에 종속되지 말 것
③ 사회적인 실험을 행할 것, 그 결과를 보고하고 그것을 근거로 행동할 것
④ 특권 의식이 아니라 권리와 책임 의식의 증진을 위해 주장할 것
[2] 지양해야 할 사항
① 문제에만 집착하지말고 원인도 함께 탐구할 것
② 광범한 욕구나 문제를 무시하고, 한 지역에만 집착하지 말 것
③ 앨리트의식, 부권주의(온정주의), 전문가의식, 특권의식을 버릴 것, 시민 참가 강조
(3) COS와의 비교 (미국과 영국 검토)
COS
SETTLEMENT
사회문제의 근원
개인적 속성
환경적 요인
사상적
사회 진화적
자유주의+급진주의
참가자
사회의 상류층
교육받은 중류출신
사회문제의 접근
빈민의 개조,
역기능적인 상황의 수정
함께 거주, 그들의 생활을 이해하고, 기조사회질서 비판하지 않음
사회문제의 해결방법
케이스
추천자료
(지역사회 복지론) 지역사회의 개념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정책과 고찰
사회복지사무소에 대해서
기능주의와 갈등중의 측면에서 바라본 김천지역
재가노인복지사업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서브노트
[지역사회 복지론] 지방자치제도의 사회 복지적 성격(개념)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지방자치제 ...
[사회복지행정론]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방안
[지역사회 복지론] 지역사회 조직의 개념, 목적, 요소 및 과정 이해
사회복지행정론_우리나라는 복지체감도를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전달체계를 구축하...
노인복지론 2017년]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노인복지정책방향 잔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