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사회복지서비스의 형태와 기능
Ⅲ.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Ⅳ.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전략
Ⅴ. 결 론
Ⅱ. 사회복지서비스의 형태와 기능
Ⅲ.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Ⅳ.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전략
Ⅴ. 결 론
본문내용
[사회복지행정론]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방안
목 차
Ⅰ. 서 론
Ⅱ. 사회복지서비스의 형태와 기능
Ⅲ.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Ⅳ.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전략
Ⅴ. 결 론
Ⅰ. 서론 -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전환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사회복지서비스의 연계 및 협력방안을 모색하기에 앞서 우리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개념적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공공복지이든 민간복지이든 복지서비스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관점을 확실히 해 두어야 사업과 정책전개에 확신을 가져오는 이유에서 그렇다.
특히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에 의해 사회복지가 지역복지체제로 전환하므로 인해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기반 정비, 지역복지협의회 설치운영, 사회복지서비스 수급절차의 명확화, 사회복지시설 유형 세분화, 재가복지 서비스 유형 및 제공방안의 구체화 등이 실현되어 가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우리 나라는 사회복지서비스라는 용어를 협의의 사회복지사업과 동의어로 사용한다. 사회복지장기발전위원회, 한국의 사회복지장기발전계획, 1989, p.7
보건사회부, 보건사회백서, 1990, p.266
영국에서는 사회적 서비스 또는 사회복지서비스·개별 사회적 서비스라고 하며 김상균,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서울대출판부, 1987, p.8
일본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사회복지사업, 대인복지서비스·비화폐적 서비스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三浦文夫, 社福祉政策究, 全社福祉協議, 1987, p.17
특히 협의의 사회복지로서의 사회복지사업이란 국가부조의 적용을 받고 있는 자, 신체장애인, 아동 및 기타 원호육성을 요하는 자가 자립하여 그들의 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생활지도, 갱생보도 및 그 밖의 원호육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회복지사업이란 빈곤, 아동, 노령 또는 상병, 장해 및 비행 등에 대한 공사의 처치이며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써 현물의 급여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요구에 대하여 사회사업의 모든 방법을 통하여 전문적인 처치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사업은 경제적 곤란에 기인하는 사회적 생활의 곤란 및 사회적 부적응에 대한 대책으로써 원호, 육성 또는 갱생의 조치를 요하는 자에 대하여 그의 독립심을 손상함이 없이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게끔 원조하는 것이다. 신섭중, 사회보장정책론, 대학출판사, 1989, pp.32-33
그러므로 사회복지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국민의 생활상의 특수한 개별적 요구의 직접적인 충족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개인으로 가정의 생활곤란에 대응하는 기능적 특징을 갖고 있다. 남세진, 인간과 복지, 한울, 1992, p.177
그래서 필자도 사회복지서비스를 사회복지사업·대인복지서비스·개별 사회적 서비스와 동의어로 보고 그 대상 역시 동일하다고 본다. 예컨대 퍼스널소시얼 서비스는 보건과 교육과는 별개의 것으로 개인과 가족 또는 집단의 개별적인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로서 서비스의 제공자와 이용자 사이에 대면적 접촉을 요건으로 한 것이다. E. Sainsbary, The Personal Social Service, 1977, p.23
이것은 소위 공적부조와 사회복지의 분리에 대해 관계하고 있으며, 또한 서비스가 복지요구의 개별화와 대응해 있다는 점과 또 대면적 접촉의 의미를 확실히 한 것이다. 마샬도 개별 사회적 서비스라는 개념에서 퍼스널이라는 말이 이 개념의 키가 된다고 했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비스제공자가 단순히 만난다는 것이 아니다. 양자가 인간으로서 만나 의견을 교환하여 서비스제공자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리고 그 지식, 경험, 기술에 기초한 판단기준을 행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고 했다. T.H. Marshall, Social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1975, p.142
이렇게 보면 요보호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는 물질적ㆍ화폐적 원조와 함께 심리적 처우도 동시에 실시해야 한다. 공적부조와 케이스
목 차
Ⅰ. 서 론
Ⅱ. 사회복지서비스의 형태와 기능
Ⅲ.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Ⅳ.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복지서비스의 연계 전략
Ⅴ. 결 론
Ⅰ. 서론 -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전환
공공복지서비스와 민간사회복지서비스의 연계 및 협력방안을 모색하기에 앞서 우리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개념적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공공복지이든 민간복지이든 복지서비스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관점을 확실히 해 두어야 사업과 정책전개에 확신을 가져오는 이유에서 그렇다.
특히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에 의해 사회복지가 지역복지체제로 전환하므로 인해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기반 정비, 지역복지협의회 설치운영, 사회복지서비스 수급절차의 명확화, 사회복지시설 유형 세분화, 재가복지 서비스 유형 및 제공방안의 구체화 등이 실현되어 가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우리 나라는 사회복지서비스라는 용어를 협의의 사회복지사업과 동의어로 사용한다. 사회복지장기발전위원회, 한국의 사회복지장기발전계획, 1989, p.7
보건사회부, 보건사회백서, 1990, p.266
영국에서는 사회적 서비스 또는 사회복지서비스·개별 사회적 서비스라고 하며 김상균,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서울대출판부, 1987, p.8
일본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사회복지사업, 대인복지서비스·비화폐적 서비스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三浦文夫, 社福祉政策究, 全社福祉協議, 1987, p.17
특히 협의의 사회복지로서의 사회복지사업이란 국가부조의 적용을 받고 있는 자, 신체장애인, 아동 및 기타 원호육성을 요하는 자가 자립하여 그들의 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생활지도, 갱생보도 및 그 밖의 원호육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회복지사업이란 빈곤, 아동, 노령 또는 상병, 장해 및 비행 등에 대한 공사의 처치이며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써 현물의 급여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요구에 대하여 사회사업의 모든 방법을 통하여 전문적인 처치를 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사업은 경제적 곤란에 기인하는 사회적 생활의 곤란 및 사회적 부적응에 대한 대책으로써 원호, 육성 또는 갱생의 조치를 요하는 자에 대하여 그의 독립심을 손상함이 없이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게끔 원조하는 것이다. 신섭중, 사회보장정책론, 대학출판사, 1989, pp.32-33
그러므로 사회복지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국민의 생활상의 특수한 개별적 요구의 직접적인 충족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서비스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개인으로 가정의 생활곤란에 대응하는 기능적 특징을 갖고 있다. 남세진, 인간과 복지, 한울, 1992, p.177
그래서 필자도 사회복지서비스를 사회복지사업·대인복지서비스·개별 사회적 서비스와 동의어로 보고 그 대상 역시 동일하다고 본다. 예컨대 퍼스널소시얼 서비스는 보건과 교육과는 별개의 것으로 개인과 가족 또는 집단의 개별적인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로서 서비스의 제공자와 이용자 사이에 대면적 접촉을 요건으로 한 것이다. E. Sainsbary, The Personal Social Service, 1977, p.23
이것은 소위 공적부조와 사회복지의 분리에 대해 관계하고 있으며, 또한 서비스가 복지요구의 개별화와 대응해 있다는 점과 또 대면적 접촉의 의미를 확실히 한 것이다. 마샬도 개별 사회적 서비스라는 개념에서 퍼스널이라는 말이 이 개념의 키가 된다고 했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비스제공자가 단순히 만난다는 것이 아니다. 양자가 인간으로서 만나 의견을 교환하여 서비스제공자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리고 그 지식, 경험, 기술에 기초한 판단기준을 행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고 했다. T.H. Marshall, Social Policy in the Twentieth Century, 1975, p.142
이렇게 보면 요보호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는 물질적ㆍ화폐적 원조와 함께 심리적 처우도 동시에 실시해야 한다. 공적부조와 케이스
추천자료
[종교][종교의 개념][종교의 형태][종교의 본질][종교의 기능][종교의 체험][종교의 문제점][...
[국회][국회 기능][국회 권한][국회 영향요인][시민단체][외국 국회 운영 사례]국회의 역사, ...
사회보장의 개념과 형태 및 기능과 특성
노동조합이론- 노동조합의 정의와 기능 및 형태와 관리
NGO의 분류) 활동수준, 조직구조와 형태, 설립지역, 기능, 활동여역에 따른 NGO분류
(유통 경로 개념) 유통경로의 기능과 수준 및 형태, 목표
노동조합의 정의와 기능, 형태, 가입방법과 이유
EBS 교육방송프로그램의 정의와 활용형태, EBS 교육방송프로그램의 기능, EBS 교육방송프로그...
(결과) 돼지 심장의 해부를 통한 심장구조 관찰 - 인간의 심장과 비슷한 형태를 지닌 돼지 심...
대표관료제 (代表官僚制 / representative bureaucracy) - 대표관료제의 의의(개념)와 형태 ...
가족의 개념과 특성, 가족의 기능 및 형태
[사회보장] 사회보장의 개념과 목적 및 기능, 사회보장의 형태(사회보험의 개념과 특성)
[심리학의 역사] 중세까지의 심리학 근대심리학의 성립 현대심리학의 역사와 심리학파(구성주...
현대사회에서의 가족변화(가족형태의 변화 가족기능의 변화 가족주기 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