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현대 우리나라 사회체육 ⦁⦁⦁⦁⦁⦁⦁⦁⦁⦁⦁⦁⦁⦁⦁⦁⦁1
Ⅱ. 세계의 사회체육 ⦁⦁⦁⦁⦁⦁⦁⦁⦁⦁⦁⦁⦁⦁⦁⦁⦁71. 미국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 ⦁⦁⦁⦁⦁⦁⦁⦁⦁⦁⦁⦁⦁⦁⦁⦁⦁7
2) 사회체육의 시설 ⦁⦁⦁⦁⦁⦁⦁⦁⦁⦁⦁⦁⦁⦁⦁⦁⦁7
3) 사회체육의 조직 ⦁⦁⦁⦁⦁⦁⦁⦁⦁⦁⦁⦁⦁⦁⦁⦁⦁8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 ⦁⦁⦁⦁⦁⦁⦁⦁⦁⦁⦁⦁⦁⦁⦁⦁⦁9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11
6) 사회체육의 장점 ⦁⦁⦁⦁⦁⦁⦁⦁⦁⦁⦁⦁⦁⦁⦁⦁⦁11
2. 일본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12
2) 사회체육의 시설⦁⦁⦁⦁⦁⦁⦁⦁⦁⦁⦁⦁⦁⦁⦁⦁⦁13
3) 사회체육의 조직⦁⦁⦁⦁⦁⦁⦁⦁⦁⦁⦁⦁⦁⦁⦁⦁⦁14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14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16
6) 사회체육의 장점⦁⦁⦁⦁⦁⦁⦁⦁⦁⦁⦁⦁⦁⦁⦁⦁⦁17
3, 독일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17
2) 사회체육의 시설⦁⦁⦁⦁⦁⦁⦁⦁⦁⦁⦁⦁⦁⦁⦁⦁⦁17
3) 사회체육의 조직⦁⦁⦁⦁⦁⦁⦁⦁⦁⦁⦁18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20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22
6) 사회체육의 장점⦁⦁⦁⦁⦁⦁⦁⦁⦁⦁⦁⦁⦁⦁⦁⦁⦁24
4. 덴마크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24
2) 사회체육의 시설⦁⦁⦁⦁⦁⦁⦁⦁⦁⦁⦁⦁⦁⦁⦁⦁⦁25
3) 사회체육의 조직⦁⦁⦁⦁⦁⦁⦁⦁⦁⦁⦁⦁⦁⦁⦁⦁⦁25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25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
Ⅱ. 세계의 사회체육 ⦁⦁⦁⦁⦁⦁⦁⦁⦁⦁⦁⦁⦁⦁⦁⦁⦁71. 미국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 ⦁⦁⦁⦁⦁⦁⦁⦁⦁⦁⦁⦁⦁⦁⦁⦁⦁7
2) 사회체육의 시설 ⦁⦁⦁⦁⦁⦁⦁⦁⦁⦁⦁⦁⦁⦁⦁⦁⦁7
3) 사회체육의 조직 ⦁⦁⦁⦁⦁⦁⦁⦁⦁⦁⦁⦁⦁⦁⦁⦁⦁8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 ⦁⦁⦁⦁⦁⦁⦁⦁⦁⦁⦁⦁⦁⦁⦁⦁⦁9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11
6) 사회체육의 장점 ⦁⦁⦁⦁⦁⦁⦁⦁⦁⦁⦁⦁⦁⦁⦁⦁⦁11
2. 일본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12
2) 사회체육의 시설⦁⦁⦁⦁⦁⦁⦁⦁⦁⦁⦁⦁⦁⦁⦁⦁⦁13
3) 사회체육의 조직⦁⦁⦁⦁⦁⦁⦁⦁⦁⦁⦁⦁⦁⦁⦁⦁⦁14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14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16
6) 사회체육의 장점⦁⦁⦁⦁⦁⦁⦁⦁⦁⦁⦁⦁⦁⦁⦁⦁⦁17
3, 독일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17
2) 사회체육의 시설⦁⦁⦁⦁⦁⦁⦁⦁⦁⦁⦁⦁⦁⦁⦁⦁⦁17
3) 사회체육의 조직⦁⦁⦁⦁⦁⦁⦁⦁⦁⦁⦁18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20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22
6) 사회체육의 장점⦁⦁⦁⦁⦁⦁⦁⦁⦁⦁⦁⦁⦁⦁⦁⦁⦁24
4. 덴마크
1) 사회체육의 발전배경⦁⦁⦁⦁⦁⦁⦁⦁⦁⦁⦁⦁⦁⦁⦁⦁⦁24
2) 사회체육의 시설⦁⦁⦁⦁⦁⦁⦁⦁⦁⦁⦁⦁⦁⦁⦁⦁⦁25
3) 사회체육의 조직⦁⦁⦁⦁⦁⦁⦁⦁⦁⦁⦁⦁⦁⦁⦁⦁⦁25
4) 사회체육의 지도자 양성⦁⦁⦁⦁⦁⦁⦁⦁⦁⦁⦁⦁⦁⦁⦁⦁⦁25
5) 사회체육의 프로그램⦁⦁⦁⦁⦁⦁⦁⦁⦁⦁⦁⦁⦁⦁⦁⦁
본문내용
관한 지도자 등 세 종류로 나뉘어지며,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는 크게 공공 스포츠 지도자와 민간단체 스포츠지도자로 나누어진다.1961년 6월 12일에 제정된 법률 제141호 (스포츠 진흥법)에 의하면 \"시, 정, 촌 교육위원회에 체육지도자를 둔다\" 로 되어 있는데, 이를 근거로 하여 문부성에서 사회교육주사의 자격을 가진 스포츠를 담당하는 스포츠주사(파견 스포츠주사)제도를 발족 시켰다. 일본에서 체육 및 스포츠 지도자로서 법률상 제도적으로 확실하게 명시된 것은 체육지도위원뿐이다. 그러나 민간단체에 종사하는 사회체육지도자를 위한 양성교육은 일본체육협회와 관계단체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외에 여러 민간단체와 기업에 스포츠교실과 스포츠클럽, 건강사업 등의 개방을 위한 지도자 는 스스로 양성하는 경우가 있다.
1) 일본체육협회의 역할
사회체육지도자 양성교육을 처음으로 시작한 기관은 재단법인 일본체육협회로써 본 협회가 (사회체육지도자)의 양성 ,자격인정에 처음 착수하게 된 것은 1965년에 실시한 스포츠트레이너 양성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스포츠트레이너 양성의 발단이 된 것은 1964년 10월에 개최된 제18회 동경 올림픽대회이다 .올림픽대회 이후의 계속적인 선수강화 체제 속에서 보다 절실한 과학적 조직체계를 정착시켜 각 경기별로 젊은 코치를 주 대상으로 스포츠트레이너 양성강습회를 실시하였다. 동경올림픽 이후 고조된 국민들의 스포츠활동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높은 가치부여로 인하여 국민스포츠에 대한 보급도 빠르게 진전 되어 주부를 위한 배구, 중 고령자를, 위한 스프트볼 등이 해가 거듭될수록 성행하게 되었으며 스포츠클럽, 스포츠 그룹 등 지역스포츠 활동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수요도 급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본체육협회에서는 1971년 郡, 道, 村 체육협회와 협력하여 (스포츠지도원)양성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스포츠 지도원이 수행해야 할 역할 범위에 대한 내용을 스포츠지도원 교육에 사용되었던 스포츠지도원 교본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로 지역 주민 스포츠 층을 대상으로 한다. -고도의 스포츠기술 지도보다는 올바른 기술을 적절하게 지도한다. -활동 중에 필요한 건강관리, 안전관리 등에 대해 지도한다. -초보자에게 스포츠와의 만남을 수월하게 한다.
2) 문부성의 역할
사회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자격취득 방법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1972년 문부성 자문기관인 보건체육심의회에 의해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1977년 8월부터 문부성은 (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관한 조사연구 협력자 회의)를 제정하여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 조사연구를 근거로 하여 제도의 도입에 따른 모든 문제점을 검토하기위한 (사회체육지도자자격부여제도에 관한 소위원회)를 1983년 6월 (사회체육 분과심의회)에 설치하였다. 자격부여제도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심의를 계속한 결과1986년 12월 10일에 \'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대해서\' 라는 건의문을 문부성 장관에게 제출하였다.
3) 대학의 역할
일본 대학의 체육계열학과는 오랫동안 전통적인 체육교사의 양성기관으로서 사회의 수요에 응해 왔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인구구조의 변화를 통한 초, 중, 고 학생수의 감소현상은 교원의 수요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있으며 또한 국민들의 스포츠활동에 대한 의식의 고조와 욕구의 증대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체육지도자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1985년 이후로 일본의 체육 및 스포츠지도자 양성목적과 교육방향에 큰 변화가 오게 되었으며 ,학교체육교사의 수요 저하와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체육지도자의 시장 확보 증대는 사회체육지도자 양성기관으로써 대학의 역활 가능성을 주어 체육계열학과 학생들에게 졸업 후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4) 일본 사회체육 지도자 교육시간과 자격요건
4-1) 지역스포츠 지도자
지역스포츠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기초적인 지도, 지역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결성, 운영의 지도, 스포츠 대회 등의 운영기획, 초급지도자의 육성과 지도를 위하여 활동하는데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생리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지도론, 지역사회스포츠행정, 전공과목은 운동스포츠의 특성에 따른 기초이론, 실시실습, 지도실습이다.
4-2) 경기력향상을 위한 지도자
경기력향상을 위한 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기초적전문저인 지도와 활동조직의 육성지도, 성수지도, 새로운 기술의 연구개발 및 고도의 기술지도, 경기력분석과 새로운 전술의 연구 개발에 전념하는 지도자로서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심리학, 트레이닝 과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와 영향, 스포츠 지도자론이며. 전문과목은 종목의 특성에 따라 기초이론, 실기실습, 지도실습이다.
4-3) 상업 스포츠 시설지도자
상업스포츠 시설 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전문적 지도 각종 사업의 기획운영, 프로그램의 기획 시설의 경영관리, 지역스포츠 조직, 초급지도자 육성 등에 역할이 기대되며,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생리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지도론, 스포츠와 영양, 시설경영관리서비스에 관한 지식, 지도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5. 일본의 사회체육의 프로그램
5-1) 지역스포츠 사업
지역주민 스스로가 건강한 체력을 유지. 증진하여 활력 있는 생활을 영위하고 밝고 풍요한 지역사회 건설을 위해서는 일상생활 중 스포츠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전생애를 통하여 스포츠와 친숙해 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이 필요해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시 도 부 현 또는 시 정 촌이 실시하는 사업에 대하여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고 있다.
5-2) 생애스포츠 사업
시. 정. 촌에서 실시하는 유아에서 고령자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스포츠 활동사업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전생애를 통하여 스포츠와 가깝게 되고 건강한 체력유지와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생애스포츠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다양한 사회체육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첫째, 일본정부는 1995년부터 “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둘
1) 일본체육협회의 역할
사회체육지도자 양성교육을 처음으로 시작한 기관은 재단법인 일본체육협회로써 본 협회가 (사회체육지도자)의 양성 ,자격인정에 처음 착수하게 된 것은 1965년에 실시한 스포츠트레이너 양성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스포츠트레이너 양성의 발단이 된 것은 1964년 10월에 개최된 제18회 동경 올림픽대회이다 .올림픽대회 이후의 계속적인 선수강화 체제 속에서 보다 절실한 과학적 조직체계를 정착시켜 각 경기별로 젊은 코치를 주 대상으로 스포츠트레이너 양성강습회를 실시하였다. 동경올림픽 이후 고조된 국민들의 스포츠활동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높은 가치부여로 인하여 국민스포츠에 대한 보급도 빠르게 진전 되어 주부를 위한 배구, 중 고령자를, 위한 스프트볼 등이 해가 거듭될수록 성행하게 되었으며 스포츠클럽, 스포츠 그룹 등 지역스포츠 활동을 위한 스포츠 지도자의 수요도 급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본체육협회에서는 1971년 郡, 道, 村 체육협회와 협력하여 (스포츠지도원)양성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스포츠 지도원이 수행해야 할 역할 범위에 대한 내용을 스포츠지도원 교육에 사용되었던 스포츠지도원 교본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로 지역 주민 스포츠 층을 대상으로 한다. -고도의 스포츠기술 지도보다는 올바른 기술을 적절하게 지도한다. -활동 중에 필요한 건강관리, 안전관리 등에 대해 지도한다. -초보자에게 스포츠와의 만남을 수월하게 한다.
2) 문부성의 역할
사회체육지도자의 자질과 자격취득 방법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1972년 문부성 자문기관인 보건체육심의회에 의해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1977년 8월부터 문부성은 (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관한 조사연구 협력자 회의)를 제정하여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 조사연구를 근거로 하여 제도의 도입에 따른 모든 문제점을 검토하기위한 (사회체육지도자자격부여제도에 관한 소위원회)를 1983년 6월 (사회체육 분과심의회)에 설치하였다. 자격부여제도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심의를 계속한 결과1986년 12월 10일에 \'사회체육지도자 자격부여제도에 대해서\' 라는 건의문을 문부성 장관에게 제출하였다.
3) 대학의 역할
일본 대학의 체육계열학과는 오랫동안 전통적인 체육교사의 양성기관으로서 사회의 수요에 응해 왔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인구구조의 변화를 통한 초, 중, 고 학생수의 감소현상은 교원의 수요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있으며 또한 국민들의 스포츠활동에 대한 의식의 고조와 욕구의 증대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체육지도자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1985년 이후로 일본의 체육 및 스포츠지도자 양성목적과 교육방향에 큰 변화가 오게 되었으며 ,학교체육교사의 수요 저하와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체육지도자의 시장 확보 증대는 사회체육지도자 양성기관으로써 대학의 역활 가능성을 주어 체육계열학과 학생들에게 졸업 후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4) 일본 사회체육 지도자 교육시간과 자격요건
4-1) 지역스포츠 지도자
지역스포츠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기초적인 지도, 지역 스포츠클럽의 육성과 결성, 운영의 지도, 스포츠 대회 등의 운영기획, 초급지도자의 육성과 지도를 위하여 활동하는데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생리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지도론, 지역사회스포츠행정, 전공과목은 운동스포츠의 특성에 따른 기초이론, 실시실습, 지도실습이다.
4-2) 경기력향상을 위한 지도자
경기력향상을 위한 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기초적전문저인 지도와 활동조직의 육성지도, 성수지도, 새로운 기술의 연구개발 및 고도의 기술지도, 경기력분석과 새로운 전술의 연구 개발에 전념하는 지도자로서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심리학, 트레이닝 과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와 영향, 스포츠 지도자론이며. 전문과목은 종목의 특성에 따라 기초이론, 실기실습, 지도실습이다.
4-3) 상업 스포츠 시설지도자
상업스포츠 시설 지도자는 특정종목에 대한 전문적 지도 각종 사업의 기획운영, 프로그램의 기획 시설의 경영관리, 지역스포츠 조직, 초급지도자 육성 등에 역할이 기대되며, 공통과목은 사회체육개론.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경영학, 스포츠생리학, 스포츠의학, 스포츠지도론, 스포츠와 영양, 시설경영관리서비스에 관한 지식, 지도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5. 일본의 사회체육의 프로그램
5-1) 지역스포츠 사업
지역주민 스스로가 건강한 체력을 유지. 증진하여 활력 있는 생활을 영위하고 밝고 풍요한 지역사회 건설을 위해서는 일상생활 중 스포츠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전생애를 통하여 스포츠와 친숙해 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이 필요해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시 도 부 현 또는 시 정 촌이 실시하는 사업에 대하여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하고 있다.
5-2) 생애스포츠 사업
시. 정. 촌에서 실시하는 유아에서 고령자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스포츠 활동사업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전생애를 통하여 스포츠와 가깝게 되고 건강한 체력유지와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생애스포츠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다양한 사회체육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첫째, 일본정부는 1995년부터 “ 종합형 지역스포츠클럽”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