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제17장 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비어천가 제17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본문내용

태이다. 또한 의문형 종결 어미를 통해서 실현되는 의문문은 인칭 제약 유무에 따라 비인칭 의문문과 인칭 의문문으로 나눌 수 있다. 인칭 의문문은 주어가 2인칭일 때는 의문사 유무와 관계없이 ‘-은다’, ‘-다’가 실현된다. 그런데 13인칭일 때는 의문사 유무에 따라 다른 형태가 실현된다. 먼저 의문사가 있을 경우 ‘-은고’, ‘-고’의 형태로 실현된다. 둘째, 의문사가 없는 경우에는 ‘-은가’, ‘-가’가 실현된다. 주어의 인칭과 관계없이 모든 인칭에 다 쓰이는 비인칭 의문문은 ‘-으니’, ‘-으리’를 앞세운다.
(1) ㄱ. 大王아 네 나히 며친 恒河ㅅ 므를 본다 <능언 2:8>
ㄴ. 네 엇뎨 안다 <월석 23:74>
ㄷ. 이 이 엇던 因緣으로 이런 相 이 現고 <법언 2:200>
ㄹ. 西京은 편안가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05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