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검사에 대한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검사에 대한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리검사의 이해

1) 심리평가의 정의
2) 심리검사의 정의
3) 심리검사의 발달
4) 심리검사의 목적
5) 심리검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

2. 심리검사의 활용

1) 심리검사의 유형
2) 심리검사의 선정
3) 심리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라포형성
2) 피검사자 변인
3) 검사자 변인
4) 검사 상황 변인

3. 심리검사의 계획

4. 심리검사의 설계

5. 심리검사의 측정

6. 심리검사의 분석

본문내용

개개인의 점수가 제시되기 때문에 각 사람들의 점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빈도분포는 피검자 개개인의 점수자체가 아닌 그 점수들의 빈도로 제시된다. 빈도분포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표를 이용한 방법과 도표를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두 가지 모두의 경우에 그 점수분포의 전반적인 모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집단의 수행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분포들은 대칭분포와 편포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기술통계치(descriptive statistics)는 그 집단의 수행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술통계치에는 중심경향성을 나타내는 최빈치(mode), 중앙치(median), 평균(mean)의 3가지 유형의 측정치와, 변산도를 나타내는 범위(range), 분산(variance),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의 3가지 유형의 측정치가 있다. 이들 측정치들 사이의 관계는, 각 점수의 발생빈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점수들이 정상분포(normal distribution)의 형태일 때에는 최빈치, 중앙치, 평균치가 서로 일치한다.
많은 심리검사들은 원점수를 규준-참조 유형의 점수로 전환하여 이용한다. 표준점수(standard score)들은 피검자들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측정의 동간척도로 제공한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준점수로는 z-점수와 T-점수가 있다. 이 두 점수들은 모두가 원점수를 선형전환(linear transformation)한 점수들로서, 단지 측정의 단위만을 바꾼 것일 뿐, 측정의 척도나 점수들 사이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백분율-기반 점수들 또한 피검자들의 상대적 수행을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백분위(percentile rank)는 변산도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도 쉽게 해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백분위와 백분위를 전환한 표준등급 점수는 모두가 비선형 전환(nonlinear transformation) 또는 영역전환(area transformation) 점수들로서, 측정의 척도와 점수들 사이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동간수준의 검사점수들을 백분위로 전환하게 되면, 측정의 척도가 서열수준이 된다. 표준점수들과 백분위 사이의 관계는 그 분포의 전반적 모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분포가 정산분포를 이룰 때에는 z-점수표를 이용하여 z-점수를 직접 백분위로 전환할 수 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