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치원교육환경
Ⅱ. 독서교육환경
1. 도서 확충 및 독서 시간 확보
2. 독서 벽신문 설치, 활용
1) 독서 권장 표어 제작, 게시
2) 신나는 책 읽기
3) 세상 엿보기
4) 다양한 독서 표현 활동
5) 이 주일의 시
3. 포트폴리오 환경 구성
Ⅲ. 개별화교육환경
1. 준비된 교사
2. 준비된 환경과 준비된 교구환경
1) 준비된 환경
2) 준비된 교구환경
3) 준비된 교구를 통한 조작활동의 중요성
4) 집중력과 교구 환경
Ⅳ. 영어교육환경
Ⅴ. 실과교육환경
1. 교육시설
2. 교육설비
3. 실과의 교육 시설ㆍ설비
1) 실과실 및 교구의 필요성
2) 실과 설비
Ⅵ.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환경
참고문헌
Ⅱ. 독서교육환경
1. 도서 확충 및 독서 시간 확보
2. 독서 벽신문 설치, 활용
1) 독서 권장 표어 제작, 게시
2) 신나는 책 읽기
3) 세상 엿보기
4) 다양한 독서 표현 활동
5) 이 주일의 시
3. 포트폴리오 환경 구성
Ⅲ. 개별화교육환경
1. 준비된 교사
2. 준비된 환경과 준비된 교구환경
1) 준비된 환경
2) 준비된 교구환경
3) 준비된 교구를 통한 조작활동의 중요성
4) 집중력과 교구 환경
Ⅳ. 영어교육환경
Ⅴ. 실과교육환경
1. 교육시설
2. 교육설비
3. 실과의 교육 시설ㆍ설비
1) 실과실 및 교구의 필요성
2) 실과 설비
Ⅵ.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환경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급당 아동 수의 과다 현상과 시설ㆍ설비 등의 미비로 실과 실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실과실 및 교구의 필요성
실과실로는 공작실, 조리실, 공구실, 준비실 등이 갖추어진 것과, 하나의 종합 실습실로 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실과의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실과실의 설치가 불가결하며, 충실한 설비 또는 교구가 있어야 한다. 실과 교육이 실생활을 실천하는 교육인 이상 실험ㆍ실습은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하고, 실과실이나 교구가 없이는 실습이란 존재하기 어렵다. 실과실이 없을 때의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실천적 학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실과의 본질을 상실하게 된다.
② 실과의 교구와 자료를 보관, 관리할 장소가 없게 된다.
③ 실과 교구나 자료를 이용할 때 교실로 운반하거나 준비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④ 교사나 아동ㆍ학생이 실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잃게 된다.
실과실의 시설ㆍ설비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실험ㆍ실습이 용이해져서 지식의 이해를 깊게 할 수 있고, 기능을 습득하기가 쉬워져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실과 설비
실과실은 좀 넓어야 설비ㆍ교구를 제대로 갖출 수 있다. 아동 1인당 면적이 2~2.5㎡, 40명 정원의 경우 최소한 80㎡의 면적을, 60명의 경우는 120㎡가 필요하다. 여기에 공작대, 싱크대, 공구장, 세탁기, 냉장고 등의 설치 장소가 필요하므로 보통 교실보다 넓어야 하는 것이다.
Ⅵ.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환경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점은 제반 교육 기자재 및 보유 시설 등 제작 교육 여건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비단 교육 장비 및 시설 인프라 구축에서 뿐만 아니라 제작 실무를 전수할 교수 인력의 확보 면에서도 마찬가지의 현상이다. 이는 교과 운영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반영된다. 디지털 컨텐츠 관련 학부(과)에서의 교과 운영 분석 결과 가장 기초적인 실습 교육조차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제작 실무 교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 역시, 총론 수준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제작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각 분야에서의 세부 실무 교육은 극히 소수의 대학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시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관련 기자재 및 시설, 제작 관련 고급 인력 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지방의 경우 교육 환경의 열악함은 더욱 심각하다. 지역에 소재한 방송사 및 컨텐츠 관련 업계와의 연계를 통해 부족한 기자재 및 시설, 교수진을 확보하고는 있지만, 지방의 영상 디지털 컨텐츠 관련 산업 여건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비록 실무 교육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실효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적이다.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관련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육성 과정에서 주로 기술적인 교육과 취업 알선에 초점을 두는 방송 아카데미 등의 사교육 기관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여건인 셈이다. 그나마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국내 유수 아카데미의 경우 대부분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카데미를 통해 실무 교육 및 관련 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지역의 대학 출신자들은 부수적인 사교육 비용과 자취 및 하숙 등에 따른 생활비 등의 이중적인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 지역에 있는 대학 또한 아카데미에서 부가적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들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하는 과정에서 대학 고유의 책임 영역인 전문적인 관련 분야의 지식 및 소양 교육에 전념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교육 인프라의 부재는 방송 및 기자 아카데미와 같은 사교육 시장의 형성 및 활성화를 가져오고, 그 결과 특히 디지털 컨텐츠 관련 학부(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에서의 공교육이 사교육 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기형적인 교육 구조를 재생산해내고 있는 셈이다.
제작 관련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고, 제작 실무 관련 고급 인력 수급이 비교적 용이한 서울-경기 지역과는 달리 지방의 경우 공교육 시장에서의 ‘대학 졸업장’과 사교육 시장에서의 ‘수료증’(취업 교육을 통한 실무 교육 및 취업 기회 획득)을 획득하기 위한 이중의 노력이 불가피하다. 그 결과 서울-경기 지역의 경우 제작 관련 인프라와 인력의 집중이 계속 확대, 재생산되고, 지역은 제작 실무 관련 고급 인력의 생산이 어려운 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으며, 사교육 시장에서 조금이나마 실무 교육을 받은 지역의 고급 인력은 지역이 아닌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생산 인프라와 고급 인력 풀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력 구조의 불균형 현상은 다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 전반에 걸쳐 서울(-경기) 중심의 컨텐츠 공급 구조가 확대-재생산되는 구조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과 집중의 악순환 구조는 디지털 컨텐츠 생산과 관련,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적 배려가 없이는 당분간 더욱 더 확대-재생산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교육 현실과는 반대로, 영상 디지털 컨텐츠 생산 관련 기업은 업무의 효율성과 관련, 채용 과정에 실무 영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입사 후 별다른 훈련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학, 기업, 정부 등 어느 누구도 디지털 컨텐츠 인력 양성의 필요성만 역설했지, 체계적인 투자나 배려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그 비용은 관련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몫으로 - 그것도 왜곡된 형태로 -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2),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2-15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곽상만(1987). 실과교육, 서울 : 갑을출판사
김형수(2003), 디지털 방송과 영상콘텐츠, 방송문화연구 제15권 2호, KBS 방송문화연구소
배두본(1997), 영어교육학, 서울 : 한신문화사
서울특별시교원연수원(1997), 열린교육개별화교육 연수 교재
한철우·김명순·박영민(2001), 문학 중심 독서 지도, 대한교과서(주)
1) 실과실 및 교구의 필요성
실과실로는 공작실, 조리실, 공구실, 준비실 등이 갖추어진 것과, 하나의 종합 실습실로 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실과의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실과실의 설치가 불가결하며, 충실한 설비 또는 교구가 있어야 한다. 실과 교육이 실생활을 실천하는 교육인 이상 실험ㆍ실습은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하고, 실과실이나 교구가 없이는 실습이란 존재하기 어렵다. 실과실이 없을 때의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실천적 학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실과의 본질을 상실하게 된다.
② 실과의 교구와 자료를 보관, 관리할 장소가 없게 된다.
③ 실과 교구나 자료를 이용할 때 교실로 운반하거나 준비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④ 교사나 아동ㆍ학생이 실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잃게 된다.
실과실의 시설ㆍ설비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실험ㆍ실습이 용이해져서 지식의 이해를 깊게 할 수 있고, 기능을 습득하기가 쉬워져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실과 설비
실과실은 좀 넓어야 설비ㆍ교구를 제대로 갖출 수 있다. 아동 1인당 면적이 2~2.5㎡, 40명 정원의 경우 최소한 80㎡의 면적을, 60명의 경우는 120㎡가 필요하다. 여기에 공작대, 싱크대, 공구장, 세탁기, 냉장고 등의 설치 장소가 필요하므로 보통 교실보다 넓어야 하는 것이다.
Ⅵ.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환경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점은 제반 교육 기자재 및 보유 시설 등 제작 교육 여건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비단 교육 장비 및 시설 인프라 구축에서 뿐만 아니라 제작 실무를 전수할 교수 인력의 확보 면에서도 마찬가지의 현상이다. 이는 교과 운영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반영된다. 디지털 컨텐츠 관련 학부(과)에서의 교과 운영 분석 결과 가장 기초적인 실습 교육조차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제작 실무 교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 역시, 총론 수준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제작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각 분야에서의 세부 실무 교육은 극히 소수의 대학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시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관련 기자재 및 시설, 제작 관련 고급 인력 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지방의 경우 교육 환경의 열악함은 더욱 심각하다. 지역에 소재한 방송사 및 컨텐츠 관련 업계와의 연계를 통해 부족한 기자재 및 시설, 교수진을 확보하고는 있지만, 지방의 영상 디지털 컨텐츠 관련 산업 여건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비록 실무 교육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실효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적이다. 영상 디지털 컨텐츠 제작 관련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육성 과정에서 주로 기술적인 교육과 취업 알선에 초점을 두는 방송 아카데미 등의 사교육 기관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여건인 셈이다. 그나마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국내 유수 아카데미의 경우 대부분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카데미를 통해 실무 교육 및 관련 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지역의 대학 출신자들은 부수적인 사교육 비용과 자취 및 하숙 등에 따른 생활비 등의 이중적인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 지역에 있는 대학 또한 아카데미에서 부가적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들의 편의를 최대한 배려하는 과정에서 대학 고유의 책임 영역인 전문적인 관련 분야의 지식 및 소양 교육에 전념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교육 인프라의 부재는 방송 및 기자 아카데미와 같은 사교육 시장의 형성 및 활성화를 가져오고, 그 결과 특히 디지털 컨텐츠 관련 학부(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에서의 공교육이 사교육 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기형적인 교육 구조를 재생산해내고 있는 셈이다.
제작 관련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고, 제작 실무 관련 고급 인력 수급이 비교적 용이한 서울-경기 지역과는 달리 지방의 경우 공교육 시장에서의 ‘대학 졸업장’과 사교육 시장에서의 ‘수료증’(취업 교육을 통한 실무 교육 및 취업 기회 획득)을 획득하기 위한 이중의 노력이 불가피하다. 그 결과 서울-경기 지역의 경우 제작 관련 인프라와 인력의 집중이 계속 확대, 재생산되고, 지역은 제작 실무 관련 고급 인력의 생산이 어려운 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으며, 사교육 시장에서 조금이나마 실무 교육을 받은 지역의 고급 인력은 지역이 아닌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생산 인프라와 고급 인력 풀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력 구조의 불균형 현상은 다시 디지털 컨텐츠 제작 환경 전반에 걸쳐 서울(-경기) 중심의 컨텐츠 공급 구조가 확대-재생산되는 구조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과 집중의 악순환 구조는 디지털 컨텐츠 생산과 관련,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적 배려가 없이는 당분간 더욱 더 확대-재생산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교육 현실과는 반대로, 영상 디지털 컨텐츠 생산 관련 기업은 업무의 효율성과 관련, 채용 과정에 실무 영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입사 후 별다른 훈련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학, 기업, 정부 등 어느 누구도 디지털 컨텐츠 인력 양성의 필요성만 역설했지, 체계적인 투자나 배려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그 비용은 관련 분야로 취업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몫으로 - 그것도 왜곡된 형태로 -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는 셈이다.
참고문헌
교육부(1992),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2-15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곽상만(1987). 실과교육, 서울 : 갑을출판사
김형수(2003), 디지털 방송과 영상콘텐츠, 방송문화연구 제15권 2호, KBS 방송문화연구소
배두본(1997), 영어교육학, 서울 : 한신문화사
서울특별시교원연수원(1997), 열린교육개별화교육 연수 교재
한철우·김명순·박영민(2001), 문학 중심 독서 지도, 대한교과서(주)
추천자료
- [영어]영어교육(영어학습)의 의의, 영어교육(영어학습)의 실패요인, English Cafe(영어카페, ...
- [교육평가,미술과,체육과,국어과,영어과,수학과]미술교육평가(미술과교육평가), 체육교육평가...
- 국어교육평가(국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수학교육평가(수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
- [협력학습]협력학습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과 영어과 교육(영어교육), 협력학습의 수학과 ...
- 열린교육과 국어과 수업(국어교육), 영어과 수업(영어교육), 열린교육과 수학과 수업(수학교...
- 열린교육의 국어과 지도(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지도(영어교육), 열린교육의 수학과 ...
- 영어과(영어교육) 자연교수법과 의사소통학습, 영어과(영어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노래학습,...
- 영어말하기듣기지도(영어말하기듣기교육)의 필요성과 중점, 영어말하기듣기지도(영어말하기듣...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정의적인간중심교수학습과 과업중심교수학습, 초등학교 영어과(...
- 영어(영어과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영어과교육) 이야기중심학습(...
- 2001년(2000년대) 교육사업, 2001년(2000년대) 국제교육과 원격교육, 2001년(2000년대) 영어...
- 유악교육 - 유아교육과 연계 된 조기 교육에 관하여[조기 영어교육 중심으로]
- 유아영어교육에 관한 기사를 읽고 요약한 후, 유아영어교육을 성숙주의이론, 행동주의이론, ...
- [조기영어교육 찬반입장정리보고서] 조기영어교육 개념,장단점과 조기영어교육 찬성,반대 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