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수업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ll About 수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업 분석의 의미

2. 수업 분석의 절차

본문내용

지어 가르치는가?
3. 슬기로운 생활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놀이중심, 활동중심의 학습을 전개 하는가 ?
2
지적 호기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적절한 발문인가?
(예) ○ : 여러분 만약 눈이 없다면 어떤 점이 불편할까요?
× : 눈은 어떤 일을 할까요?
3
창의적 사고를 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수용하는 허용적 분위기를 조성 하는가 ?
4
탐구과정 및 결과를 글, 그림 또는 다른 방법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주는가?
5
다양한 학습 자료를 사용하는 수업인가?
4. 즐거운 생활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신체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려 하는가?
2
몸의 움직임을 익힐 때 건강, 질서, 안전생활이 습관 되도록 노력하는가?
3
표현활동은 놀이를 통하여 그 기능이 자연스럽게 익혀 지도록 하는가?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고 아름답게 표현하는 기초능력)
4
다른 사람이 표현활동에 흥미를 갖고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는가?
5
성공이 경험을 많이 주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시키는가?
5. 도 덕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지도내용에 적절한 수업형태를 적용했나?
2
학생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졌나? (덕목 해설식 수업이 아닌가? 훈화위주의 수업이 아닌가? 교사의 이야기만 듣는 수업이 아닌가?)
3
학생이 직면하고 있는 가까운 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이끌고 가는가?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독해 지도하는 식의 수업이 아닌가?)
4
지역성 시사성이 반영되고 있는가?
5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교사가 유도해 주고 있는가?
6
알고 있는 것을 행동화시키는 것을 강조하여 지도하는가?
6. 국 어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종합적인 지도를 하고 있는가?(말하기 지도를 듣기, 읽기를 지도하면서 쓰기 등 어느 부분에 집착하여 다른 영역을 소홀히 하지 않는가?)
2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학습활동을 키는가?(“읽어보라, 잘 읽었다.” “써보라, 잘썼다”라는 식의 수업이 아닌가?)
3
학생의 실제적인 언어사용능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을 신장시키려고 노력하는 수업인가?
(교과서 내용만을 가르치는 수업이 아닌가?)
4
실제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방법으로 지도하는가?
(사전식 어휘들 등을 국어과를 내용교과로 보는 입장에서 지도하지 않는가?)
5
실제의 언어 상황에 다양한 소재를 가져와 몸에 배도록 충분한 학습을 시키는가?
(교과서의 그림, 내용만 가지고 지루하게 맴도는 수업이 아닌가?)
6
교사의 언어사용능력(문자언어표현)은 학생지도에 지장이 없는 수준인가?
7. 수 학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교사는 학생의 흥미를 중심으로 자발적 창조적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가?
(기계적 학습, 수학과는 재미없는 공부하는 생각이 들도록 하지 않나?)
2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지도하고 있는가?
(문제파악, 탐색, 해결, 음미, 연습, 평가 및 정리단계 중 연습평가 및 정리단계가 경시되지 않나?)
3
학생의 수준에 맞도록(개인차 포함) 교재를 재구성하여 사용하는가?
4
교과서와 보조교과서를 계획적으로 이용하고 있나?
5
교과서와 보조교과서를 계획적으로 이용하고 있나?
6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보충심화지도를 하는가 ?
8. 과 학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학습목표에서 방법이 제재의 특성에 알맞는가?
(학습결과를 미리 알려 탐구수업이 불가능하게 하지 않는가?)
2
탐구발견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과제를 구성했나?
(학생이 모두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하여 지도하는 지루한 수업이 아닌가?)
3
실험에서 조건통제는 학생수준에서 볼 때 과학적인가?
(학생의 발달수준이나 실험내용에 따라 조건통제를 잘 했나?)
4
실험기구와 자료를 다루는 기초기능을 충실히 지도하고 있나?
5
실험에서 학생의 안전은 충분히 고려되고 있나?
6
실험결과를 정리 보고하는 방법을 적절히 지도하고 있나?
7
예습, 복습 과제 제시가 합리적인가?
9. 체 육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그 시간의 주된 목표이외에 운동기능 및 체력, 지적, 정의적 목표를 포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수업이 설계되었나?
2
실제 활동이 주가 되도록 지도하되 학생의 관찰, 토의 및 상호평가 등 학생중심으로 지도하는가?(교사 시범과 지시 일변도의 지도가 아닌가?)
3
본시 학습과 관련된 체계적인 보강운동을 하는가?
4
신체적 정신적으로 정상아와 구별되는 학생에게 능력에 맞는 과제를 제시하는가?(그늘에 앉아 부러운 눈으로 보는 학생은 없는가?)
5
충분한 준비운동과 안전점검을 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하려는 노력을 하는가?
6
적절한 형태의 형성평가를 실시하는가?
10. 음 악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즐거운 마음으로 학습이 시작되도록 동기 유발 하는가?
2
발성, 리듬, 박자 연습, 기습곡 부르기 등이 다양하게 지도되고 있는가?
(같은 형태의 지루한 반복 시작하면서 노래 부르기 지도 반복)
3
바른 발성법에 유의한 지도를 하는가?
4
의도적으로 특정한 지도목표를 추구해 가는 수업인가?(“잘했어요.” “잘 불렀어요”하고만 하지 않는가? 그냥 노래 부르고 악기 연주하는 수업이 아닌가?
5
악기의 주법이 바르게 지도되는가?
6
창조적 표현을 조장하는 수업을 하는가?(책과 다르게 표현하여 특색있게 창작하기)
7
악보적기 및 청음지도를 의도적으로 하는가?
8
폭넓은 음악적 체험을 부여하여 통합적으로 지도하는가?
9
교사의 가창 및 악기 연주 능력은 무리 없는 수준인가?
11. 실 과
항목
수 업 분 석 관 점



1
실험실습을 요하는 과제는 실험실습을 통하여 지도하는가?
(여건이 어려울 때 대안을 적용하는가?
2
남녀의 차이를 두지 않고 일의 경험을 시키는가?
(특정 역할을 성에 따라 강조하지 않나?
3
창의와 능률 실질을 고려하여 협동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노력하고 있는가
(단순육체 노작에 그치는 수업이 아닌가?)
4
지역성을 살려 지도 시기나 내용지도 중점을 재구성했는가?
5
안전지도에 노력하고 있는가?
6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는가?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2.03.1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3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