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장과 아비투스-삐에르 부르디외의 문화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의 장과 아비투스-삐에르 부르디외의 문화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회학의 이론적 실천

3. 아비투스와 장, 그리고 구조

본문내용

가집니다. 같은 글, 160쪽.
아비투스가 개인의 습관과는 다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것이 실천적인 감각과 행동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부르디외는 {구별짓기}(The Dictintion)에서 개인들의 문화적 기호의 차별들이 어떻게 사회계급들의 차별을 재생산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조사/분석 하면서 “아비투스가 객관적으로 객관적으로 분류가능한 실천들의 발생원리인 동시에 실천들의 분류체계” 부르디외,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279쪽.
라는 점을 지적한다. 아비투스는 분류가능한 작품과 실천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이 실천과 생산물들을 구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가령 학력자본과 혈통자본의 차이에 따라 문화를 향수하는 대상이 달라지게 되고, 어떤 예술품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게 되는 것은 개인의 아비투스가 각각의 성향의 차이에 따라 분류해내려는 실천들을 발생시키는 원리라는 것을 예증해 준다. 그래서 상이한 생활조건은 상이한 아비투스를 생산하고, 그렇기 때문에 상이한 아비투스에 의해 생성된 실천은 차별적 격차 체계의 형태로 생활조건 안에 객관적으로 각인된다. 계급 조건에 내재해 있는 자유와 필요, 그리고 위치를 구성하는 차이를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실천-발생체계로서의 아비투스는 각 조건의 차이가 분류되는 동시에 그 차이를 분류하는 실천들 간의 차이의 형태로 포착하고 파악한다 같은 책, 281쪽.
아비투스의 분류체계는 생활방식을 결정하는 개인의 취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취향은 사물을 명확하고 구별적인 기호(記號)로 변화시키고, 신체의 물리적 질서 안에 각인된 차이를, 상징적 질서로 끌어 올린다. 이 실천 속에서 한 계급의 조건은 각각의 실천을 사회적 분류도식으로 파악함으로써, 분류적 실천으로서 즉 계급의 상징적 표현으로서 스스로의 의미를 드러낸다. 같은 책, 285쪽.
이렇듯 개인의 취향이 계급대립의 상징적 표현으로 스스로의 의미를 드러내면서 아비투스는 취향에 의한 구체적인 실천의 장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언급을 보라. “행위자들 사이의 대결이란 성향들의 체계를 대면시키는 것이다....... 아비투스를 말한다는 것은 개인 대 개인의 관계가 아니라 상호개인적인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Outline of a Theory of Pratice, 81쪽)
아비투스가 생산하는 실천은 그 실천들의 발생적 원칙이 생산되는 객관적 조건들 내에 내재한 규칙성 등을 재생하는 실천인데, 바로 규칙성의 구체적인 형태 중의 하나가 개인의 취향이다. 말하자면 취향을 재생산하는 과정이 아비투스의 실천과정이 된다. 이때 이러한 실천이 제대로 설명되기 위해서는 아비투스 생산의 사회적 조건을 정의해주는 객관적 구조가 이러한 구조의 특정 상태를 표현하는 국면과 연결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Outline, 78쪽
실천을 변형시킬 수 있는 ‘국면’은 아비투스와 객관적 사건 사이의 변증법적인 관계 속에서 구성된다. 가령 계급투쟁이라는 국면은 개인의 아비투스가 계급투쟁을 야기시키는 사건과 맞닿을 때 구성되는 것이다.
장이란 공시적으로 파악할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4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4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