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 ~ 2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2. 3 ~ 4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3. 5 ~ 6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4. 7 ~ 8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5. 9 ~ 12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6. 13 ~ 24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7. 24 ~ 36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8. 3 ~ 4 세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9. 4 ~ 5 세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2. 3 ~ 4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3. 5 ~ 6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4. 7 ~ 8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5. 9 ~ 12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6. 13 ~ 24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7. 24 ~ 36 개월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8. 3 ~ 4 세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9. 4 ~ 5 세
1) 신체발달
2) 사회발달
3) 언어발달
4) 정서발달
5) 인지발달
본문내용
직이는 물체에 눈을 고정시킨다. 모빌을 달아주거나 딸랑이 놀이를 한다. 엄마의 바램을 담은 \"까꿍놀이\"로 호기심을 일으킨다. 입으로 물건을 확인하는 시기이다. 입과 눈을 동시에 사용한다.
3. 5 ~ 6 개월
1) 신체발달
혼자서 몸을 뒤집을 수 있다. 고개를 똑바로 들고 주위를 볼 수 있다. 엎어놓으면 바둥대고 붙잡아 주면 팔, 다리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 한다. 골격과 근육이 발달하고.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발달에 따라 도리도리, 잼잼, 짝짜꿍, 곤지곤지 놀이를 시작한다. 유치가 나기 시작한다. 이가 간지러워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간다. 침을 많이 흘린다.
2) 사회발달
낯가림을 한다. 돌봐주는 사람을 구분하고 친숙한 사람에게 미소 지음. 기억력이 발달하고 주위사람을 알아본다.
3) 언어발달
한번에 두 음절 발음을 할 수 있다. 엄마가 내는 소리를 열심히 따라하려 한다. 다양한 소리가 나는 장난감을 주어 여러 가지 소리의 자극을 준다.
예) \"맘\" \"엄마\" \"파파\" ...
4) 정서발달
공포, 분노, 혐오, 애정 등의 정서 반응이 분화되어 나타난다.
5) 인지발달
시각이 발달한다. 시야가 넓어지므로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탐색한다. 소리나는 장난감을 좋아한다. 빈깡통이나 딸랑이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놀 기회를 준다. 색의 뚜렷한 형태를 선호한다.
4. 7 ~ 8 개월
1) 신체발달
기어다니고 앉을 수 있다. 기는 것이 전신운동이 되므로 익숙하게 길 수 있도록 자극을 준다. 엄마가 멀리 떨어져서 손뼉 치며 엄마에게 오게 한다. 근육이 발달하여 다리에 힘을 주고 벽을 짚고 서는 아기도 있다. 소 근육이 발달하여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발달에 따라 불무불무, 달강달강, 섬마섬마, 꼬노꼬노, 질라래비, 훨훨 등을 한다. 등을 쭉 펴준다.
2) 사회발달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려고 의도적인 행동을 한다. 어른 흉내를 낸다. 엄마가 주방에 가면 식사를 준다는 것을 알고 기뻐한다. 가족을 알아본다. 낯선 것을 무서워한다.
3) 언어발달
정확한 발음은 아니지만 흉내를 내고 재미있어 한다. 여러 음절이 합쳐진 말의 뜻을 안다. 어설픈 발음으로 따라 한다.
예) 엄마 찾아봐. 빠이빠이 등등
4) 정서발달
공포. 분노, 애정, 혐오 등 정서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5) 인지발달
혼자서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입체감, 원근감을 파악한다. 물건이 움직이면 눈으로
3. 5 ~ 6 개월
1) 신체발달
혼자서 몸을 뒤집을 수 있다. 고개를 똑바로 들고 주위를 볼 수 있다. 엎어놓으면 바둥대고 붙잡아 주면 팔, 다리에 힘을 주어 일어서려 한다. 골격과 근육이 발달하고.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한다. 발달에 따라 도리도리, 잼잼, 짝짜꿍, 곤지곤지 놀이를 시작한다. 유치가 나기 시작한다. 이가 간지러워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간다. 침을 많이 흘린다.
2) 사회발달
낯가림을 한다. 돌봐주는 사람을 구분하고 친숙한 사람에게 미소 지음. 기억력이 발달하고 주위사람을 알아본다.
3) 언어발달
한번에 두 음절 발음을 할 수 있다. 엄마가 내는 소리를 열심히 따라하려 한다. 다양한 소리가 나는 장난감을 주어 여러 가지 소리의 자극을 준다.
예) \"맘\" \"엄마\" \"파파\" ...
4) 정서발달
공포, 분노, 혐오, 애정 등의 정서 반응이 분화되어 나타난다.
5) 인지발달
시각이 발달한다. 시야가 넓어지므로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탐색한다. 소리나는 장난감을 좋아한다. 빈깡통이나 딸랑이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놀 기회를 준다. 색의 뚜렷한 형태를 선호한다.
4. 7 ~ 8 개월
1) 신체발달
기어다니고 앉을 수 있다. 기는 것이 전신운동이 되므로 익숙하게 길 수 있도록 자극을 준다. 엄마가 멀리 떨어져서 손뼉 치며 엄마에게 오게 한다. 근육이 발달하여 다리에 힘을 주고 벽을 짚고 서는 아기도 있다. 소 근육이 발달하여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발달에 따라 불무불무, 달강달강, 섬마섬마, 꼬노꼬노, 질라래비, 훨훨 등을 한다. 등을 쭉 펴준다.
2) 사회발달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려고 의도적인 행동을 한다. 어른 흉내를 낸다. 엄마가 주방에 가면 식사를 준다는 것을 알고 기뻐한다. 가족을 알아본다. 낯선 것을 무서워한다.
3) 언어발달
정확한 발음은 아니지만 흉내를 내고 재미있어 한다. 여러 음절이 합쳐진 말의 뜻을 안다. 어설픈 발음으로 따라 한다.
예) 엄마 찾아봐. 빠이빠이 등등
4) 정서발달
공포. 분노, 애정, 혐오 등 정서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5) 인지발달
혼자서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입체감, 원근감을 파악한다. 물건이 움직이면 눈으로
키워드
추천자료
보육 과정 평가와 각국의 평가 제도
보육과정 평가결과
미래 보육과정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하시오.
최근 도입된 누리과정과 기존의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에 대하여 5세를 중심으로 공통점과 ...
[보육과정]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보육 내용과 교사 지침 - 기본생활 영역, 신체 운동 영역,...
보육학개론,보육과정의 구성과 표준보육과정,목표, 내용, 방법, 평가, 연령별 보육내용, 연령...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을 설명하되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과 3-5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보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시오.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총론(기초, 목적, 목표, 내용범주, 편성, 운영 등)에 대해서 작성하...
보육과정에 대한 관점(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 그에 대한 자신의 ...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제정이 우리나라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운영 시 고려해야 할 교수학습방법을 5가지 이상 쓰고 설명하시오.
보육과정의 의미를 기술하고, 표준보육과정의 특징 및 운영에 대해 기술,
앞으로의 보육과정에서 추가되거나 강화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자신의 견해를 자유롭게 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