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마케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회 개요

-국내 대학 리그 현황파악

-NCAA의 사례

-국내 대학스포츠가 나아갈 방향

활성화단계
수익구조 개선단계

-결론

본문내용

Sports Marketing
『U리그 및 대학농구리그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목차
-대회 개요
-국내 대학 리그 현황파악
-NCAA의 사례
-국내 대학스포츠가 나아갈 방향
활성화단계
수익구조 개선단계
-결론
『U리그 및 대학농구리그 활성화를 위한 방안』
· 대회 개요
U리그 (축구)
“Enjoy football in Campus“
- 7권역 69개 대학 홈앤어웨이-리그
- 7개 권역별 홈앤어웨이 full-리그(11.3~9) 실시
- 대학선수권 챔피언십(1위~32위) - 10.27 ~ 11.11 실시
- 대학선수권 챌린저십(33위~70위) - 10.24 ~ 11.7 실시
5월 경기 일정
5월6일 vs 경희대(영흥)
5월13일 vs 충북대(안암)
5월20일 vs 명지대(용인)
5월21일 vs 하버드(안암)
5월27일 vs 상지대(원주)
대학농구리그
“공부하는 운동부”, “학업과 함께”
- 12개 팀 홈앤어웨이 full-리그
- 1라운드(1학기, 3월~7월)/2라운드(2학기, 9월~11월)
- 리그 종료 후 6강 왕중왕전
5월 경기일정
5월2일 vs 단국대(천안)
5월6일 vs 성균관대(안암)
5월13일 vs 동국대(안암)
5월30일 vs 경희대(안암)
· 그들만의 you 리그?
국내 대학 스포츠리그 현황 파악
< 5월 6일 고려대-성균관대 농구리그 경기모습-화정체육관>
올해로 출범 3년째에 들어서고 있는 U리그와 대학농구리그. 하지만 관중석을 들여다보면 3년이라는 시간이 무색할 정도로 텅 비어있다.
U리그의 경우는 무패 조1위를 달리는 성적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농구 또한 준수한 성적을 내고 있지만 학생들에게는 관심 밖이다.
경기장을 찾는 관중이라고는 선수의 학부모, 다른 종목의 운동부, 선수의 지인들, 학교 동문들, 극소수의 학생들이 전부이다.
뜨거운 열기로 가득해야 할 경기장, 그러나 현실은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 버린 게 사실이다.
인터뷰와 설문을 통한 대학스포츠 리그의 현실파악
고려대학교의 대학스포츠 리그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선수와 그들의 부모에 대한 인터뷰를 시행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서 U리그의 현실과 그들의 속마음을 알아볼 수 있었다.
선수 : “관중이 너무 없다. 배신감 까지 들 정도 이다. 물론 경기 결과도 중요 하다. 하지만 어떤 스포츠 경기이던 관중을 원한다. 우리도 마찬 가지이다. 학부생들의 응원을 들으면 더 힘이 나고 즐겁다. 학부생들의 응원 소리를 들을 때면 우리는 나를 버리고 학교를 위해 싸운다. 우리는 이길 준비가 되어 있다 우리를 위해, 또 학교를 위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 한다.” (고려대 농구선수 인터뷰 中)
이와 같이 선수들 모두 많은 관중의 참여를 원하고 있었고, 학교 측에서보다 다양한 방법의 홍보활동을 펼쳐줄 것을 바라고 있었다.
학부모 : 농구 경기장에서 만난 선수의 어머니도 관중의 참여도에 대해 섭섭한 마음을 드러냈다.
“학생들도 같이 와서 응원을 하면 선수들도 힘이 나고 지켜보는 부모의 입장에서도 무척 뿌듯 할 것 같아요. 특히 어웨이 경기의 타 학교 응원 문화를 보면 고려대 학생들에게 서운한 마음이 들어요.”
학부모는 아들이 시합이 끝나고 집에 와서 항상 하는 말이 “관중이 너무 없다” 라는 말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럼 학생들은 대학리그에 대해 알까?
설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대학리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학생 : 설문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U리그 자체를 모른다는 학생들이 대부분 이었다. 또한 안다고 대답한 학생들 중에서도 경기장에 직접 찾아간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극히 일부 이었다.
그들은 과연 왜 경기장을 찾지 않는 것일까.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면
1. 홍보부족
“동아리 관련 홍보물을 본 기억은 있어도 경기관련 홍보물을 본 기억은 없는 거 같아요.”
“경기에 대해 알긴 아는데 정확한 장소와 시간을 몰라서 잘 참여 하지 않게 되요.”
경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직접 찾아보지 않는 한 경기 일정에 대해 알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대부분 이었다.
2. 시간문제
“금요일 3시요? 아 그 시간이면 수업이 있는데...”
설문조사 중 가장 많이 들었던 말 가운데 하나다. 경기시간과 수업시간이 겹친다는 불만도 많이 제기 되었다.
3. 응원문화
경기가 있을 때면 응원단이 꼭 참여해 응원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고, 그러다 보면 응원문화를 즐기러 오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 날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들은 고대인이라고 했다. 내가 응원하여 고대가 이길 수 있다면 응원하고 싶다고 했다.
대학 스포츠리그의 또 하나의 잠재적 소비자는 지역주민이었다. 그들과 함께하는 대학리그 문화를 위해 지역 운동 동호회인 대광 축구회와 FC성북08의 회장님과 연락을 통해 의견을 물었다.
지역주민 : “아 그런 대회가 있었어요?”, “그거 우리가 보러 가도 되는 건가?”
운동에 관심이 있는 동호회마저도 역시 경기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고, 홍보물을 본적이 없다고 답 했다. 또한 지역주민 역시 생업에 종사하고 있어서 금요일 오후인 경기시간이 함께 즐기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대학농구리그와 U리그는 대학스포츠의 부흥을 기대하며 야심차게 시작되었다. 과거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농구리그와 대학 축구 붐을 일으켜 보겠다는 U리그의 커다란 시작은 어디로 간체 지금은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눈앞의 성과를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4.04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1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