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작가적 입장에서의 수필론
2. 본론
- 고전수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 시대 흐름에 따른 작가별 감상
(1) 삼국 시대와 통일신라시대
1. 혜초
2. 최치원
(2) 고려시대 작가와 작품세계
1. 이인로
2. 최자
3. 이제현
(3) 조선조의 수필
1. 임진왜란 이후의 수필
2. 병자호란과 수필문학
3. 양 난 이후의 수필문학
4. 여성작가들의 고수필
5. 한국수필문학사 시대구분과 갑오경장
- 고수필의 현대적 활용
- 중국의 수필과 한국의 수필
- 더 생각해 볼 문제
3. 결론
- 수필문학의 미래에 대하여
- 작가적 입장에서의 수필론
2. 본론
- 고전수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 시대 흐름에 따른 작가별 감상
(1) 삼국 시대와 통일신라시대
1. 혜초
2. 최치원
(2) 고려시대 작가와 작품세계
1. 이인로
2. 최자
3. 이제현
(3) 조선조의 수필
1. 임진왜란 이후의 수필
2. 병자호란과 수필문학
3. 양 난 이후의 수필문학
4. 여성작가들의 고수필
5. 한국수필문학사 시대구분과 갑오경장
- 고수필의 현대적 활용
- 중국의 수필과 한국의 수필
- 더 생각해 볼 문제
3. 결론
- 수필문학의 미래에 대하여
본문내용
특징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고수필을 “글쓰는 이의 삶을 중심으로 한 신변잡기에서부터 우주에 대한 思辨사변에 이르는 광범위한 隨想수상을 假飾가식이 없는 성실한 자세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비교적 짤막한 분량의 갑오경장 이전의 산문문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3) 발생 및 전개과정
△ 최초의 수필
수필은 산문문학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먼저 발생한 문학 장르이다. 우리나라의 수필은 한문학의 도입과 더불어 생성된 것으로 보며, 때문에 한자 사용이 본격화된 삼국시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최초의 수필은 《三國史記삼국사기》 列傳열전에 수록된, 김후진이 진평왕에게 올린 상소문이다. <上眞平王書상진평왕서>는 왕이 사냥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함을 경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비슷한 성격으로는 신문왕에 대한 풍간의 성격을 띠고 있는 설총의 <花王戒화왕계>가 있다. 이후에는 혜초의 《往五天竺國傳왕오천축국전》과 같은 기행수필도 등장한다. 그리고 최치원의 《桂苑筆耕集계원필경집》과 같이 다양한 산문이 수록된 수필집 역시 등장하게 된다.
△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우리 문학사에서 가장 한문학이 융성했던 시기였다. 과거제의 시행과 사학의 부흥으로 성장한 문인·관료층이 많은 글들을 창작하였는데, 그 대표작이 바로 《東文選동문선》이다. 박인량의 《古今錄고금록》과 정서의 《雜書잡서》등의 수필집, 각훈의 《海東高僧傳해동고승전》과 김부식의 《三國史記삼국사기》등의 글들도 지어졌다. 이외에도 의천이나 임춘 등이 개인 문집 속에 다양한 수필작품을 남겼고, 이규보의 <淸江使者玄夫傳청강사자현부전>이나 임춘의 <麴醇傳국순전>등의 사물을 의인화한 가전 수필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이다. 특히, 당시 중국 송나라의 영향으로 이인로의 《破閑集파한집》과 같은 사화와, 이제헌의 《역옹패설》같은 잡독집이 출현한 것도 특징이다.
△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실제적인 경험과 이념을 중시하는 사대부들이 수필에 주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서민계층의 문화의식 고조로 담당층의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한글의 창제로 여성과 같이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을 중심으로 국문수필이 창작되는 등 다양한 수필작품이 창작되었다.
서거정의 《東人詩話동인시화》나 이육의 《靑坡劇談청파극담》같은 시화나 야담수필집, 강희맹의 《村談解촌담해이》나 남효온의 《師友名行錄사우명행록》같은 소화나 전장류 수필들이 나왔다. 이외에도 성현의 《齋叢話용재총화》, 편자미상의 《稗林패림》등의 수필집이 편찬되었다.
16,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이순신의 《亂中日記난중일기》같은 일기체 수필이나, 김일손의 《續頭流錄속두류록》·김창협의 《東遊記동유기》처럼 기행수필도 많이 창작되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실존 인물이 역사적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실상을 기록하여 감정적 느낌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소위 實記실기의 등장이 두드러진다. 대표적으로는 강항의 《看羊錄간양록》, 장한철의 《漂海錄표해록》등이 있다.
한글 보급과 더불어 창작된 한글수필은 우리 말의 묘미를 살린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을 담은 모습을 보인다. 수양대군의 <釋譜詳節字석보상절자>와 같은 서발류나 김만중의 <貞敬夫人 海平尹氏 行狀정경부인 해평윤씨 행장>과 같은 전장류 등이 있다.
(4) 범위와 종류
△ 고수필의 범위
통상적으로 국문학의 개념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화자나 작가가 우리 국민을 청자나 독자로 하여 우리의 생활감정이나 정서 및 세계인식을 우리의 언어와 시대적 특수상황에 상응하여 쓰여진 문자로써 형상화된 문학으로 정의될 경우, 우리는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차자문학도 우리 문학의 범위로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리 고수필의 영역은 한문수필과 국문수필 작품 모두를 아우르는 것으로 한다.
△ 한문수필의 분류
한문학의 양식적 분류는 위나라의 조비가 <典論전론>에서 나눈 바대로 주의·서론·명뢰·시무의 3종류로 나눈다. 이후의 종류를 바탕으로 ①논변류 ②서발류 ③주소류 ④서간류 ⑤기행류 ⑥일기류 ⑦전장류 ⑧비지류 ⑨잡기류 ⑩잠계류 ⑪송찬류 ⑫애제류 ⑬사부류 ⑭소영류 등의 14종류로 나뉜다. 그러나 이는 한문학의 분류일 뿐 수필의 분류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우리의 문학관습에서 다양한 수필류의 글들을 이 양식에 따라 분류하였음을 무시할 수는 없다.
△ 국문수필의 분류
국문수필의 경우는 한문수필의 경우처럼 세분화하지는 않고 ①자발류 ②서간류 ③기행류 ④비망류 ⑤전장류 ⑥애제류 ⑦규계류 ⑧가사류 등의 8종류로 나눈다. 그러나 형식상으로는 운문이지만 내용상으로 산문인 까닭에 논란을 부르는 가사 등의 경우처럼 국문수필의 분류 역시 고수필의 총분류의 기준으로는 부족함이 있다. 때문에 고수필의 범위와 종류를 논할 때에는 한문수필과 국문수필의 구분을 따로 하지 않고, 갑오경장 이전의 모든 문학으로 포괄하여 크게 ①논변류 ②서발류 ③주소류 ④서간류 ⑤전창류 ⑥비지류 ⑦조영류 ⑧애제류 ⑨잡기류 ⑩잠계류로 나누도록 한다.
(5) 작품의 내용과 감상
a. 논변류
논변류는 사물의 이치를 깊이 있게 논하여 올바른 것을 변별해 내어 도리를 세우는 글로 논·변·설·의·해·원·유·대문 등이 이에 속한다. 내용이 고도로 개괄적이고 조리가 뚜렷하다. 이규보 <鏡說경설>, 김시습 <愛民義애민의>등이 있다.
b. 서발류
서발류는 자신이나 타인의 저술에 대해 서술경위·내용·체제등을 논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서·후서·서록·서략·표서·발·인·서후·제후·제사·독·평·술·예언·소·보·부록 등이 포함된다. 문집간행의 경위와 저자의 문학론을 함께 드러내는 경우가 많아 문학비평의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이규보 <東明王篇序동명왕편서>, 이황 <陶山十二曲跋도산십이곡발>등이 있다.
c. 주소류
주소류는 신하가 왕에게 시정득실등의 현안에 대하여 논해 올리는 글로 주·소·표·전·장·차자·봉사·책·탄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성충 <獄中上議慈王書옥중상의자왕서>, 이식 <司諫院箚子사간원차자>등이 있다.
d. 서간류
서간류는 상대방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는 자기표현의 한 형식이다. 서·노포· 격서·첩·계·척·독 등이 여기에 속한다. 사적인 성격이 강하며 임금이 아닌 여타의 인물에게 보내는 글이라는 점에서 주소류와 구별된다. 최치원 <檄黃巢書격황소서>, 송시열 <
그러므로 우리는 고수필을 “글쓰는 이의 삶을 중심으로 한 신변잡기에서부터 우주에 대한 思辨사변에 이르는 광범위한 隨想수상을 假飾가식이 없는 성실한 자세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비교적 짤막한 분량의 갑오경장 이전의 산문문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3) 발생 및 전개과정
△ 최초의 수필
수필은 산문문학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먼저 발생한 문학 장르이다. 우리나라의 수필은 한문학의 도입과 더불어 생성된 것으로 보며, 때문에 한자 사용이 본격화된 삼국시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최초의 수필은 《三國史記삼국사기》 列傳열전에 수록된, 김후진이 진평왕에게 올린 상소문이다. <上眞平王書상진평왕서>는 왕이 사냥에 빠져 정사를 소홀히 함을 경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비슷한 성격으로는 신문왕에 대한 풍간의 성격을 띠고 있는 설총의 <花王戒화왕계>가 있다. 이후에는 혜초의 《往五天竺國傳왕오천축국전》과 같은 기행수필도 등장한다. 그리고 최치원의 《桂苑筆耕集계원필경집》과 같이 다양한 산문이 수록된 수필집 역시 등장하게 된다.
△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우리 문학사에서 가장 한문학이 융성했던 시기였다. 과거제의 시행과 사학의 부흥으로 성장한 문인·관료층이 많은 글들을 창작하였는데, 그 대표작이 바로 《東文選동문선》이다. 박인량의 《古今錄고금록》과 정서의 《雜書잡서》등의 수필집, 각훈의 《海東高僧傳해동고승전》과 김부식의 《三國史記삼국사기》등의 글들도 지어졌다. 이외에도 의천이나 임춘 등이 개인 문집 속에 다양한 수필작품을 남겼고, 이규보의 <淸江使者玄夫傳청강사자현부전>이나 임춘의 <麴醇傳국순전>등의 사물을 의인화한 가전 수필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이다. 특히, 당시 중국 송나라의 영향으로 이인로의 《破閑集파한집》과 같은 사화와, 이제헌의 《역옹패설》같은 잡독집이 출현한 것도 특징이다.
△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실제적인 경험과 이념을 중시하는 사대부들이 수필에 주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서민계층의 문화의식 고조로 담당층의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한글의 창제로 여성과 같이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을 중심으로 국문수필이 창작되는 등 다양한 수필작품이 창작되었다.
서거정의 《東人詩話동인시화》나 이육의 《靑坡劇談청파극담》같은 시화나 야담수필집, 강희맹의 《村談解촌담해이》나 남효온의 《師友名行錄사우명행록》같은 소화나 전장류 수필들이 나왔다. 이외에도 성현의 《齋叢話용재총화》, 편자미상의 《稗林패림》등의 수필집이 편찬되었다.
16,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이순신의 《亂中日記난중일기》같은 일기체 수필이나, 김일손의 《續頭流錄속두류록》·김창협의 《東遊記동유기》처럼 기행수필도 많이 창작되었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실존 인물이 역사적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실상을 기록하여 감정적 느낌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소위 實記실기의 등장이 두드러진다. 대표적으로는 강항의 《看羊錄간양록》, 장한철의 《漂海錄표해록》등이 있다.
한글 보급과 더불어 창작된 한글수필은 우리 말의 묘미를 살린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을 담은 모습을 보인다. 수양대군의 <釋譜詳節字석보상절자>와 같은 서발류나 김만중의 <貞敬夫人 海平尹氏 行狀정경부인 해평윤씨 행장>과 같은 전장류 등이 있다.
(4) 범위와 종류
△ 고수필의 범위
통상적으로 국문학의 개념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화자나 작가가 우리 국민을 청자나 독자로 하여 우리의 생활감정이나 정서 및 세계인식을 우리의 언어와 시대적 특수상황에 상응하여 쓰여진 문자로써 형상화된 문학으로 정의될 경우, 우리는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차자문학도 우리 문학의 범위로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리 고수필의 영역은 한문수필과 국문수필 작품 모두를 아우르는 것으로 한다.
△ 한문수필의 분류
한문학의 양식적 분류는 위나라의 조비가 <典論전론>에서 나눈 바대로 주의·서론·명뢰·시무의 3종류로 나눈다. 이후의 종류를 바탕으로 ①논변류 ②서발류 ③주소류 ④서간류 ⑤기행류 ⑥일기류 ⑦전장류 ⑧비지류 ⑨잡기류 ⑩잠계류 ⑪송찬류 ⑫애제류 ⑬사부류 ⑭소영류 등의 14종류로 나뉜다. 그러나 이는 한문학의 분류일 뿐 수필의 분류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우리의 문학관습에서 다양한 수필류의 글들을 이 양식에 따라 분류하였음을 무시할 수는 없다.
△ 국문수필의 분류
국문수필의 경우는 한문수필의 경우처럼 세분화하지는 않고 ①자발류 ②서간류 ③기행류 ④비망류 ⑤전장류 ⑥애제류 ⑦규계류 ⑧가사류 등의 8종류로 나눈다. 그러나 형식상으로는 운문이지만 내용상으로 산문인 까닭에 논란을 부르는 가사 등의 경우처럼 국문수필의 분류 역시 고수필의 총분류의 기준으로는 부족함이 있다. 때문에 고수필의 범위와 종류를 논할 때에는 한문수필과 국문수필의 구분을 따로 하지 않고, 갑오경장 이전의 모든 문학으로 포괄하여 크게 ①논변류 ②서발류 ③주소류 ④서간류 ⑤전창류 ⑥비지류 ⑦조영류 ⑧애제류 ⑨잡기류 ⑩잠계류로 나누도록 한다.
(5) 작품의 내용과 감상
a. 논변류
논변류는 사물의 이치를 깊이 있게 논하여 올바른 것을 변별해 내어 도리를 세우는 글로 논·변·설·의·해·원·유·대문 등이 이에 속한다. 내용이 고도로 개괄적이고 조리가 뚜렷하다. 이규보 <鏡說경설>, 김시습 <愛民義애민의>등이 있다.
b. 서발류
서발류는 자신이나 타인의 저술에 대해 서술경위·내용·체제등을 논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서·후서·서록·서략·표서·발·인·서후·제후·제사·독·평·술·예언·소·보·부록 등이 포함된다. 문집간행의 경위와 저자의 문학론을 함께 드러내는 경우가 많아 문학비평의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이규보 <東明王篇序동명왕편서>, 이황 <陶山十二曲跋도산십이곡발>등이 있다.
c. 주소류
주소류는 신하가 왕에게 시정득실등의 현안에 대하여 논해 올리는 글로 주·소·표·전·장·차자·봉사·책·탄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성충 <獄中上議慈王書옥중상의자왕서>, 이식 <司諫院箚子사간원차자>등이 있다.
d. 서간류
서간류는 상대방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는 자기표현의 한 형식이다. 서·노포· 격서·첩·계·척·독 등이 여기에 속한다. 사적인 성격이 강하며 임금이 아닌 여타의 인물에게 보내는 글이라는 점에서 주소류와 구별된다. 최치원 <檄黃巢書격황소서>, 송시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