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양심론
2. 수렴이론
3. 시민권 이론
4. 독점자본이론
5. 사회민주주의 이론
6. 이익집단정치이론
7. 국가충성이론
8. 확산이론
2. 수렴이론
3. 시민권 이론
4. 독점자본이론
5. 사회민주주의 이론
6. 이익집단정치이론
7. 국가충성이론
8. 확산이론
본문내용
보이는 국가들 설명하지 못함.
사회복지정책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봄으로써 정치적 측면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2. 수렴이론(산업화이론)
-Ken(1960년대)
-산업사업화 과정이 사회를 급진적으로 변화, 이런 변화에 맞는 사회복지가 발달. 산업화의 시작은 다르지만 일정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데 그 비슷한 발달 과정에 맞는 사회복지가 발달.
①피고용자 증가 : 노동력을 상실할 수 있는 일이 증가될 수 있다(산업재해)
퇴직존재(농경사회는 존재) 65, 62, 61, 55세 퇴직 연령
⇒어떻게 노동하지 않은 사람을 보호해 줄까?
②사회해체현상 : 핵가족화(노인부양의 문제)
여성의 사회진출(이혼문제-여성의 경제력 증가, 육아문제)
<장점>
①산업화(→정치적 다른 변수를 배제시킴⇒단점)만 되면 복지가 활성화된다는 근거가
희박하다. 즉 산업화와 복지 발달과의 인과성이 충분히 증명되지 않았다.
②사회복지 정책이 산업화가 비슷한 나라끼리 수준의 차이가 나는 것을 설명하지 못함.
ex)스웨덴의 높은 복지와 미국은 낮은 복지수준→선진국과 후진국의 비교는 쉽지만
선진국끼리의 비교에 적용 불가능
3. 시민권 이론(1953)
-Marshall City and Social Class
-사회 발달해온 과정에서 18, 19, 20세기를 보면서 사회발달에 영향을 주는 권리가 존재.
18C-자유권 / 19C-정치권(선거권, 참정권) / 20C-시민권 사회권, 복지권→인간이
기본 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 권리
*권리 획득
18C - 자유권이 획득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의 투쟁에서 뺏은 것
19C - 1830년대 노동자에게 주어짐. 남성만이 참정권.
1928년 뉴질랜드에서 여성들의 참정권 인정.
시민적 권리로써 복지권이 주어짐.
<장점>
①보편적 복지를 행하게 하는 논리적 근거
②사회적 연대성을 제공함
<단점>
①영구(민주주의가 정착된)선진국에 제한
②시민권 등은 추상적인 개념이며 모순이 존재
③정치적인 역학관계를 배제
4. 독점자본이론
-Marx. New - Marxist
-산업사회가 고도로 발전하니까 결국 독점자본주의 체제이다. 독점자본주의 체제하에서
복지가 어떻게 발생.
-독점자본주의에서의 국가의 역할(자본 + 노동 = 자본주의)
①도구주의 입장 : 노동이 도구로 사용. 자본가들,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 복지국가로 탄생하였더라도 자본가의 허락 필요. →국가는 자본가의 이익을 수행하는 도구이다.
<자본가가 복지를 실현하는 이유>
a. 자본축적의 위기가 있을 때. ex)경제 공황이 있을 때
b. 사회혼란이 있을 때(사회통제이론)ex)노동자들이 폭동을 일으킬 때, 존슨이 ‘빈곤과의 전쟁’, IMF때 사회복지비 지출이 증가
c. 노동력의 재생산이 필요할 때. ex)초기자본주의에서는 숙련된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았지만 독점자본주의에서는 한번 노동력이 상실되면 손실이 크기 때문
②구조주의
국가의 존재가 자본주의에 독립, 종속되었는가??
국가가 자본주의로부터 자율성을 가지지만 자본가에 의해서 획득할 수밖에 없다.
<국가는 왜 복지를 실현할까?>
a. 노동자 계급의 도전
사회복지정책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봄으로써 정치적 측면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2. 수렴이론(산업화이론)
-Ken(1960년대)
-산업사업화 과정이 사회를 급진적으로 변화, 이런 변화에 맞는 사회복지가 발달. 산업화의 시작은 다르지만 일정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데 그 비슷한 발달 과정에 맞는 사회복지가 발달.
①피고용자 증가 : 노동력을 상실할 수 있는 일이 증가될 수 있다(산업재해)
퇴직존재(농경사회는 존재) 65, 62, 61, 55세 퇴직 연령
⇒어떻게 노동하지 않은 사람을 보호해 줄까?
②사회해체현상 : 핵가족화(노인부양의 문제)
여성의 사회진출(이혼문제-여성의 경제력 증가, 육아문제)
<장점>
①산업화(→정치적 다른 변수를 배제시킴⇒단점)만 되면 복지가 활성화된다는 근거가
희박하다. 즉 산업화와 복지 발달과의 인과성이 충분히 증명되지 않았다.
②사회복지 정책이 산업화가 비슷한 나라끼리 수준의 차이가 나는 것을 설명하지 못함.
ex)스웨덴의 높은 복지와 미국은 낮은 복지수준→선진국과 후진국의 비교는 쉽지만
선진국끼리의 비교에 적용 불가능
3. 시민권 이론(1953)
-Marshall City and Social Class
-사회 발달해온 과정에서 18, 19, 20세기를 보면서 사회발달에 영향을 주는 권리가 존재.
18C-자유권 / 19C-정치권(선거권, 참정권) / 20C-시민권 사회권, 복지권→인간이
기본 권리를 획득할 수 있는 권리
*권리 획득
18C - 자유권이 획득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의 투쟁에서 뺏은 것
19C - 1830년대 노동자에게 주어짐. 남성만이 참정권.
1928년 뉴질랜드에서 여성들의 참정권 인정.
시민적 권리로써 복지권이 주어짐.
<장점>
①보편적 복지를 행하게 하는 논리적 근거
②사회적 연대성을 제공함
<단점>
①영구(민주주의가 정착된)선진국에 제한
②시민권 등은 추상적인 개념이며 모순이 존재
③정치적인 역학관계를 배제
4. 독점자본이론
-Marx. New - Marxist
-산업사회가 고도로 발전하니까 결국 독점자본주의 체제이다. 독점자본주의 체제하에서
복지가 어떻게 발생.
-독점자본주의에서의 국가의 역할(자본 + 노동 = 자본주의)
①도구주의 입장 : 노동이 도구로 사용. 자본가들,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 복지국가로 탄생하였더라도 자본가의 허락 필요. →국가는 자본가의 이익을 수행하는 도구이다.
<자본가가 복지를 실현하는 이유>
a. 자본축적의 위기가 있을 때. ex)경제 공황이 있을 때
b. 사회혼란이 있을 때(사회통제이론)ex)노동자들이 폭동을 일으킬 때, 존슨이 ‘빈곤과의 전쟁’, IMF때 사회복지비 지출이 증가
c. 노동력의 재생산이 필요할 때. ex)초기자본주의에서는 숙련된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았지만 독점자본주의에서는 한번 노동력이 상실되면 손실이 크기 때문
②구조주의
국가의 존재가 자본주의에 독립, 종속되었는가??
국가가 자본주의로부터 자율성을 가지지만 자본가에 의해서 획득할 수밖에 없다.
<국가는 왜 복지를 실현할까?>
a. 노동자 계급의 도전
추천자료
[사회과학] 조합주의 이론
정치적 다원주의
통화정책 운용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
정치인종분쟁과 외교정책
복지국가의 성립과 발전과정
공공선택이론 연구
[다원주의][다원주의의 특징][종교다원주의 고찰][다원주의 비판][다원문화][다원성]다원주의...
교육 사회학 시험문제 + 인간과 사회 예상문제
국가의 역할
기본과목인 이유
[사회과학] 정당정치
[공기업 민영화][공기업 민영화 근거]공기업 민영화의 필요성, 공기업 민영화의 이론, 공기업...
2016년 1학기 지역개발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종속이론의 개념과 장점 및 문제점)
다원주의, 법인 자본주의 그리고 국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