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학교 폭력의 개념, 유형, 실태.
⅒⅒ⅰ. 학교 폭력의 개념
⅒⅒ⅱ. 학교 폭력의 유형 및 실태
Ⅲ. 학교 폭력의 원인..
Ⅳ. 학교 폭력의 특징..
Ⅴ.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Ⅵ. 학교 폭력의 대책과 해결 방안.
⅒⅒ⅰ. 국가(정부)적 대책
⅐⅐ⅱ. 가정적 대책
⅑⅑ⅲ. 학교적 대책
⅒⅒ⅳ. 전문가(의사, 간호사, 상담가)적 대책.
Ⅶ. 결론
Ⅱ. 학교 폭력의 개념, 유형, 실태.
⅒⅒ⅰ. 학교 폭력의 개념
⅒⅒ⅱ. 학교 폭력의 유형 및 실태
Ⅲ. 학교 폭력의 원인..
Ⅳ. 학교 폭력의 특징..
Ⅴ.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Ⅵ. 학교 폭력의 대책과 해결 방안.
⅒⅒ⅰ. 국가(정부)적 대책
⅐⅐ⅱ. 가정적 대책
⅑⅑ⅲ. 학교적 대책
⅒⅒ⅳ. 전문가(의사, 간호사, 상담가)적 대책.
Ⅶ. 결론
본문내용
를 입힌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앞서 말한 바 있는 가해자에 대한 복수심과 억울함이 낳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Ⅴ.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의 문제점은 비단 피해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가해자도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영향을 피해자와 가해자 각각 나누어 살펴 보았다.
1) 정서적 측면
①피해학생의 정서적인 피해의 결과를 보면 하단의 표와 같다.
자녀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 추진본부에 1998년 한 해 동안 전화 접수된 집단따돌 림 신고 내용 (총 174명)
>학교에 대한 불안감: 등교거부를 유도하며 자연스럽게 성적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자연스레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갖게 되고 계속 되는 낮은 성적으로 위축적인 특성을 지니게 된다.
>정신과 치료경험: 폭행의 경험에 의해 심한 정신적 증세로 인해 초래된 결과이다.
②가해자의 경우: 일반 아동 및 청소년에 비해서 정신병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신병리를 폭행으로 해소하게 되므로 상습적인 폭행을 유발한다.
2) 사회적 측면
①피해 학생의 경우:
(국내)분류
수치
과거 집단 따돌림을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빈도수
20%~55%
현재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의 빈도수
초등학생
10.7%
중학생
5.6%
고등학생
3.3%
>상단의 표에서 흥미로운 것은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왕따 학생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점이다. 이는 이미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따돌림의 문제가 시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어렸을 때의 학교 폭력의 경험이 인생의 연속선상에서 영향을 끼치게 되어, 결국 사회에 나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단체 생활을 할 수 없게 되고, 자기 스스로를 사회에서 배재시켜버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해자의 피해 정도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가해 학생의 경우: 상습적 폭행자로 사람들에게 각인된 학생은 스스로를 더욱 더 타락시키고, 사회적으로 문제아로 낙인찍히게 된다. 결국 사람들을 피하게 되고, 그러한 사람들에 대한 반항심이 증가하여 악순환을 반복되게 한다. 가해학생이 사회에서 도태되는, 흔히 말하는 아웃 사이더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겉도는 대책문제
학교폭력 상담이 이뤄지지 않을 뿐 더러, 학교에서는 학교폭력을 드러내 놓고 해결하기 보다는 감추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학생 폭력 문제가 커지면 가해 학생에게는 화장실 청소와 같은 처벌을 내리는 반면 피해 학생에게는 되래 전학을 권유 하고 있다.
①피해자의 경우: 피해입은 상황을 보상 받지 못하고, 해결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신적 질환으로 이어지거나, 불충분한 대응으로 가해학생들의 지속적인 표적 이 될 수 있다.
②가해자의 경우: 정신병리를 폭행으로 해결한 학생은, 자신의 상황을 당연한 것으로 받 아들이고 문제의 원인을 해결 하지 못하게되어, 정신적 병리의 악화와 더불어 상습적인 폭행을 행하게 된다.
Ⅵ. 학교 폭력의 대책과 해결 방안
ⅰ. 학교폭력의 국가(정부)적 대책
- 1995년 이후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 근절 대책의 추진 결과 2004년까지 학교폭력 발생 건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학교폭력에 대한 국가적인 대책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내용
2000년도
2001년도
2002년도
2003년도
2004년도
검찰청의 학교폭력사건 검거학생
33.833명
27,446명
23,921명
12,559명
9,923명
경찰청의 학교폭력사건 검거. 구속학생
31,691명
28,653명
28,289명
11,440명
7,880명
학교의 학교폭력으로 징계 받은 학생 수
11,562명
11,310명
7,318명
7,769명
7,488(건)
경찰청의 폭력서클 파악 및 해체
29개
34개
79개
21개
22개
학교의 폭력서클
파악 및 해체
73개
39개
63개
72개
50개
1995년 이후부터 시행되고 있는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 근절 대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처별 정책과 네트워크
1995년부터 정부 주도하게 관계부처별로 「학교폭력 근절대책」을 수립시행하기 시작했다. 또 1997년부터는 국무조정실의 주관 하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학교폭력 예방근절대책」을 추진했다. 각 부처별 근절대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부 : 학교폭력 추방 추진체제 구축운영
- 학교폭력 예방근절 대책본부(교육부), 학교폭력 예방근절 대책반 (교육청), 학교폭력 추방위원회(학교)
행정자치부 : 학교주변 업소에 대한 인허가 절차 및 지도 강화
문화관광부 : 청소년 육성관련 법정비 및 영상물 등급 심사와 청소년 상담체제 강화
정보통신부 : 사이버 유해환경 정화 노력
청소년보호위원회 : 청소년 보호관련 법정비 및 다양한 계도 추진
대검찰청 : 학교담당 검사제 및 ‘자녀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본부’ 운영
경찰청 : 학교담당 경찰관제 시행, 어머니 경찰대 및 명예 경찰 소년단 운영, 주변 순찰 강화 등
2) 신고체제의 일원화
학교폭력 피해사실의 신고와 상담망 구축은 피해학생의 안전성 확보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학교폭력 신고를 위해 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신고망은 다음과 같다.
<현행 신고 망>
- 1588-7179(학생고충상담전화) 및 시도교육청별 HOT-LINE
* 전화한 자가 있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청으로 연결
-사이버경찰청(npa.go.kr)의 학교폭력상담신고센터와
전국 경찰서지방청에 설치된 학교폭력신고센터(247개)
- 문화관광부의 청소년상담실 1391
- 여성부의 여성 긴급전화 1366
-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청소년 긴급전화 1388
- 기타 교육청 및 학교별 사이버신고 망 등
그런데 신고전화와 신고 망이 부처별기관별로 제각기 운영되고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각 부처별기관별 전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점이 있고 무엇을 도와주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실체적인 유용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신고 망을 일원화 시키고 시스템의 단일화 방안 (중장기적으로 폭력신고
Ⅴ.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의 문제점은 비단 피해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가해자도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폭력의 문제점 및 영향을 피해자와 가해자 각각 나누어 살펴 보았다.
1) 정서적 측면
①피해학생의 정서적인 피해의 결과를 보면 하단의 표와 같다.
자녀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 추진본부에 1998년 한 해 동안 전화 접수된 집단따돌 림 신고 내용 (총 174명)
>학교에 대한 불안감: 등교거부를 유도하며 자연스럽게 성적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자연스레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갖게 되고 계속 되는 낮은 성적으로 위축적인 특성을 지니게 된다.
>정신과 치료경험: 폭행의 경험에 의해 심한 정신적 증세로 인해 초래된 결과이다.
②가해자의 경우: 일반 아동 및 청소년에 비해서 정신병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신병리를 폭행으로 해소하게 되므로 상습적인 폭행을 유발한다.
2) 사회적 측면
①피해 학생의 경우:
(국내)분류
수치
과거 집단 따돌림을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빈도수
20%~55%
현재 집단 따돌림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의 빈도수
초등학생
10.7%
중학생
5.6%
고등학생
3.3%
>상단의 표에서 흥미로운 것은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왕따 학생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점이다. 이는 이미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따돌림의 문제가 시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어렸을 때의 학교 폭력의 경험이 인생의 연속선상에서 영향을 끼치게 되어, 결국 사회에 나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단체 생활을 할 수 없게 되고, 자기 스스로를 사회에서 배재시켜버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해자의 피해 정도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가해 학생의 경우: 상습적 폭행자로 사람들에게 각인된 학생은 스스로를 더욱 더 타락시키고, 사회적으로 문제아로 낙인찍히게 된다. 결국 사람들을 피하게 되고, 그러한 사람들에 대한 반항심이 증가하여 악순환을 반복되게 한다. 가해학생이 사회에서 도태되는, 흔히 말하는 아웃 사이더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3) 겉도는 대책문제
학교폭력 상담이 이뤄지지 않을 뿐 더러, 학교에서는 학교폭력을 드러내 놓고 해결하기 보다는 감추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학생 폭력 문제가 커지면 가해 학생에게는 화장실 청소와 같은 처벌을 내리는 반면 피해 학생에게는 되래 전학을 권유 하고 있다.
①피해자의 경우: 피해입은 상황을 보상 받지 못하고, 해결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신적 질환으로 이어지거나, 불충분한 대응으로 가해학생들의 지속적인 표적 이 될 수 있다.
②가해자의 경우: 정신병리를 폭행으로 해결한 학생은, 자신의 상황을 당연한 것으로 받 아들이고 문제의 원인을 해결 하지 못하게되어, 정신적 병리의 악화와 더불어 상습적인 폭행을 행하게 된다.
Ⅵ. 학교 폭력의 대책과 해결 방안
ⅰ. 학교폭력의 국가(정부)적 대책
- 1995년 이후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 근절 대책의 추진 결과 2004년까지 학교폭력 발생 건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학교폭력에 대한 국가적인 대책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내용
2000년도
2001년도
2002년도
2003년도
2004년도
검찰청의 학교폭력사건 검거학생
33.833명
27,446명
23,921명
12,559명
9,923명
경찰청의 학교폭력사건 검거. 구속학생
31,691명
28,653명
28,289명
11,440명
7,880명
학교의 학교폭력으로 징계 받은 학생 수
11,562명
11,310명
7,318명
7,769명
7,488(건)
경찰청의 폭력서클 파악 및 해체
29개
34개
79개
21개
22개
학교의 폭력서클
파악 및 해체
73개
39개
63개
72개
50개
1995년 이후부터 시행되고 있는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 예방, 근절 대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처별 정책과 네트워크
1995년부터 정부 주도하게 관계부처별로 「학교폭력 근절대책」을 수립시행하기 시작했다. 또 1997년부터는 국무조정실의 주관 하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학교폭력 예방근절대책」을 추진했다. 각 부처별 근절대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육부 : 학교폭력 추방 추진체제 구축운영
- 학교폭력 예방근절 대책본부(교육부), 학교폭력 예방근절 대책반 (교육청), 학교폭력 추방위원회(학교)
행정자치부 : 학교주변 업소에 대한 인허가 절차 및 지도 강화
문화관광부 : 청소년 육성관련 법정비 및 영상물 등급 심사와 청소년 상담체제 강화
정보통신부 : 사이버 유해환경 정화 노력
청소년보호위원회 : 청소년 보호관련 법정비 및 다양한 계도 추진
대검찰청 : 학교담당 검사제 및 ‘자녀 안심하고 학교 보내기 운동본부’ 운영
경찰청 : 학교담당 경찰관제 시행, 어머니 경찰대 및 명예 경찰 소년단 운영, 주변 순찰 강화 등
2) 신고체제의 일원화
학교폭력 피해사실의 신고와 상담망 구축은 피해학생의 안전성 확보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학교폭력 신고를 위해 정부가 운영하고 있는 신고망은 다음과 같다.
<현행 신고 망>
- 1588-7179(학생고충상담전화) 및 시도교육청별 HOT-LINE
* 전화한 자가 있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청으로 연결
-사이버경찰청(npa.go.kr)의 학교폭력상담신고센터와
전국 경찰서지방청에 설치된 학교폭력신고센터(247개)
- 문화관광부의 청소년상담실 1391
- 여성부의 여성 긴급전화 1366
-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청소년 긴급전화 1388
- 기타 교육청 및 학교별 사이버신고 망 등
그런데 신고전화와 신고 망이 부처별기관별로 제각기 운영되고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각 부처별기관별 전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점이 있고 무엇을 도와주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실체적인 유용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신고 망을 일원화 시키고 시스템의 단일화 방안 (중장기적으로 폭력신고
추천자료
아동복지와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사회복지
청소년 권리와 복지정책
[청소년복지]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현황 및 문제점과 발전방향
청소년 복지법에 관한 내용분석
청소년 복지의 개념, 특징, 목표, 과제, 전망, 역사
[청소년복지] 소셜네트워크와 소셜미디어의 활용이 청소년 복지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방안에 ...
청소년복지의 개념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들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청소년복지행정 전달체계에 대해 설명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역사를 정리하고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청소년복지론)자신이 학교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라면 빈곤가정 청소년을 어떻게 도울 수 ...
[청소년문화복지] 청소년 문화복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