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1.1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 및 자료 분석
1. 목적
2. 실험 장치
3.실험 방법
4.실험치
5. 결과
6. 토의
실험1.2 버니어 캘리퍼스 사용법
1. 실험목적
2. 실험장치
3.실험방법
4.실험치
5. 결과
6. 토의
1. 목적
2. 실험 장치
3.실험 방법
4.실험치
5. 결과
6. 토의
실험1.2 버니어 캘리퍼스 사용법
1. 실험목적
2. 실험장치
3.실험방법
4.실험치
5. 결과
6. 토의
본문내용
자료 분석과 버니어 캘리퍼스 사용법
실험 1.1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 및 자료 분석
1. 목적
미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센서를 통해 스프링에 의해 튕겨진 수레의 움직임을 측정 하고 그 자료를 통해 그 운동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론 값과 비교해 보자.
2. 실험 장치
컴퓨터와 DataStudio 프로그램, 사이언스 위크샵, 모션센서, 트랙, 수레
3.실험 방법
1.컴퓨터에 사이언스 워크샵을 연결하고 트랙의 가장자리에 모션센서를 장치한다.
2.사이언스 워크샵에 전원을 연결하고 모션 센서를 연결한다.
3.수레의 운동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레가 지나갈 트랙부분을 닦아준다.
4.용수철을 다 집어넣은 후 트랙 위 정지대에 수레를 올려놓고 용수철 플런저를 가볍 게 쳐서 수레가 움직이도록 한다.
5.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수치를 체크한다.
6.이와 같은 방법을 두세번 반복하여 값을 얻는다.
4.실험치
1-1 그래프
1-2 그래프
1-3 그래프
2-1 그래프
2-2 그래프
2-3 그래프
5. 결과
1 그래프
2그래프
1그래프는 1-1,2,3을 합친 그래프이다. 1-1인 제일 위 그래프를 보면 두 개의 기울기가 있음을 보게 된다. 처음은 스프링이 튕겨 나가면서 그려지는 그래프이고 두 번째는 주어지는 힘이 없어진 후 일정한 가속도를 따라 (1-2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다. 속도 감소!) 그려짐을 알 수 있다. 1-2는 스프링이 튕기는 동안 큰 기울기로 커지는 속도와 스프링의 힘이 없어진 후 거의 일정 기울기로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1-3은 스프링이 튕기는 시간동안 가속도가 커졌다가 스프링의 힘이 제거되는 순간 가속도는 0값이 된다. 그후 마찰에 의한 가속도가 양의 값이 나오게 된다. 즉 스프링이 튕기는 동안은 스프링의 힘에 의한 가속도운동을, 스프링의 힘이 없어진 후엔 마찰력에 의한 가속도운동임을 알 수 있다.
2그래프 또한 같은 형식이다.
6. 토의
의 식에 따르면 힘이 가해질 때에만 가속도가 나올 수 있다. 그런 이론을 생각해보면 가속도는 직각 삼각형이 나와야 한다. 즉 윗쪽이 밑면이고 위의 오른쪽이 직각인 직각삼형이 가속도 그래프인 1-3과 2-3의 그래프서 나와야 한다. 위 그래프는 어떤 임의의 시간에 찍힌 점을 택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나오지 않은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1보단 2의 값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2의 경우 가속도의 그래프가 직각삼각형을 그리기에 3,4,5번째 값으로는 힘들기
실험 1.1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 및 자료 분석
1. 목적
미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센서를 통해 스프링에 의해 튕겨진 수레의 움직임을 측정 하고 그 자료를 통해 그 운동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론 값과 비교해 보자.
2. 실험 장치
컴퓨터와 DataStudio 프로그램, 사이언스 위크샵, 모션센서, 트랙, 수레
3.실험 방법
1.컴퓨터에 사이언스 워크샵을 연결하고 트랙의 가장자리에 모션센서를 장치한다.
2.사이언스 워크샵에 전원을 연결하고 모션 센서를 연결한다.
3.수레의 운동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레가 지나갈 트랙부분을 닦아준다.
4.용수철을 다 집어넣은 후 트랙 위 정지대에 수레를 올려놓고 용수철 플런저를 가볍 게 쳐서 수레가 움직이도록 한다.
5.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수치를 체크한다.
6.이와 같은 방법을 두세번 반복하여 값을 얻는다.
4.실험치
1-1 그래프
1-2 그래프
1-3 그래프
2-1 그래프
2-2 그래프
2-3 그래프
5. 결과
1 그래프
2그래프
1그래프는 1-1,2,3을 합친 그래프이다. 1-1인 제일 위 그래프를 보면 두 개의 기울기가 있음을 보게 된다. 처음은 스프링이 튕겨 나가면서 그려지는 그래프이고 두 번째는 주어지는 힘이 없어진 후 일정한 가속도를 따라 (1-2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다. 속도 감소!) 그려짐을 알 수 있다. 1-2는 스프링이 튕기는 동안 큰 기울기로 커지는 속도와 스프링의 힘이 없어진 후 거의 일정 기울기로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1-3은 스프링이 튕기는 시간동안 가속도가 커졌다가 스프링의 힘이 제거되는 순간 가속도는 0값이 된다. 그후 마찰에 의한 가속도가 양의 값이 나오게 된다. 즉 스프링이 튕기는 동안은 스프링의 힘에 의한 가속도운동을, 스프링의 힘이 없어진 후엔 마찰력에 의한 가속도운동임을 알 수 있다.
2그래프 또한 같은 형식이다.
6. 토의
의 식에 따르면 힘이 가해질 때에만 가속도가 나올 수 있다. 그런 이론을 생각해보면 가속도는 직각 삼각형이 나와야 한다. 즉 윗쪽이 밑면이고 위의 오른쪽이 직각인 직각삼형이 가속도 그래프인 1-3과 2-3의 그래프서 나와야 한다. 위 그래프는 어떤 임의의 시간에 찍힌 점을 택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나오지 않은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1보단 2의 값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2의 경우 가속도의 그래프가 직각삼각형을 그리기에 3,4,5번째 값으로는 힘들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