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가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 한다면 지도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3. 결론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은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과 존경심을 가져야 한다. 집단과 개인은 자기들의 일을 계획함에 자유스런 기회가 보장될 때 그들은 누구보다 현명한 판단과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신념과 자신의 일을 본인 스스로가 다룰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한다는 믿음을 지녀야 한다. 집단지도자가 구성원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고 관심을 가지며 그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면 집단으로부터 공감을 얻는데 실패하게 된다. 집단과 개인이 느끼는 바와 동일하게 느끼지 않으면서 이들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이들의 적대감과 공격성도 사랑과 애정처럼 사람들의 상호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상적 반응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집단구성원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자신의 행동을 집단과 구성원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적인 심리역동성에 대한 통찰, 집단역동성에 대한 일반적 지식, 특수한 집단에 대한 지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자신이 속한 기관이나 시설 또는 단체가 가진 한계성을 받아들이고 집단구성원으로 하여금 그의 기관이 주지 못하는 도움을 다른 기관에서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어야 한다. 99
참고문헌
김중옥 외, 집단사회사업방법론, 홍익, 1993.
이화여대 사회사업학과 편, 집단사회사업실천방법론, 동인, 1993.
남세진 외, 집단지도방법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한덕웅, 집단행동이론, 시그마프레스. 2002.
김종옥 외, 집단사회사업방법론, 홍익제. 2001.
3. 결론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은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과 존경심을 가져야 한다. 집단과 개인은 자기들의 일을 계획함에 자유스런 기회가 보장될 때 그들은 누구보다 현명한 판단과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신념과 자신의 일을 본인 스스로가 다룰 수 있는 권리를 소유한다는 믿음을 지녀야 한다. 집단지도자가 구성원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고 관심을 가지며 그의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면 집단으로부터 공감을 얻는데 실패하게 된다. 집단과 개인이 느끼는 바와 동일하게 느끼지 않으면서 이들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이들의 적대감과 공격성도 사랑과 애정처럼 사람들의 상호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상적 반응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집단구성원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자신의 행동을 집단과 구성원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적인 심리역동성에 대한 통찰, 집단역동성에 대한 일반적 지식, 특수한 집단에 대한 지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자신이 속한 기관이나 시설 또는 단체가 가진 한계성을 받아들이고 집단구성원으로 하여금 그의 기관이 주지 못하는 도움을 다른 기관에서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어야 한다. 99
참고문헌
김중옥 외, 집단사회사업방법론, 홍익, 1993.
이화여대 사회사업학과 편, 집단사회사업실천방법론, 동인, 1993.
남세진 외, 집단지도방법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한덕웅, 집단행동이론, 시그마프레스. 2002.
김종옥 외, 집단사회사업방법론, 홍익제. 2001.
추천자료
집단대상 개입기술
[상담심리학] 상담에 대한 분석
[집단상담자][집단상담]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기술 및 집단상담 각 단계의 특징과 지도자의 중...
집단상담의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과 상담자의 역할에 대...
약물남용 청소년에 대한 집단대상 실천기술개입프로그램사례청소년집단대상 심리사회적개입사례
개입단계에서의 집단성원과 집단의 특성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하고 개입단계에 공통적...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의 중간단계에 대해 기술 개입 집단개입 집단대상개입 중간단계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의 중간단계에 대해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