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목차
<01 총론>
Ⅰ 항상성의 유지
Ⅱ 면역과 간호
Ⅲ 암
Ⅳ 통증간호
Ⅴ 쇼크간호
Ⅵ 응급간호
Ⅶ 수술간호
Ⅷ 재활간호
Ⅸ 장기이식
Ⅹ 호스피스
<02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Ⅱ 하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03 소화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Ⅱ 위장관계 환자의 건강사정
Ⅲ 구강 및 식도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Ⅳ 위장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Ⅴ 소장 및 대장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Ⅵ 간, 담도 및 췌장의 건강문제와 간호
<Ⅶ 심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심혈관계의 구조와 기능
Ⅱ 심혈관계 환자의 건강사정
Ⅲ 울혈성 심부전
Ⅳ 염증성 심장질환과 간호
Ⅴ 심장판막질환
Ⅵ 부정맥
Ⅶ 관상동맥질환과 간호
Ⅷ 맥관계 장애
<05 혈액계>
Ⅰ. 혈액의 구성과 기능
Ⅱ. 혈액계 사정 및 진단검사
Ⅲ. 혈액과 조혈기관 장애
Ⅳ 혈액종양
Ⅴ. 지혈, 혈소판 응고장애
< 06. 신경계 >
Ⅰ.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Ⅱ. 신경계 기능사정과 진단검사
Ⅲ. 신경학적 구조와 기능장애
Ⅳ. 감염성 질환
Ⅴ. 말초신경질환
Ⅵ. 뇌혈관성 질환
Ⅶ. 퇴행성 질환
Ⅷ. 신경계 외상
Ⅸ. 신경계 종양/경련성 장애
Ⅹ. 신경계 수술환자 관리
<08 배뇨장애>
Ⅰ.요로계의 구조와 기능
Ⅱ.신장과 요로계 사정 및 진단검사
Ⅲ.요로감염
Ⅳ.신생물 및 폐쇄성장애
Ⅴ.면역장애
Ⅵ.기타장애
Ⅶ.급성 신부전, 만성신부전
<09 남성생식기/유방질환>
Ⅰ.남성 생식계 장애
Ⅱ.유방장애
<10. 내분비계>
Ⅰ.내분비계의 해부생리
Ⅱ.뇌하수체 기능장애
Ⅲ.당질대사장애
<11. 감각계>
Ⅰ.피부장애
Ⅱ.화상
Ⅰ 항상성의 유지
Ⅱ 면역과 간호
Ⅲ 암
Ⅳ 통증간호
Ⅴ 쇼크간호
Ⅵ 응급간호
Ⅶ 수술간호
Ⅷ 재활간호
Ⅸ 장기이식
Ⅹ 호스피스
<02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Ⅱ 하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03 소화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Ⅱ 위장관계 환자의 건강사정
Ⅲ 구강 및 식도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Ⅳ 위장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Ⅴ 소장 및 대장 장애를 가진 대상자 간호
Ⅵ 간, 담도 및 췌장의 건강문제와 간호
<Ⅶ 심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심혈관계의 구조와 기능
Ⅱ 심혈관계 환자의 건강사정
Ⅲ 울혈성 심부전
Ⅳ 염증성 심장질환과 간호
Ⅴ 심장판막질환
Ⅵ 부정맥
Ⅶ 관상동맥질환과 간호
Ⅷ 맥관계 장애
<05 혈액계>
Ⅰ. 혈액의 구성과 기능
Ⅱ. 혈액계 사정 및 진단검사
Ⅲ. 혈액과 조혈기관 장애
Ⅳ 혈액종양
Ⅴ. 지혈, 혈소판 응고장애
< 06. 신경계 >
Ⅰ.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Ⅱ. 신경계 기능사정과 진단검사
Ⅲ. 신경학적 구조와 기능장애
Ⅳ. 감염성 질환
Ⅴ. 말초신경질환
Ⅵ. 뇌혈관성 질환
Ⅶ. 퇴행성 질환
Ⅷ. 신경계 외상
Ⅸ. 신경계 종양/경련성 장애
Ⅹ. 신경계 수술환자 관리
<08 배뇨장애>
Ⅰ.요로계의 구조와 기능
Ⅱ.신장과 요로계 사정 및 진단검사
Ⅲ.요로감염
Ⅳ.신생물 및 폐쇄성장애
Ⅴ.면역장애
Ⅵ.기타장애
Ⅶ.급성 신부전, 만성신부전
<09 남성생식기/유방질환>
Ⅰ.남성 생식계 장애
Ⅱ.유방장애
<10. 내분비계>
Ⅰ.내분비계의 해부생리
Ⅱ.뇌하수체 기능장애
Ⅲ.당질대사장애
<11. 감각계>
Ⅰ.피부장애
Ⅱ.화상
본문내용
식이, 알코올 금지, 비타민 K보충제, 간성 뇌병변 있는 경
우 저단백 식이, 불안 완화
(3)간경변증
- 정의 : 넓게 퍼진 섬유종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 진행성인 간 구조 변화
- 병태생리 : 간세포의 광범위한 퇴행→새로운 결절 형성→간엽 양상 변화→혈관계, 림프계 담관 흐름 변화→섬우
성 조직 증식으로 압박→문맥성 고혈압
- 증상 및 징후 : 간세포의 부전증상, 문맥압 상승 증상, 비특이적 증상
- 합병증 : 문맥성 고혈압, 복수, 간성 뇌병변, 응고장애, 황달
- 간호 : 일반적 간호로는 적절한 영양유지 및 식이 조절, 고단백, 고탄수화물, 수분과 염분 제한, 단백질 제한 등
이 있고 적절한 활동으로는 간대사 감소를 위한 휴식, 섭취한 열량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신체적 손상
위험성을 예방한다
- 합병증 관리를 위한 간호 : 문맥성 고혈압의 경우 출혈징후 사정, 출혈 예방하며 식도정맥류의 경우는 출혈 예
방, 복수의 경우에는 침상안정과 적절한 체액유지, 간성 뇌병증에는 단백질 제한 식이와 출혈징후 관찰을 시행
한다
(4)지방간
- 정의 : 지방질이 운활히 대사되지 못해 간세포에 지방이 침윤된 것
- 원인 : 만성 알코올 중독, 단백질 영양 결핍, 당뇨, 비만
- 증상 : 간비대, 식욕부진, 복통, 황달, 지방색전증
- 간호 : 금주, 당뇨조절, 장의 흡수장애 교정, 정서적 지지, 식이 요법
(5)간 신생물
- 원인 : B형, C형 간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만성 간질환, 지방간
- 증상 및 징후 : 오심, 식욕부진, 발한, 열, 허약감, 복통, 복수, 간비대, 황달
- 진단 : 건강력과 가족력, 신체검진
- 치료 및 간호 : 수술로는 간절제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경피적 담관배액
(6)간 농양
- 정의 : 간 실질 조직에 농과 미생물이 고여 있는 것
- 증상 : 우측 복부, 우측 어깨 통증, 간비대, 압통, 오심, 구토
- 치료 및 간호 : 항균 요법, 경피배액법, 농양절제술
4. 담도계 문제를 가진 환자 간호
(1)담석증
- 원인 : 담즙 성분 변화, 담즙의 정체, 감염, 유전
- 병태생리 : 콜레스테롤 담석, 색소형 담석, 혼합형 담석
- 증상 및 징후 : 경미한 위장관 증상, 심와부 통증, 불편감, 복부팽만, 담석이 담낭관 폐쇄, Murphy\'s sign, 황달,
소양증, 회색 배변, 짙은 갈색 소변, 출혈 경향
- 내과적 치료 : 담즙성 산통 완화, 구토완화, 수분 전해질 균형, 합병증 예방위해 항생제 투여, 내시경으로 담석
제거, 콜레스테롤 담석 용해 위해 용해제 사용
- 외과적 치료 : 경피적 담낭결석절제술, 복강격 담낭절제술, 체외 충격파 쇄석술, 담낭절제술
(2)담낭염
- 원인 : 담석에 의한 담관 폐색
- 위험요인 : 좌식생활 습관, 비만
- 병태생리 : 담관 폐색으로 급성 결석성 담낭염으로 담낭 팽만→림프성 배액장애→세군 증식 유발→국소적 피부
자극, 침윤→허혈 부위 악화→괴사
- 내과적 치료 : 항생제 투여, 저지방식이, 체중 감량, 미주신경 차단제, 진정제, 제산제
- 외과적 치료 : 담낭절제술
(3)담낭암
- 호발 조건 : 50세 이상, 여성>남성, 담석증 경험자에게 흔함(70%), 선암이 82%
- 증상 : 지속적인 우상복부 통증과 덩어리 촉지, 체중 감소, 황달
- 치료 : 근체절제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 예후 : 5년 생존율 5% 미만
5. 췌장에 문제를 가진 환자 간호
(1)췌장염
- 정의 : 췌장 자체 효소에 의해 췌장 세포의 자가 소화가 일어나는 염증
- 원인 : 과도한 알코올 섭취, 담낭염, 담석증, 고지혈증, 고칼슘혈증, 췌장외사, 췌장폐색
- 증상 : 극심하고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 등과 허리로 퍼짐, 지속적인 구토, 복부팽만, 발열, 저칼슘혈증, 황달, 출
혈
- 진단 : 혈청 아밀라아제 상승, 혈철 리파아제 상승, 소변 아밀라아제 상승, 고혈당, 질소혈증, 저칼슘혈증, 고지
혈증
- 내과적 치료 : 통증완화, 체액 전해질 균형유지, 적절한 영양유지, 합병증 증상 관찰, 퇴원교육
- 증상 및 징후 : 질병 후기까지 두드러지지 않음,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체중 감소, 황달, 소양증,
홍차색 소변, 회색변, 당뇨
- 진단 : 초음파, CT, ERCP, CEA, 혈관조영술
- 외과적 치료 : 췌십이지장절제술, 항암요법, 방사설 요법
- 예후 : 5년 생존율 5% 미만
<Ⅶ 심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심혈관계의 구조와 기능
1. 심혈관계의 기능 : 심장, 동맥, 모세혈관, 정맥, 림프 등이 심혈관계에 포함
(1)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동맥으로 pumping하여 세포까지 도달
(2)정맥에서 대사 후 산소를 잃은 혈액을 수집하여 폐로 보내어 산소와 재결합
2. 심장의 구조 : 무게300g, 12cm(주먹크기)
(1)심장의 세가지 층
- 심내막 : 내층과 valve를 이룸
- 심근 : 횡문근, 자육신경 지배
- 심외막 : 심장의 가장 외측, 장측심낭
- 심낭 : 심장을 싸고 있는 주머니, 심장을 손상이나 감염으로부터 보호
- 심낭강에는 15~20ml의 심낭액이 있음
(2)심방과 심실
- 우심방 : 상대, 하대정맥의 혈액을 모아들인 후 우심실로 혈액을 보냄
- 우심실 : 편평한 근육펌프로 우심방에서 혈액을 받고 이것을 폐동맥을 통하여 폐로 보냄
- 좌심방 : 폐에서 오는 혈액을 좌우 4개의 폐정맥을 통해 받아들이고 좌심실로 보냄
- 좌심실 : 가장 큰 chamber이고 근육도 크며 대동맥을 통해 신체로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pumping해 보냄
(3)심장판막
- 방실판막 : 심실의 수축 시 닫혀서 피가 심방으로 역류하지 않게 함,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의 사이의 것이
고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것임
- 반월판막 : 심실 수축 시 열려서 피를 내보내고 이완 시 닫힘, 폐동맥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의 것이고 대동
맥판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것임
3. 심장 전도계 :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 발생→자극을 심장에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율동, 수축
(1)동방결절 : 상대정맥과 우심방이 만나는 장소에 위치, 심박동을 시작, 방실결절로 전기적 자극을 전달→좌·우심방
이 수
우 저단백 식이, 불안 완화
(3)간경변증
- 정의 : 넓게 퍼진 섬유종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 진행성인 간 구조 변화
- 병태생리 : 간세포의 광범위한 퇴행→새로운 결절 형성→간엽 양상 변화→혈관계, 림프계 담관 흐름 변화→섬우
성 조직 증식으로 압박→문맥성 고혈압
- 증상 및 징후 : 간세포의 부전증상, 문맥압 상승 증상, 비특이적 증상
- 합병증 : 문맥성 고혈압, 복수, 간성 뇌병변, 응고장애, 황달
- 간호 : 일반적 간호로는 적절한 영양유지 및 식이 조절, 고단백, 고탄수화물, 수분과 염분 제한, 단백질 제한 등
이 있고 적절한 활동으로는 간대사 감소를 위한 휴식, 섭취한 열량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신체적 손상
위험성을 예방한다
- 합병증 관리를 위한 간호 : 문맥성 고혈압의 경우 출혈징후 사정, 출혈 예방하며 식도정맥류의 경우는 출혈 예
방, 복수의 경우에는 침상안정과 적절한 체액유지, 간성 뇌병증에는 단백질 제한 식이와 출혈징후 관찰을 시행
한다
(4)지방간
- 정의 : 지방질이 운활히 대사되지 못해 간세포에 지방이 침윤된 것
- 원인 : 만성 알코올 중독, 단백질 영양 결핍, 당뇨, 비만
- 증상 : 간비대, 식욕부진, 복통, 황달, 지방색전증
- 간호 : 금주, 당뇨조절, 장의 흡수장애 교정, 정서적 지지, 식이 요법
(5)간 신생물
- 원인 : B형, C형 간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만성 간질환, 지방간
- 증상 및 징후 : 오심, 식욕부진, 발한, 열, 허약감, 복통, 복수, 간비대, 황달
- 진단 : 건강력과 가족력, 신체검진
- 치료 및 간호 : 수술로는 간절제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경피적 담관배액
(6)간 농양
- 정의 : 간 실질 조직에 농과 미생물이 고여 있는 것
- 증상 : 우측 복부, 우측 어깨 통증, 간비대, 압통, 오심, 구토
- 치료 및 간호 : 항균 요법, 경피배액법, 농양절제술
4. 담도계 문제를 가진 환자 간호
(1)담석증
- 원인 : 담즙 성분 변화, 담즙의 정체, 감염, 유전
- 병태생리 : 콜레스테롤 담석, 색소형 담석, 혼합형 담석
- 증상 및 징후 : 경미한 위장관 증상, 심와부 통증, 불편감, 복부팽만, 담석이 담낭관 폐쇄, Murphy\'s sign, 황달,
소양증, 회색 배변, 짙은 갈색 소변, 출혈 경향
- 내과적 치료 : 담즙성 산통 완화, 구토완화, 수분 전해질 균형, 합병증 예방위해 항생제 투여, 내시경으로 담석
제거, 콜레스테롤 담석 용해 위해 용해제 사용
- 외과적 치료 : 경피적 담낭결석절제술, 복강격 담낭절제술, 체외 충격파 쇄석술, 담낭절제술
(2)담낭염
- 원인 : 담석에 의한 담관 폐색
- 위험요인 : 좌식생활 습관, 비만
- 병태생리 : 담관 폐색으로 급성 결석성 담낭염으로 담낭 팽만→림프성 배액장애→세군 증식 유발→국소적 피부
자극, 침윤→허혈 부위 악화→괴사
- 내과적 치료 : 항생제 투여, 저지방식이, 체중 감량, 미주신경 차단제, 진정제, 제산제
- 외과적 치료 : 담낭절제술
(3)담낭암
- 호발 조건 : 50세 이상, 여성>남성, 담석증 경험자에게 흔함(70%), 선암이 82%
- 증상 : 지속적인 우상복부 통증과 덩어리 촉지, 체중 감소, 황달
- 치료 : 근체절제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 예후 : 5년 생존율 5% 미만
5. 췌장에 문제를 가진 환자 간호
(1)췌장염
- 정의 : 췌장 자체 효소에 의해 췌장 세포의 자가 소화가 일어나는 염증
- 원인 : 과도한 알코올 섭취, 담낭염, 담석증, 고지혈증, 고칼슘혈증, 췌장외사, 췌장폐색
- 증상 : 극심하고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 등과 허리로 퍼짐, 지속적인 구토, 복부팽만, 발열, 저칼슘혈증, 황달, 출
혈
- 진단 : 혈청 아밀라아제 상승, 혈철 리파아제 상승, 소변 아밀라아제 상승, 고혈당, 질소혈증, 저칼슘혈증, 고지
혈증
- 내과적 치료 : 통증완화, 체액 전해질 균형유지, 적절한 영양유지, 합병증 증상 관찰, 퇴원교육
- 증상 및 징후 : 질병 후기까지 두드러지지 않음,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체중 감소, 황달, 소양증,
홍차색 소변, 회색변, 당뇨
- 진단 : 초음파, CT, ERCP, CEA, 혈관조영술
- 외과적 치료 : 췌십이지장절제술, 항암요법, 방사설 요법
- 예후 : 5년 생존율 5% 미만
<Ⅶ 심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Ⅰ 심혈관계의 구조와 기능
1. 심혈관계의 기능 : 심장, 동맥, 모세혈관, 정맥, 림프 등이 심혈관계에 포함
(1)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동맥으로 pumping하여 세포까지 도달
(2)정맥에서 대사 후 산소를 잃은 혈액을 수집하여 폐로 보내어 산소와 재결합
2. 심장의 구조 : 무게300g, 12cm(주먹크기)
(1)심장의 세가지 층
- 심내막 : 내층과 valve를 이룸
- 심근 : 횡문근, 자육신경 지배
- 심외막 : 심장의 가장 외측, 장측심낭
- 심낭 : 심장을 싸고 있는 주머니, 심장을 손상이나 감염으로부터 보호
- 심낭강에는 15~20ml의 심낭액이 있음
(2)심방과 심실
- 우심방 : 상대, 하대정맥의 혈액을 모아들인 후 우심실로 혈액을 보냄
- 우심실 : 편평한 근육펌프로 우심방에서 혈액을 받고 이것을 폐동맥을 통하여 폐로 보냄
- 좌심방 : 폐에서 오는 혈액을 좌우 4개의 폐정맥을 통해 받아들이고 좌심실로 보냄
- 좌심실 : 가장 큰 chamber이고 근육도 크며 대동맥을 통해 신체로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pumping해 보냄
(3)심장판막
- 방실판막 : 심실의 수축 시 닫혀서 피가 심방으로 역류하지 않게 함,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의 사이의 것이
고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것임
- 반월판막 : 심실 수축 시 열려서 피를 내보내고 이완 시 닫힘, 폐동맥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의 것이고 대동
맥판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것임
3. 심장 전도계 :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 발생→자극을 심장에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율동, 수축
(1)동방결절 : 상대정맥과 우심방이 만나는 장소에 위치, 심박동을 시작, 방실결절로 전기적 자극을 전달→좌·우심방
이 수
추천자료
컴퓨터를 이용한 간호실무에서의 인지정보처리
[내부장애][신장장애][심장장애][내부장애인][신장장애인][심장장애인]내부장애(신장장애, 심...
근골격계정리하기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지주막하출혈 (SAH)
천식 케이스 (asthma)
여성간호학실습 자연분만 질분만 NSVD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골반염 PID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조기양막파수(조기파막) PROM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조기양막파수 케이스 스터디(CaseS...
여성간호학실습 자궁탈수 Uterine Prolapse 케이스
여성간호학실습 Endometriosis 자궁 내막증식증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NSVD 질분만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 자궁절제술(hysterectomy)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