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雜歌)의 분류와 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잡가(雜歌)의 분류와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문

■ 개념

■ 잡가의 갈래적 성격

■ 잡가의 분류

1. 12잡가

2. 휘몰이잡가

3. 선소리

4. 경ㆍ서도 잡가

■ 잡가의 내용

1. 세속적 욕망과 현세적 향락

2. 세태 묘사

■ 잡가와 대중가요의 상관성

■ 잡가의 문학사적 의의

■ 대표 작품

본문내용

가 생겼다는 점을 이유로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잡가는 기존 갈래의 성과를 흡수하는 개방성과 다양성, 유흥공간에 걸맞은 통속성, 서민문화 특유의 역동성과 발랄함을 두루 갖추고 있어 시조, 가사와는 구분되는 갈래적 특성과 관습을 분명히 지니고 있다. 이는 근대 이후 출판가집, 유성기 음반, 극장 공연물로 대량 보급되면서 근대적 대중문화로 전환된 성질을 드러낸다.
-잡가와 민요의 차이
잡가
민요
1. 비대중적
2. 주로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려짐
3. 무대 공연 예술에 가까운 노래
4. 노랫말에 일관성이 있음
5. 주로 통절 형식
6. 노랫말이 바뀌면 가락도 바뀌는 형태
1. 대중적
2. 누구나, 아무나 부름
3. 무대가 따로 없는 생활공간의 노래
4. 노랫말에 일관성이 없음
5. 주로 유절 형식
6. 일정한 가락에 노랫말만 바꾸는 형태
■ 잡가의 분류
잡가는 사설과 노래가 합쳐진 도시의 공연물로 존재했던 만큼 국문학적 연구대상인 동시에 음악계의 연구대상이기도 하다. 국문학계에서 잡가의 범주로 거론할 때에는 비교적 정제된 12잡가를 중심에 놓고, 휘몰이 잡가, 지역민요권을 기반으로 한 경ㆍ서도 잡가 일부, 선소리를 포괄하여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잡가의 범주를 논하기에 앞서 이것이 상업적 가창공간을 통해 성장했기에, 창작자의 의지와 태도가 강조되는 시로서 존재했다기보다는 수용자의 욕구가 강하게 드러나는 상업적 가창물로 존재했다. 또한 기원을 달리하는 다양한 사설과 음악이 모여 이루어졌고, 처음부터 확정된 정체성을 지닌 갈래가 아니었으므로 잡가 내부에서도 담당층이 조금씩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컨대 12잡가는 사계축의 소리꾼과 삼패기생이 주로 부르지만, 선소리는 사당패 중에서도 남성이 주로 부른다. 따라서 잡가를 분류할 때에는 사설구성, 전승과정, 수용층의 특색과 수용의 관습, 음악적 특성 등을 두루 고려하여야 한다.
1. 12잡가
12잡가는 서울을 중심으로 전승된 긴 노래 12편을 말한다. 19세기 중엽 잡가의 삼명창으로 불리던 추교신, 조기준, 박춘경이 서울의 유흥공간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12잡가에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방물가>, <출인가>가 포함된다. 이 중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등의 8편은 잡가로 불리나 <달거리>, <십장가>, <방물가>, <출인가> 4편은 잡가보다도 격이 떨어진다 하여 잡잡가로 분류된다. 이로 보아 시조나 가사에 비해 격이 낮은 노래로 치부되었던 잡가 내부에도 격조의 편차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2잡가의 사설은 주로 판소리와 가사에서 영향을 받았고 부분적으로 민요의 사설구성 원리도 차용하고 있다. 12잡가 중 으뜸으로 치는 <유산가>는 가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춘흥이라는 소재 역시 기존 가사와의 관계 속에서 살필 수 있다.
화란츈셩하고 만화방창이라 때죠타 벗님네야 산쳔경개를 구경을 가세

키워드

잡가,   분류,   내용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