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패스트패션 개념 및 등장배경
3. SPA브랜드의 한국진출현황
4. 자라(ZARA)
4-1. 기업소개
4-2. 핵심역량
4-3. 비즈니스모델 및 생산전략
(1) 자라의 비즈니스 모델
(2) 자라의 생산전략 - 인하우스(In-House)방식
(3) 자라의 생산 공정 방식 - 다품종 소량생산
4-4. 마케팅전략
(1) 매장의 활용
(2) 차별화된 패션으로 고객 가치 창조
(3)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
(4) 짧은 컬렉션 준비기간
(5) STP분석
(6) SWOT분석
4-5. 국내진출
(1) 진입방법(entry mode)
(2) 사업현황 및 성과
5. 유니클로(UNIQLO)
5-1. 기업소개
5-2. 핵심역량
(1) 강한 제조기술과 파워 아이템 전략
(2) SS(Super Star) 점장 제도
5-3. 비즈니스모델 및 생산전략
(1) UNIQLO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2) UNIQLO의 생산전략 - 아웃소싱(Outsorcing)방식
(3) 유니클로(UNIQLO)의 생산 공정 방식-소품종 대량생산
5-4. 마케팅전략
(1) 소재개발
(2) 저가격, 고품질 정책
(3) 생산, 품질 및 재고관리
(4) STP분석
5-5. 국내진출전략
6. 자라와 유니클로 비교분석
6-1. 국내사업 전반적 현황
6-2. 조달 및 생산 공정방식
6-3. 마케팅전략
7. 결론 및 나의의견
7-1. 자라와 유니클로의 발전방향
(1) 유니클로의 개선방향
(2) 자라의 개선방향
7-2. 이상적 브랜드전략 및 발전방안
(1) 유통시스템 구축
(2) 생산, 물류 관리 시스템 구축
(3) 아웃소싱(Outsourcing)
(4) 브랜드 이미지 고급화 및 매장 VMD강화
+) 롯데백화점 유니클로/자라 매장매니저 인터뷰 전문
+
2. 패스트패션 개념 및 등장배경
3. SPA브랜드의 한국진출현황
4. 자라(ZARA)
4-1. 기업소개
4-2. 핵심역량
4-3. 비즈니스모델 및 생산전략
(1) 자라의 비즈니스 모델
(2) 자라의 생산전략 - 인하우스(In-House)방식
(3) 자라의 생산 공정 방식 - 다품종 소량생산
4-4. 마케팅전략
(1) 매장의 활용
(2) 차별화된 패션으로 고객 가치 창조
(3)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
(4) 짧은 컬렉션 준비기간
(5) STP분석
(6) SWOT분석
4-5. 국내진출
(1) 진입방법(entry mode)
(2) 사업현황 및 성과
5. 유니클로(UNIQLO)
5-1. 기업소개
5-2. 핵심역량
(1) 강한 제조기술과 파워 아이템 전략
(2) SS(Super Star) 점장 제도
5-3. 비즈니스모델 및 생산전략
(1) UNIQLO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2) UNIQLO의 생산전략 - 아웃소싱(Outsorcing)방식
(3) 유니클로(UNIQLO)의 생산 공정 방식-소품종 대량생산
5-4. 마케팅전략
(1) 소재개발
(2) 저가격, 고품질 정책
(3) 생산, 품질 및 재고관리
(4) STP분석
5-5. 국내진출전략
6. 자라와 유니클로 비교분석
6-1. 국내사업 전반적 현황
6-2. 조달 및 생산 공정방식
6-3. 마케팅전략
7. 결론 및 나의의견
7-1. 자라와 유니클로의 발전방향
(1) 유니클로의 개선방향
(2) 자라의 개선방향
7-2. 이상적 브랜드전략 및 발전방안
(1) 유통시스템 구축
(2) 생산, 물류 관리 시스템 구축
(3) 아웃소싱(Outsourcing)
(4) 브랜드 이미지 고급화 및 매장 VMD강화
+) 롯데백화점 유니클로/자라 매장매니저 인터뷰 전문
+
본문내용
에 약점
-브랜드 인지도가 아닌 저가격에 의한 소구는 국내 소비자를 잘 알고 있는 Local 브랜드의 인지도에 의해 무너질 우려가 있음
(5)SWOT분석
5-5. 국내진출전략
유니클로의 진입방법은 직접수출의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생산 활동을 하지 않으며 유니클로의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한국에 마케팅 법인을 세웠으며 2005년 9월에는 롯데쇼핑과의 합작사인 FRL코리아라는 한국법인을 통해 국내에 진출 하게 되었다. 롯데쇼핑과 합작법인을 설립한 것은 백화점, 할인점 등 막강한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롯데의 배경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며, 한국, 특히 도심상원의 높은 임대료나 보증금을 감안할 때 단독 투자 시 부담해야 할 대형매장 투자비를 절감하면서 롯데가 가진 유통파워와 자금력을 활용한다면 비교적 쉽게 시장 침투가 가능하리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초기 3년은 한국 파트너인 롯데백화점 이외의 백화점 입점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백화점에도 입점해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로드숍과 롯데백화점뿐 아니라 현대백화점 GS백화점, 이마트등으로 출점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플래그십 스트러와 TV광고를 마케팅 활동을 더욱 활발히 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공하는것을 강화하고 있다
6. ZARA와 UNIQLO 비교분석
6-1. 국내 사업 전반적인 현황
인디텍스사는 2008년 4월에 롯데쇼핑과의 합작형태로 국내에서 (주)자라리테일코리아를 설립하여 자라를 런칭하였고 유니클로는 자라보다 앞선 2005년 9월에 국내에 진출하였다. 패스트 리테일링사와 롯데쇼핑이 공동출자해 설립한 (주)FRL KOREA가 유니클로의 국내 판매권을 가지고 있다.
자라는 국내 주요상권에 대형가두점을 중심으로 직영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유니클로는 대형매장과 로드 사이드형 매장의 점포형태를 취하며 매장이 직영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자라와 유니클로 두 회사는 한국 시장 진출 시 롯데쇼핑과의 합작이라는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구체적인 내용이나 파트너 관계에서는 차이를 나타낸다. 한국시장, 특히 핵심 상권인 명동, 강남, 종로, 압구정 등의 지역은 높은 임대료 때문에 패스트 패션 브랜드가 요구하는 대형 매장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전국적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는 롯데쇼핑과의 제휴는 이들 두 브랜드의 한국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자라와 유니클로 모두 한국시장 진출 초기 일정기간 동안 롯데 이외의 다른 주요 백화점에 입점하지 않는다는 점을 계약에 포함시키기도 했는데, 이는 롯데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다는 기회의 측면과 함께 매장 확대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제약이 되기도 한다.
기회와 제약 중 어느 것이 더 부각되는지는 유니클로와 자라에게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자라는 2013년까지 이른바 \'BIG 3(롯데, 신세계, 현대)’ 백화점 중 롯데만 입점할 수 있다는 조건이 합작계약서에 담겨있다. 유니클로의 경우 초기 3년은 롯데백화점 이외의 다른 백화점에 입점이 불가능 했으나 이제 이러한 제약이 해소되었다.
기회로 활용한 측면도 있고 자라의 경우 갈등요인으로 작용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자라의 제품은 women, men kids, basic, TRF 등 광범위한 상품구성으로 20~30대 고객들이 자라의 주요고객층이 되고 있다. 자라의 국내 가격은 운송비를 감안하더라도 유럽시장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다.
유니클로는 폴로 셔츠와 면바지 등을 기본으로 한 베이직한 스타일에, 생상, 패턴 등에서 시즌별 유행 트렌드를 약간 가미하는 전략이 유니클로의 제품 구성을 이루고 있다. women, men, kidsㄹ 나뉘어 있으며 주요제품이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베이직한 스타일이라 10~50대까지 폭넓은 고객층을 이루고 있다.
6-2. 조달 및 생산 공정방식
자라는 모든 제품의 약 60% 정도를 인하우스(In-House)방식으로 조달함으로써 최신의 트렌드를 15일 이내에 상품화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주일에 두 번씩 신상품을 전세계 매장으로 투입할 수 있는 초고속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인 본사에는 완전 자동화 물류 시스템을 갖춘 물류 센터가 운영되고 있어 전 세계로 다시 분배된다. (유럽 지역은 24시간 안에, 아시아 지역은 48시간 안에) 유니클로는 아웃소싱(Outsoursing)방식으로 제품을 생산 및 조달하며 대부분의 생산기지가 중국에 위치한다. 상품 90%는 중국에 위치한 약 60여개의 공장에서 일괄 생산되며, 70여개의 생산 위탁 공장을 비즈니스 파트너로 삼고 있다.
두 브랜드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취급하는 품목수와 품목당 생산량이다. 자라는 최근 기본형 스타일의 의류를 도입하기도 했지만 원칙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지향한다. 최신의 스타일과 트렌드를 수시로 반영한 한정된 수량의 옷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반응이 좋다고 해서 물량을 엄청나게 늘리지 않으며 일 년에 두 번 있는 시즌 오프 세일 때 대부분의 옷을 소진해 재고량을 줄인다. 그래서 패션성과 희소성, 그리고 빈번한 신제품 출시 등이 강점으로 작용하는 반면, 유니클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고 원가 구조이다.
이에 비해 유니클로는 패션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한정된 기본형 스타일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소품종 대량생산’방식을 지향한다. 폭넓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자체 생산시설이 아닌 파트너 공장을 통해 제품을 조달한다는 점이 유니클로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즉, 유니클로는 상대적으로 저가격과 매장확대 전략을 주요 성장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6-3. 마케팅전략
자라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층인 20~30대 고객들을 타켓으로 트렌디한 디자인 위주의 신상품을 신속히 선보인다. 매장을 방문하면 새로운 스타일과 최신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접할 수 있는 즐거움을 소비자들을 만끽할 수 있다.
유니클로는 니트, 청바지 등의 기본적인 베이직한 디자인 제품 위주이다.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기본스타일이라서 10대~50대 까지 고객층이 두터운 장점을 가진다.
유니클로는 자라나 탑샵, 미국의 포에버 21처럼 유행을
-브랜드 인지도가 아닌 저가격에 의한 소구는 국내 소비자를 잘 알고 있는 Local 브랜드의 인지도에 의해 무너질 우려가 있음
(5)SWOT분석
5-5. 국내진출전략
유니클로의 진입방법은 직접수출의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생산 활동을 하지 않으며 유니클로의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한국에 마케팅 법인을 세웠으며 2005년 9월에는 롯데쇼핑과의 합작사인 FRL코리아라는 한국법인을 통해 국내에 진출 하게 되었다. 롯데쇼핑과 합작법인을 설립한 것은 백화점, 할인점 등 막강한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롯데의 배경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며, 한국, 특히 도심상원의 높은 임대료나 보증금을 감안할 때 단독 투자 시 부담해야 할 대형매장 투자비를 절감하면서 롯데가 가진 유통파워와 자금력을 활용한다면 비교적 쉽게 시장 침투가 가능하리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초기 3년은 한국 파트너인 롯데백화점 이외의 백화점 입점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백화점에도 입점해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로드숍과 롯데백화점뿐 아니라 현대백화점 GS백화점, 이마트등으로 출점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플래그십 스트러와 TV광고를 마케팅 활동을 더욱 활발히 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공하는것을 강화하고 있다
6. ZARA와 UNIQLO 비교분석
6-1. 국내 사업 전반적인 현황
인디텍스사는 2008년 4월에 롯데쇼핑과의 합작형태로 국내에서 (주)자라리테일코리아를 설립하여 자라를 런칭하였고 유니클로는 자라보다 앞선 2005년 9월에 국내에 진출하였다. 패스트 리테일링사와 롯데쇼핑이 공동출자해 설립한 (주)FRL KOREA가 유니클로의 국내 판매권을 가지고 있다.
자라는 국내 주요상권에 대형가두점을 중심으로 직영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유니클로는 대형매장과 로드 사이드형 매장의 점포형태를 취하며 매장이 직영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자라와 유니클로 두 회사는 한국 시장 진출 시 롯데쇼핑과의 합작이라는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구체적인 내용이나 파트너 관계에서는 차이를 나타낸다. 한국시장, 특히 핵심 상권인 명동, 강남, 종로, 압구정 등의 지역은 높은 임대료 때문에 패스트 패션 브랜드가 요구하는 대형 매장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전국적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는 롯데쇼핑과의 제휴는 이들 두 브랜드의 한국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자라와 유니클로 모두 한국시장 진출 초기 일정기간 동안 롯데 이외의 다른 주요 백화점에 입점하지 않는다는 점을 계약에 포함시키기도 했는데, 이는 롯데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다는 기회의 측면과 함께 매장 확대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제약이 되기도 한다.
기회와 제약 중 어느 것이 더 부각되는지는 유니클로와 자라에게 다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자라는 2013년까지 이른바 \'BIG 3(롯데, 신세계, 현대)’ 백화점 중 롯데만 입점할 수 있다는 조건이 합작계약서에 담겨있다. 유니클로의 경우 초기 3년은 롯데백화점 이외의 다른 백화점에 입점이 불가능 했으나 이제 이러한 제약이 해소되었다.
기회로 활용한 측면도 있고 자라의 경우 갈등요인으로 작용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자라의 제품은 women, men kids, basic, TRF 등 광범위한 상품구성으로 20~30대 고객들이 자라의 주요고객층이 되고 있다. 자라의 국내 가격은 운송비를 감안하더라도 유럽시장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다.
유니클로는 폴로 셔츠와 면바지 등을 기본으로 한 베이직한 스타일에, 생상, 패턴 등에서 시즌별 유행 트렌드를 약간 가미하는 전략이 유니클로의 제품 구성을 이루고 있다. women, men, kidsㄹ 나뉘어 있으며 주요제품이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베이직한 스타일이라 10~50대까지 폭넓은 고객층을 이루고 있다.
6-2. 조달 및 생산 공정방식
자라는 모든 제품의 약 60% 정도를 인하우스(In-House)방식으로 조달함으로써 최신의 트렌드를 15일 이내에 상품화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주일에 두 번씩 신상품을 전세계 매장으로 투입할 수 있는 초고속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인 본사에는 완전 자동화 물류 시스템을 갖춘 물류 센터가 운영되고 있어 전 세계로 다시 분배된다. (유럽 지역은 24시간 안에, 아시아 지역은 48시간 안에) 유니클로는 아웃소싱(Outsoursing)방식으로 제품을 생산 및 조달하며 대부분의 생산기지가 중국에 위치한다. 상품 90%는 중국에 위치한 약 60여개의 공장에서 일괄 생산되며, 70여개의 생산 위탁 공장을 비즈니스 파트너로 삼고 있다.
두 브랜드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취급하는 품목수와 품목당 생산량이다. 자라는 최근 기본형 스타일의 의류를 도입하기도 했지만 원칙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지향한다. 최신의 스타일과 트렌드를 수시로 반영한 한정된 수량의 옷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반응이 좋다고 해서 물량을 엄청나게 늘리지 않으며 일 년에 두 번 있는 시즌 오프 세일 때 대부분의 옷을 소진해 재고량을 줄인다. 그래서 패션성과 희소성, 그리고 빈번한 신제품 출시 등이 강점으로 작용하는 반면, 유니클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고 원가 구조이다.
이에 비해 유니클로는 패션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한정된 기본형 스타일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소품종 대량생산’방식을 지향한다. 폭넓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자체 생산시설이 아닌 파트너 공장을 통해 제품을 조달한다는 점이 유니클로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즉, 유니클로는 상대적으로 저가격과 매장확대 전략을 주요 성장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6-3. 마케팅전략
자라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층인 20~30대 고객들을 타켓으로 트렌디한 디자인 위주의 신상품을 신속히 선보인다. 매장을 방문하면 새로운 스타일과 최신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접할 수 있는 즐거움을 소비자들을 만끽할 수 있다.
유니클로는 니트, 청바지 등의 기본적인 베이직한 디자인 제품 위주이다.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기본스타일이라서 10대~50대 까지 고객층이 두터운 장점을 가진다.
유니클로는 자라나 탑샵, 미국의 포에버 21처럼 유행을
추천자료
한국 패스트푸드점현황및 발전방향
유니클로 기업분석
유니클로 SWOT 분석, 유니클로 STP 분석, 유니클로 4P 분석, 유니클로 기업분석, 경쟁사 분석
슬로시티에관한연구ppt
에잇 세컨즈(8 seconds) 전략 비교 분석 및 보완책
SPA브랜드 마케팅 비교분석(유니클로 H&M)
유니클로 (UNIQLO) 한국시장 진출과 마케팅전략 사례.ppt
유니클로
콜라보레이션의 개념과 형태및 기업들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사례분석(유니클로,질샌더 사례)
SPA브랜드 ZARA, 유니클로,H&M 글로벌 마케팅전략 분석
빅 데이터의 정의,빅 데이터란, 빅 데이터의 특성,ZARA실시간 데이터 분석,SK텔레콤 스마트 ...
이랜드(E-Land) SPA브랜드 SPAO의 성공전략 [이랜드 SPA브랜드].pptx
유니클로 성공,유니클로 마케팅사례,유니클로 spa,유니클로 브랜드,패션마케팅,브랜드마케팅,...
SPA브랜드 글로벌 진출을 위한 성공전략 [SPA유니클로에잇세컨즈스파스파브랜드SPA 진출].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