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일자리 사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007년(72.7%)에 비해 2.6%p 증가
- 노후 준비방법으로 남자, 여자 모두 국민연금, 예금적금 저축성보험, 사적연금 순으로 나 타남.
- 노후 준비율은 30대가 87.5%로 가장 높고 40대(85.6%), 50대(81.5%) 순이며,
- 노후준비 방법으로 18세 이상 전연령층에서 「국민연금」을 택하고 있음.
○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사람(24.7%) 중에 「준비능력부족」이 49.5%로 가장 많고,
「앞으로 준비할 계획」(25.7%), 「자녀에게 의탁」 (16.3%),「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 음」(8.6.%)」순임
-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은 60세 이상의 경우 「준비할 능력 부족」59.7%, 「자녀에게 의탁」이 31.6%
○ 60세 이상 노인의 생활비 마련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60.0%로 가장 많고,
「자녀 또는 친척지원」 31.4%, 「정부 및 사회단체」 8.6% 순으로 나타남
- 남녀 모두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높으며, 70세 이상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 또는 친척」에게 의지하는 비율이 본인 및 배우자 부담보다 높음
○ 60세 이상 노인이 본인이나 배우자의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56.2%)」, 「연금, 퇴직금(24.5%)」, 「재산소득(13.3%) 」순임
-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에 의한 생활비 마련방법은 줄어든 반면, 「연금, 퇴직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게 나타남.
○ 2009년 7월 현재 60세 이상 노인 중 31.7%가 현재 자녀와 같이 살고 있었으며 2007년(39.9%)과 비교하여 8.2%p 감소하였음.
- 현재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노인은 도시지역이 36.7%로 농어촌지역(20.2%)보다 많게 나타남
- 현재 자녀와 같이 살고 있는 이유는 「본인의 독립생활 불가능」 35.4%, 「자녀의 독립생활 불가능」 24.8%,
「함께 살고 싶어서」 19.0% 순임
○ "2010년 사회조사", 통계청, 에 따르면 부모와 자녀가 동거하는 비율는 2010년 35.3%로 2002년(42.7%)에 비해 7.4P 감소한 반면, 부모맘 따로 살고 있는 비중은 '10년 62.8%로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부모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가구주가 부모님과 교류하는 빈도를 보면
- 전화통화는 "일주일에 한두 번(44.8%)", 만남은 "한 달에 한두 번(39.2%)"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음
○ 부모의 생활비는 "보모가 스스로 해결(48.0%)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다음은 "아들, 딸 등 모든 자녀(26.1%)나 "장남 (맏며느리)(12.4%) 순으로 제공함
○ 가구주 부모의 생활비는 아들, 딸 등의 "자녀"가 제공하는 비중이 51.6%이고 "부모 스스로 해결"하는 비중은 48.0%임
- 자녀 중에서는 아들, 딸 구별 없이 "모든 자녀"가 함께 생활비를 드린 경우(26.1%)가 가장 많았으며, 이 비중은 점점 늘어나는 경향을 보임
-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장남(맏며느리) 등 아들"의 부모 생활비 제공비율이 커짐
(첨부파일 "2010년 사회조사 결과 "참조)
○ 부모의 노후설계에 대하여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비중은 점점 감소하는 반면, "부모 스스로 해결"과 "가족과 정부. 사회공동"의 비중은 증가함
○ 부모의 노후생계는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47.4%로 가장 많고, 다음은 "가족(36.0%)임
-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생각은 2002년 70.7%에서 2010년 36.0%로 감소하여 부모 부양에 대한 의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음을 보여줌
- 한편, "가족과 정부.사회"가 돌보아야 한다는 비중은 계속 상승하고 있음
- 부모 부양 책임자로 '가족' 중에서는 2002년 "자식 중 능력이 있는 자"에서 2010년 "모든 자녀"로 순위가 바뀌었음
(첨부파일 "2010년 사회조사 결과 "참조)
■ 향후 전망 또는 계획
○ 출산율의 급속한 하락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세계최고속도의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적응하는 사회경제시스템 구축이 시급
○ 노후생활을 위한 믿을 수 있는 보장체계의 구축과 아울러 노인 일자리의 창출, 직업능력의 개발, 고용지원의 확대 필요
○ 점차 가족이나 자녀들에 의한 부양의무가 약화됨에 따라 노후 준비가 덜 되어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국가의 공적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도입이 필요함
- ‘08년부터 노후소득보장의 사각지대 해소 및 생활안정 도모를 위해 기초노령연금제도 시행중

키워드

노인,   일자리,   통계,   사업,   공공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4.23
  • 저작시기201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2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