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목차
Ⅰ. 서론
1. 기업소개
(1) Vision
(2) 기업연혁
(3) 경영방침
(4) 중장기 전략
2. 해외진출 현황
(1) 해외진출 과정
(2) 해외진출 현황
(3) 지역별 전략
3. 전략적제휴
(1) 미쓰비시와의 전략적 제휴
(2) 크라이슬러와의 전략적 제휴
(3) 프리드리히스하벤과의 전략적 제휴
(4) GE캐피탈과의 전략적 제휴
Ⅱ. 본론
- 자동차산업 분석(5-force)
1. 자동차 산업의 특성
2. 산업 내 경쟁
3. 신규 진입
4. 대체재와 보완재
5. 공급자의 교섭력
(1) 현대자동차의 내부생산
(2) 현대자동차의 외부구매
6. 구매자의 교섭력
7. 산업구조 분석 요약
- 해외마케팅 사례
1. 미국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2. 중국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3. 인도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4. 성과분석
(1) 글로벌생산 & 판매
(2) 국가별 경영실적
5. 환경적 책임
Ⅲ. 결론
1. 현대자동차의 문제점
2. 앞으로의 전망
* 참고문헌
1. 기업소개
(1) Vision
(2) 기업연혁
(3) 경영방침
(4) 중장기 전략
2. 해외진출 현황
(1) 해외진출 과정
(2) 해외진출 현황
(3) 지역별 전략
3. 전략적제휴
(1) 미쓰비시와의 전략적 제휴
(2) 크라이슬러와의 전략적 제휴
(3) 프리드리히스하벤과의 전략적 제휴
(4) GE캐피탈과의 전략적 제휴
Ⅱ. 본론
- 자동차산업 분석(5-force)
1. 자동차 산업의 특성
2. 산업 내 경쟁
3. 신규 진입
4. 대체재와 보완재
5. 공급자의 교섭력
(1) 현대자동차의 내부생산
(2) 현대자동차의 외부구매
6. 구매자의 교섭력
7. 산업구조 분석 요약
- 해외마케팅 사례
1. 미국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2. 중국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3. 인도
(1) 환경 분석
(2) SWOT
(3) STP
(4) 4P
4. 성과분석
(1) 글로벌생산 & 판매
(2) 국가별 경영실적
5. 환경적 책임
Ⅲ. 결론
1. 현대자동차의 문제점
2. 앞으로의 전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7%
품질및성능만족률
80.7%
83.4%
79.0%
76.1%
81.8%
93.1%
자동차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차의 문제점 발생 유형과 성능 및 품질에 대한 만족률을 조사한 결과, 문제점 발생 유형은 엔진 이상, 차체 도장불량, 브레이크 문제, 온도조절장치 고장, 주행시 바람소리 발생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고, 자동차 소유자들의 성능 및 품질에 대한 만족률은 외제가 국산보다 높아 외제, 현대, 쌍용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자동차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 회사인 J.D.Power and Associates와 한국의 코리아리서치센터의 합작회사인 J.D.파워 코리아가 전국 24개 도시에서 자동차 등록 비율에 따라 할당 추출된 자동차 소유자 4,0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차 사용 실태 및 이미지 조사 에 따르면,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12가지로 유형화하여 현재 사용 중인 자동차에서 발생한 적이 있는 문제점들을 집계한 결과 엔진 이상(22.2%), 차체 도장불량(20.3%), 브레이크 문제(19.1%), 온도조절장치(18.3%), 주행시 바람소리 발생(17.2%), 변속장치(16.4%), 잡음(16.2%), 조향장치(15.6%), 누수(12.5%), 전기장치 및 악세사리(12.0%), 내장 및 인테리어(11.9%), 차체(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사별로 보면, 현대는 엔진 이상(22.7%)과 차체 도장불량(21.3%)에서, 기아는 엔진 이상(23.8%), 브레이크 문제(21.6%), 차체 도장불량(20.8%)에서, 대우는 엔진 이상(21.0%)과 브레이크 문제(20.4%), 그리고 쌍용은 엔진 이상(23.5%)에서 20%를 넘는 지적률을 보였다.
한편, 외제차는 문제점 발생 지적률이 매우 낮아 12가지 유형 모두에서 10%를 넘지 않았다. 한편, 이번에 조사된 자동차 소유자들의 80.7%는 자신이 사용 중인 차의 품질 및 성능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응답자들의 소유 자동차 품질 및 성능 만족률을 제조사별로 나눠보면 외제(93.1%), 현대(83.4%), 쌍용(81.8%), 기아(79.0%), 대우(76.1%)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고, 차급별로 나눠보면 경형(69.6%), 소형(75.7%), 준중형(82.9%), 중형(84.1%), 중대형 이상(89.8%)의 순으로 차급이 높을수록 성능 및 품질에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경우의 성능/품질 만족률(84.4%)이 수동변속기 장착 운전자의 만족률(77.8%)보다 높았다.
# 종 합
구매자의 교섭력 정도는 현재 중간수준이나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근거는 먼저 소비자의 주체의식 및 발언권이 강화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클레임 및 불만사항 제기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경우 분쟁 조정시 고객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A/S기대수준도 높아지고 있으며, 재구매 요인으로 A/S의 철저함을 최우선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어 사후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7. 산업구조 분석 요약
Five forces analysis
산업내 경쟁
- 현대를 주축으로 한 독과점 시장 형성
- Heterogeneous product
- Brand royalty의 영향을 많이 받음
- 구매자의 전환비용이 높음
⇒ 결론 : 산업 내의 경쟁 격화 가능성 높음
신규진입
진입장벽
퇴거장벽
규모의 경제
높음
특수자산
많음
제품차별화
보통
고정비
많음
교체비용
높음
전략적 관련성
높음
소요자본
높음
심리적 비용
많음
유통경로 접근
높음
⇒ 결론 : 새로운 기업의 진입은 거의 불가능. 기존기업의 인수나 합병으로 진입하는 방법.
정부정책
많음
기존 참여자의 태도
높음
정보/네트워크 관리
높음
대체제와 보완재
- 지하철 - 노선의 증가
- 택시 - 서비스 증대
- 버스 - 버스전용차선 도입으로 빠른 이동 가능
- 항공, 철도
⇒ 결론 : 유가상승, 세금 등의 이유와 함께 대체재의 위협 정도는 강한 수준
공급자 / 구매자의 교섭력
- supplier : 상방의 자동차부품시장 경쟁 치열
→ supplier power ↓
관계특화자산에 따른 Hold-up problem
→ supplier power ↓
- buyer : 철저한 A/S관리가 재구매 요인
→ buyer power ↑
첨단기술이 응용된 자동차를 선호
→ buyer power ↑
⇒ 결론 : 공급자의 힘은 약했으나 대형화를 통해서 점차 그 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구매자의 힘도 점차 강해지고 있다.
* 수익성은 진입해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보장 가능
해외마케팅 사례
1. 중국시장
(1) 환경분석
1) 거시환경
- 시장의 급성장 및 소비주도층의 빠른 변화
중국 자동차산업은 2002년 WTO가입으로 자동차 관련 규제가 완하된 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23.9% 성장해 2009년에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 및 판매국이 되었다.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음에도 중국시장은 2009년에는 전년비 46.1%, 2010년에는 32.4%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모터리제이션이 본격화된 이후 1천만 대 돌파까지 미국의 1/6수준인 7년 밖에 걸리지 않은 것은 중국 자동차시장의 빠른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도의 경제 성장에 따른 개인 소득의 급증과 중산충의 빠른 성장이 자동차 구매로 연계되었기 때문이다. 도시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998년 5.425위안에서 2008년에 약 4배인 13.579위안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신차구입이 가능한 4만 위안 이상의 상위 중산층 비중은 2005년 9.4%, 2010년 12.5%에 이어, 2015년에는 21.2%에 이를 전망이다. 상위 중산층으로의 진입이 가능한 하위 증산층도 2005년 12.6%에서 2010년 42.2%로 확대되고 있어 신차 수유저변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 다양한 지역 시장의 공존
중국 정부는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경제 발전과 도시 정비를 진행해 광저우, 션
품질및성능만족률
80.7%
83.4%
79.0%
76.1%
81.8%
93.1%
자동차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자동차의 문제점 발생 유형과 성능 및 품질에 대한 만족률을 조사한 결과, 문제점 발생 유형은 엔진 이상, 차체 도장불량, 브레이크 문제, 온도조절장치 고장, 주행시 바람소리 발생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고, 자동차 소유자들의 성능 및 품질에 대한 만족률은 외제가 국산보다 높아 외제, 현대, 쌍용 등의 순으로 조사 되었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자동차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 회사인 J.D.Power and Associates와 한국의 코리아리서치센터의 합작회사인 J.D.파워 코리아가 전국 24개 도시에서 자동차 등록 비율에 따라 할당 추출된 자동차 소유자 4,0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차 사용 실태 및 이미지 조사 에 따르면,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12가지로 유형화하여 현재 사용 중인 자동차에서 발생한 적이 있는 문제점들을 집계한 결과 엔진 이상(22.2%), 차체 도장불량(20.3%), 브레이크 문제(19.1%), 온도조절장치(18.3%), 주행시 바람소리 발생(17.2%), 변속장치(16.4%), 잡음(16.2%), 조향장치(15.6%), 누수(12.5%), 전기장치 및 악세사리(12.0%), 내장 및 인테리어(11.9%), 차체(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사별로 보면, 현대는 엔진 이상(22.7%)과 차체 도장불량(21.3%)에서, 기아는 엔진 이상(23.8%), 브레이크 문제(21.6%), 차체 도장불량(20.8%)에서, 대우는 엔진 이상(21.0%)과 브레이크 문제(20.4%), 그리고 쌍용은 엔진 이상(23.5%)에서 20%를 넘는 지적률을 보였다.
한편, 외제차는 문제점 발생 지적률이 매우 낮아 12가지 유형 모두에서 10%를 넘지 않았다. 한편, 이번에 조사된 자동차 소유자들의 80.7%는 자신이 사용 중인 차의 품질 및 성능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응답자들의 소유 자동차 품질 및 성능 만족률을 제조사별로 나눠보면 외제(93.1%), 현대(83.4%), 쌍용(81.8%), 기아(79.0%), 대우(76.1%) 등의 순으로 집계되었고, 차급별로 나눠보면 경형(69.6%), 소형(75.7%), 준중형(82.9%), 중형(84.1%), 중대형 이상(89.8%)의 순으로 차급이 높을수록 성능 및 품질에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경우의 성능/품질 만족률(84.4%)이 수동변속기 장착 운전자의 만족률(77.8%)보다 높았다.
# 종 합
구매자의 교섭력 정도는 현재 중간수준이나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근거는 먼저 소비자의 주체의식 및 발언권이 강화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클레임 및 불만사항 제기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경우 분쟁 조정시 고객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A/S기대수준도 높아지고 있으며, 재구매 요인으로 A/S의 철저함을 최우선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어 사후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7. 산업구조 분석 요약
Five forces analysis
산업내 경쟁
- 현대를 주축으로 한 독과점 시장 형성
- Heterogeneous product
- Brand royalty의 영향을 많이 받음
- 구매자의 전환비용이 높음
⇒ 결론 : 산업 내의 경쟁 격화 가능성 높음
신규진입
진입장벽
퇴거장벽
규모의 경제
높음
특수자산
많음
제품차별화
보통
고정비
많음
교체비용
높음
전략적 관련성
높음
소요자본
높음
심리적 비용
많음
유통경로 접근
높음
⇒ 결론 : 새로운 기업의 진입은 거의 불가능. 기존기업의 인수나 합병으로 진입하는 방법.
정부정책
많음
기존 참여자의 태도
높음
정보/네트워크 관리
높음
대체제와 보완재
- 지하철 - 노선의 증가
- 택시 - 서비스 증대
- 버스 - 버스전용차선 도입으로 빠른 이동 가능
- 항공, 철도
⇒ 결론 : 유가상승, 세금 등의 이유와 함께 대체재의 위협 정도는 강한 수준
공급자 / 구매자의 교섭력
- supplier : 상방의 자동차부품시장 경쟁 치열
→ supplier power ↓
관계특화자산에 따른 Hold-up problem
→ supplier power ↓
- buyer : 철저한 A/S관리가 재구매 요인
→ buyer power ↑
첨단기술이 응용된 자동차를 선호
→ buyer power ↑
⇒ 결론 : 공급자의 힘은 약했으나 대형화를 통해서 점차 그 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구매자의 힘도 점차 강해지고 있다.
* 수익성은 진입해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보장 가능
해외마케팅 사례
1. 중국시장
(1) 환경분석
1) 거시환경
- 시장의 급성장 및 소비주도층의 빠른 변화
중국 자동차산업은 2002년 WTO가입으로 자동차 관련 규제가 완하된 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23.9% 성장해 2009년에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 및 판매국이 되었다.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음에도 중국시장은 2009년에는 전년비 46.1%, 2010년에는 32.4%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모터리제이션이 본격화된 이후 1천만 대 돌파까지 미국의 1/6수준인 7년 밖에 걸리지 않은 것은 중국 자동차시장의 빠른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도의 경제 성장에 따른 개인 소득의 급증과 중산충의 빠른 성장이 자동차 구매로 연계되었기 때문이다. 도시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998년 5.425위안에서 2008년에 약 4배인 13.579위안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신차구입이 가능한 4만 위안 이상의 상위 중산층 비중은 2005년 9.4%, 2010년 12.5%에 이어, 2015년에는 21.2%에 이를 전망이다. 상위 중산층으로의 진입이 가능한 하위 증산층도 2005년 12.6%에서 2010년 42.2%로 확대되고 있어 신차 수유저변도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 다양한 지역 시장의 공존
중국 정부는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경제 발전과 도시 정비를 진행해 광저우, 션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자동차 소개
현대자동차의 진화적 경로
현대 자동차의 국내외 마케팅 전략 분석.
현대자동차그룹의 투자현황 분석 - 고로제철소 투자 타당성 분석
현대자동차 세계를 향해 달리다.PPT자료
기아자동차분석,기아자동차재무제표분석,기아자동차마케팅전략,자동차시장
Global Top5를 향한 현대자동차
[해외홍보][해외PR][해외][홍보][PR][방송]해외홍보(해외PR)의 필요성, 해외홍보(해외PR)의 ...
인도진출, 국산차의 자존심을 건다![현대자동차]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임원, 정부 폭력성,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매각, 부도...
동유럽 시장 진출 전략 [LG전자의 폴란드 시장 진출]
현대자동차 터키 진출 사례
[현대자동차 글로벌마케팅PPT] 현대자동차 성공비결과 마케팅 SWOT,STP,4P분석및 글로벌전략...
현대.도요타.GM 자동차 사례로 본 해외직접투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