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Uterovaginal Proalpse(자궁탈출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Uterovaginal Proalpse(자궁탈출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돕고 염증회복을 빠르게 해준다.
-따뜻한 좌욕은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안위 및 치유를 증진시킨다.
-반자위 : 자궁강의 점액 농성 분비물의 배설을 촉진한다.
-만성 골반 염증성 질환 환자의 치료는 약간의 체온상승, 적혈구침강속도 증가 및 백혈구증가증 등의 활동성 감염 증상이 있다면 항생제 사용이 도움이 된다. 그렇지 않을 시에는 대증적 요법을 계속한다.

성명 : 조 나이 : 32세/F
직업 : 회사원 종교 : 기독교
체중 : 58kg 키 : 165cm
흡연 : 무 음주 : 무
주증상 : 자궁문이 열렸어요.
입원동기 : 임신 초 유산기 있다는 소리 들었음. 금일 팬티에 묻은 정도의 하혈 있어어 정우산부인과 내원 후 자궁문 열렸다 하여 크 병원 가보라고 해서 옴.ㅣ
산과력 : 2-0-1-2
LMP : 모름 EDC : 2008년 5월27일
수술경력 : 무
입원경력 : 무
가족력 : 부-무, 모-무
★경관 무력증(Incompetent Cervix)
⇒경관 무력증은 선천적 혹은 외상으로 경관이 악화되었기 때문에 태아를 반복하여 잃어버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습관성 유산이나 조산의 원인이 됨
1)원인
①외상성인 경우 : 과거분만시 받은 경관열상이나 자궁경부의 외상 즉, 소파술, 원 추조직 절제술, 전기소작법 등으로 발생.
②선천적인 경우 : 경관의 길이가 짧거나, 자궁의 기형과 함께 나타남.
③diethylstibestrol(DES)에 노출되어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되었을 때.
→임신이 진행될수록 커지는 태아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경관 열림.
2)증상과 진단
①경관무력증은 과거력이 중요하며 대부분 임신 중기 이후에 무통성 자궁 경관 개 대가 있으면서 양막파열과 함께 조산됨.
②배출된 태아는 대부분 생존력을 갖지 못함.
③검사방법 : 자궁조영술, 팽창된 풍선도관의 견인법 내 자궁구에 경관확장기가 저 항없이 통과하는지 알아보는 검사법.
3)의학적 관리 및 간호관리
→외과적 치료로 태아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①외상성 경관 무력증 : 라쉬법(내 자궁경 봉합술, internal tracheorrhaphy)
②비외사성 경관 무력증 : 반복적 유산 있을 시 경관의 이완, 개대 예방 위해 봉합 술(세클라주)을 시도함.(쉬로드카술, 맥도날드술)
③출혈이 있거나, 자궁수축, 양수파막 경우엔 수술을 할 수없음.
④태아 & 임부의 내분비계가 정상이고 양막이 그대로 있고 3cm이내의 경관개대 시 가능.
⑤교정시기 : 임신 14주 경, 봉합사는 38주 이후에 제거.
쉬로드 카술
-자궁경부 전후면 점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자궁내구 쪽으로 박리한 후 봉합사가 자궁경부 점막내로 통과하여 경부를 돌려 묶으므로 봉합사가 질 내로 노출되지 않는다.
맥도날드 술
-봉합사가 자궁경부 모퉁이 네 곳을 봉합하면서 통과하여 자궁경부를 돌려 묶 는다.
-네 군대의 봉합사가 질 내로 노출된다.
-막삭이 가깝거나 조기진통, 파수가 되면 물어주어 분만한다.
변형 쉬로드 카술
-맥도날드 술 또는 변형된 쉬로드카술이 기존 쉬로드카술에 비해 경부손상 및 출혈이 적으며 성공률은 85~90%이다.
-봉합사가 자궁경부 전면에서는 점막내를 통과하여 후면에서는 질 내로 노출된 다.
4)수술 후 주의할 점
①난막이 파열되면 감염의 위험을 막기위해 즉시 끈을 제거하고 수정물의 완전 배 출 도모.
②자궁수축있을 때는 즉시 침상안정을 취하게 하고 자궁수축억제제를 주어 자궁을 이완시킴
case환자가 없습니다.
★임신오조증
⇒경한 구토증은 임신시 흔한 증상으로 임신초반기에 대부분 나타나고 일반적 탈수, 전해질 불균형, 영양결핍, 체중저하 등이 초래되며 이런 증상이 심할 때를 병리적인 영향의 결과로 임신오조증이라 한다.
1)원인
임신오조증의 실질적인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①융모성선자극 호르몬 증가에 의해 에스트로겐의 분비 증가
②갑상선기는 항진증으로 내분비 불균형이 초래되고 신진대사의 변화, 융모막 융 모의 일부가 모체순환에 포함.
③위의 운동 저하.
④신체 변화,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한 양가감정.
2)증상
①증상은 일반적으로 6-12주 사이에 입덧이 있으며 심한 경우 일주일이상 구토증 이 계속될 수도 있고 혹은 임신 4주나 8주 동안에 간헐적으로 나타나기도 함.
②탈수 & 기아상태.
③탈수로 인해 소변량이 줄고 피부가 건조하고 입안은 마르고 혀에는 백태가 낌.
④입 가장자리는 빨갛게 헐어있으며 입술은 갈라짐.
⑤입에서는 과산증 냄새가 나며, 치료되지 않으면 저혈압에 따른 혈액량 감소증 초래.
⑥기아로 인해 체중이 2~14kg까지 현저히 감소.
⑦혈액과 소변내에 acetone과 deacetic acid가 증가.
⑧음식, 수분결핍으로 변비발생, 맥박은 빠르고 불규칙.
⑨비타민 결핍, 심한 경우 비타민 B1결핍.
⑩대발성 신경염 : 말추신경장애.
3)간호중재
①탈수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양의 수분공급을 하며(3000ml/day) 기아상태의 치 료를 위해 5~10% 포도당 용액을 정맥으로 주입하고 thiamine을 피하로 투여.
②필요하면 위관영양과 완전 정맥영양으로 고칼로리, 고비타민이 포함된 액체로 된 음식을 제공하고 항구토제 사용으로 구토를 멈추게 한다.
③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phenergan 10~30mg/day, chlorpromazine
10~25mg을 4~6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④입원시 promethazine(phenergan) 10~25mg을 하루에 6~6회 IV.
⑤지속적인 체중 저하 & ketosis가 나타날때는 위관영양, 완전정맥영양을 주고 구 토가 완화되면 포타슘, 비타민 첨가.
⑥섭취량, 배설량 주의깊게 관찰.
⑦미음과 마른음식 제공 후 잘 적응하면 서서히 유동식과 정상식이를 제공.
⑧증상이 호전되면 크레커나 토스트 등의 적은 음식을 물과 함께 제공.
⑨고형식이를 준비한 후 환자가 음식에 관심을 갖도록 함.
⑩구토증을 일으키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유해한 냄새를 감소시키기 위해 병실에는 방취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4)예후
중증 임신오조증일 경우는 입원하여 치료하지만 심한 경우는 드물며 수분공급을 충분히 하고 전해질 균형을 맞춘다면 쉽게 회복될 수 있다.
self study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5.04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