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와 이미지메이킹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너와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와 매너
 1) 동양문화
  ① 중국문화
  ② 일본문화
 2) 서양문화
  ① 영국문화
  ② 미국문화

2. 이미지 연출
 1) 첫인상
 2) 표정
 3) 용모복장
 4) 액세서리

3. 비즈니스 매너
 1) 덴마크
 2) 영국
 3) 일본
 4) 사우디아라비아
 5) 미국

4. 커뮤니케이션
 1) 대화 예절
 2) 전화 매너

5. 테이블 매너
 1) 한식
 2) 일식
 3) 중식
 4) 서양식

6. 공공 사교 매너
 1) 경조사
 2) 여행
 3) 초대/방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과를 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 영국 : 용건에 대해서 정리를 해서 말을 전해야 하며, 급하게 빠르게 전달하거나 또는 애매모호하게 얘기를 하면 안 된다. 그리고 화를 내서도 절대 안 된다.
- 미국 : 통화 시에도 미리 얘기를 해주는 것이 좋고, 전달할 사항을 돌리지 말고 직접적으로 그 내용을 얘기를 해서 해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테이블 매너
1) 한식
- 좌석의 위치는 어른이나 손님이 상석을 앉는 것이 원칙인데 이 때 출입문에서 가장 떨어진 안쪽이 상석임을 주의해야 한다. 좌석인 경우에 방석이 꼭 필요하며 먼저 무릎으로 앉아서 조정을 하고 손님에게 방석을 줄 때는 두 손으로 살포시 밀어서 준다. 그리고 앉을 때는 모서리는 되도록 피해서 앉아야하며 테이블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앉는다. 앉은 자세는 척추를 펴서 반듯한 자세로 앉아야 하며, 이 때 고개를 너무 숙이면 안 된다. 이는 그릇에 얼굴이 가까울수록 실례되는 행동이니 삼가야 한다. 그리고 한식을 먹을 때는 웃어른이 먼저 드신 다음에 그 아랫사람들이 식사를 시작해야 하며, 식사의 속도는 여러 사람과 보조를 맞추어 먹는 것이 좋다. 어른보다도 먼저 식사가 끝났을 때는 수저를 국그릇에 걸쳐서 놓았다가 어른이 식사가 끝났을 때 수저를 내려놓고, 웃어른이 일어서면 같이 일어서야 한다. 식기를 사용할 때는 숟가락, 젓가락을 한 손에 같이 사용하면 안 되며, 국이나 밥은 숟가락을 사용해서 먹어야 하며, 숟가락을 빠는 행동은 안 된다. 그리고 음식을 먹을 때는 자기 기호에 맞는 것만을 골라먹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니 조심해야 하고, 국그릇을 들고서 마시는 행위 역시 예의에 어긋난다. 한식은 식사 중에 원칙적으로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이 예의이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는 가벼운 담소 정도는 괜찮다. 전문적이어서 어렵거나 불쾌한 이야기 등의 화제는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손님을 초대를 했을 경우에는 그 초대한 주인의 경우 식사 중에서 자리를 떠나지 않아야 하며, 미리 준비를 완전히 해놓거나 시중을 드는 사람이 있을 경우 시중드는 사람이 모든 것을 한다. 식사가 완전히 끝난 이후에는 트림이나 양치질, 이쑤시개 사용, 화장 등의 행동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기 쉬우므로 모르게 해결을 하는 것이 좋다.
2) 일식
- 한식과 비슷할 것 같으면서도 많이 다른 일식은 시각적인 면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며, 요리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기물, 담아내는 법에 상상한 정성을 기울인다. ‘접시의 수를 보고 배를 반쯤 채워라’는 속담이 있듯이 양보다 장식적이고 시각적 인게 많다. 자석의 위치의 경우 문의 반대쪽 안쪽이 상석이고 주빈이 상석에 앉아야 하며 주빈을 중심으로 윗사람이 좌우에 앉으며 주인은 주빈의 반대쪽, 문 쪽에 앉아야 하며, 앉을 때는 주빈이 앉기 전에 다른 사람이 먼저 앉아야 하며, 일어설 때는 주빈이 먼저 일어서며, 웃어른들이 일어 선 뒤에 따라서 일어나는 것이 예의이지만, 부득이한 경우는 예외의 경우도 있다. 일식의 경우에는 개인접시가 존재를 하는데 그릇에 뚜껑이 덮혀 있는 것은 큰 것의 위에 작은 것을 겹쳐서 상의 오른쪽 밑에 놓는다. 일본의 음식은 조금씩 담겨져 나오기에 자기 먹을 양 만큼만 덜어서 먹어야 한다. 그리고 일식의 경우에는 젓가락을 많이 사용하며 주로 대나무로 제작이 된 젓가락을 사용하며, 가정에서 젓가락은 검정색은 아버지, 빨간색은 어머니, 이와 같이 딱 정해서 개인 젓가락을 사용한다. 손님을 대접을 할 경우에는 보통 일회용 젓가락을 준다. 젓가락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받침대의 위에 가지런히 올려놓으며 사용을 할 경우 두 손을 이용해서 길이를 맞추어 사용해야 하며 식사 도중에 젓가락을 내려 놓을 경우 받침대 올려 놓아야 한다. 젓가락은 한식과 달리 가로로 놓는다. 식사를 할 때는 국물을 흘리면서 입으로 가져가거나 젓가락을 이쑤시개 대용을 사용하거나 젓가락으로 요리를 찔러서 먹거나 요리를 옮기거나 하면 안 되며 그릇을 입에 대고 젓가락으로 요리를 집어서는 안 되며, 그릇 윙 젓가락을 올려놓아도 안 된다. 일식의 경우는 튀김이나 생선요리가 비중이 많은데 회를 먹을 때는 작은 접시를 손에 들고 간장이 떨어지지 않게 입으로 가져가야 한다. 튀김의 경우는 찍어먹는 국물이 존재하여 상위에 놓고 먹어도 되고, 찍은 국물이 떨어지지 않게 손으로 받쳐서 먹어도 된다.
3) 중식
- 중식의 경우 식탁이 원형이며 중심은 한 층이 높은 부분으로써 회전식으로 되어 그곳에는 요리와 조미료를 놓아서 각자가 먹을 만큼 덜어서 먹게 되는데 먼저 주빈이 자기의 접시에 덜고 나서 옆 사람에게 권하여야 하고, 주빈이 떠 주는 것이 중식에서는 정의 표현방법이라고 한다. 요리를 덜 때는 다 먹고 난 뒤 몇 번이고 계속 덜어서 먹어도 된다. 이 때 자기가 사용을 한 젓가락으로 음식을 덜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각자 덜어 놓은 음식은 깨끗하게 다 먹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을 먹기 위해 앉는 것은 입구에서 가장 먼 쪽이 상석이고 주빈 석은 오른쪽이 상석이다. 주인은 입구의 가까이에서 주빈을 마주 보고 앉는다. 식탁에서는 한 사람 씩의 식기가 놓여 지게 되며 접시의 우측 옆에 세로로 받침대 위에 놓는 것이 원칙이다. 중국요리는 짝수로 나오게 되고, 음식은 여러 명이 먹을 수 있는 양만큼 한 그릇에 담겨 나오기 때문에 테이블을 돌려서 먹게 되며, 이 때 적당하게 떠서 먹는 것이 중요하며 찬 것부터 더운 것으로 순서대로 먹어야 한다. 뜨거운 음식은 그 음식이 식기 전에 먹는 것이 예의다. 뼈가 들어가 있는 음식의 경우 한 입에 들어가게 만들기 때문에 음식을 전부 넣은 다음 뼈나 껍질의 경우 손으로 갈려서 젓가락을 집어 접시에 놓아야 하며, 접시에 직접 뱉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위이다. 생선이나 고기요리가 통째로 나오면 접대하는 사람이 나누어 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요리가 부스러지지 않도록 조심이 덜어야 한다. 그리고 덜어먹을 때 두, 세 가지의 요리를 덜어서 먹어도 되고, 그 양은 소량으로 한다. 그리고 냅킨의 경우 뜨거운 물수건을 내는 것이 관습이다. 그리고 주요요리의 식사가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5.0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4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