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목차
1. 항공업종 현황 및 전망
1) 우리나라 공항시설 및 운영 현황
2) 공항 건설 및 운영 계획
3) 한국공항공사
4) 인천국제공항공사
5) 최근 이슈(동향)
-영남권 밀양
2)싱가포르 창이공항
각 터미널의 개시일
▶창이공항 개관
▶기업 소개
▶주요연혁
▶총 연혁
▶기업 비전
▶주요 활동
▶수송 실적
▶자회사와 투자 현황
▶자산 현황
▶창이공항의 화물 노선 현황
▶공항 개발
- 해외사업 현황
1. CAG(Changi Airport Group)
▶해외사업 추진현황
▶공항투자 프로젝트(Airport Investment Projects) - Nanjing Lukou 국제공항
▶합작 파트너십 및 투자(Joint Partnership & Investments)
▶공항운영 관리(Airport Operations Management)
▶해외사업 추진 전담조직 : Changi Airports International
▶최근이슈
1. 저가 항공에 관한 투자.
2. 공항 에너지 절약에 관심 증가
3)인천국제공항
1. 연혁
2. 경영목표
3. 인력현황
4. 경영성과
5. 매출현황(10년간)
Ⅱ. 최근이슈
1)허브경쟁력 강화
2)미래 성장기반 구축
3)안전 및 운영효율 제고
4)경영시스템 선진화
Ⅲ. 주요경영전략
Ⅳ. 기업경쟁력
Ⅴ. 중장기 전략
1. 중장기 전망
2.성장목표 및 비전
3.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노력
Ⅵ. 기타
1. 인천국제공항의 공항-항만간 연계수송체계의 확립 필요
2. 인천국제공항의 MRO 사업 도입 필요
4)뮌헨국제공항
1.주요현황
2. 연혁
3. 기업구조
4. 매출현황
5. 주요경영전략
6. 기업의 경쟁력
7. 문제점
2.뮌헨국제공항 관련 기사.
기사1 ~ 5
5)간사이 국제공항 [關西國際空港,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1. 기본사항
2. 역사 및 연혁
3. 조직현황
4. 기타 세부 현황
5. 허브공항론과 그 전략의 역사
6. 문제점 및 이슈
7. 극복방안
8. 결론
6) 두바이 국제공항 (DXB)
1. 기본사항
2) 연혁
3) 경영목표
4) 조직현황
5) 시설 및 수송현황
6) 최근이슈
7) 주요실적
1) 우리나라 공항시설 및 운영 현황
2) 공항 건설 및 운영 계획
3) 한국공항공사
4) 인천국제공항공사
5) 최근 이슈(동향)
-영남권 밀양
2)싱가포르 창이공항
각 터미널의 개시일
▶창이공항 개관
▶기업 소개
▶주요연혁
▶총 연혁
▶기업 비전
▶주요 활동
▶수송 실적
▶자회사와 투자 현황
▶자산 현황
▶창이공항의 화물 노선 현황
▶공항 개발
- 해외사업 현황
1. CAG(Changi Airport Group)
▶해외사업 추진현황
▶공항투자 프로젝트(Airport Investment Projects) - Nanjing Lukou 국제공항
▶합작 파트너십 및 투자(Joint Partnership & Investments)
▶공항운영 관리(Airport Operations Management)
▶해외사업 추진 전담조직 : Changi Airports International
▶최근이슈
1. 저가 항공에 관한 투자.
2. 공항 에너지 절약에 관심 증가
3)인천국제공항
1. 연혁
2. 경영목표
3. 인력현황
4. 경영성과
5. 매출현황(10년간)
Ⅱ. 최근이슈
1)허브경쟁력 강화
2)미래 성장기반 구축
3)안전 및 운영효율 제고
4)경영시스템 선진화
Ⅲ. 주요경영전략
Ⅳ. 기업경쟁력
Ⅴ. 중장기 전략
1. 중장기 전망
2.성장목표 및 비전
3.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노력
Ⅵ. 기타
1. 인천국제공항의 공항-항만간 연계수송체계의 확립 필요
2. 인천국제공항의 MRO 사업 도입 필요
4)뮌헨국제공항
1.주요현황
2. 연혁
3. 기업구조
4. 매출현황
5. 주요경영전략
6. 기업의 경쟁력
7. 문제점
2.뮌헨국제공항 관련 기사.
기사1 ~ 5
5)간사이 국제공항 [關西國際空港,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1. 기본사항
2. 역사 및 연혁
3. 조직현황
4. 기타 세부 현황
5. 허브공항론과 그 전략의 역사
6. 문제점 및 이슈
7. 극복방안
8. 결론
6) 두바이 국제공항 (DXB)
1. 기본사항
2) 연혁
3) 경영목표
4) 조직현황
5) 시설 및 수송현황
6) 최근이슈
7) 주요실적
본문내용
.8%감소한 28,549,770명을 기록했습니다.2010년 여객실적은 전년대비 17% 증가한 33,478,925명을 기록했습니다. 해외여행심리 회복과 단거리 노선 위주의 내국인 수요 증가, G20 서울 정상회의, 상해 EXPO 등 세계적인 이벤트가 맞물려 아시아 주요 경쟁공항 중 전년대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항공화물
2008년 화물실적은 전년대비 5.2% 감소한 2,423,717톤을 기록했습니다. 상반기에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하반기에 들어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북미, 유럽 등 선진국 항공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며 아시아 지역 생산화물이 급감하여 전체적인 물동량은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환적물량 또한 전년대비 6.8% 감소한 119만 톤을 기록하였으나 환적률은 49.2%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2009년 항공화물은 경기침체 영향으로 상반기까지 감소세를 지속하였으나 하반기부터 IT 및 금속 업종을 중심으로 중국, 미국, 일본 등으로 수출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4.6% 감소한 2,313,001톤을 기록했습니다. 2010년 화물실적은 반도체, 액정디바이스 등 주요 항공수출품목의 수요 증가와 신규 화물항공사 유치 및 노선 증편으로 전년대비 16% 증가한 2,684,499톤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5. 매출현황(10년간)
매출현황은 먼저 표로 2004~2010년까지의 매출액, 당기순이익을 표시하였으며, 그 뒤 208년부터 2010년까지의 구체적인 매출현황을 설명하였습니다.
단위 : 억 원
매출액
당기순이익
2004
7,051
1,495
2005
7,925
1,239
2006
8,753
1,451
2007
9,714
2,071
2008
10,727
1,534
2009
11,866
2,668
2010
12,860
3,242
▶2008년 - 매출 1조원 돌파, 5년 연속 흑자경영 실현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항공수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재무 개선 노력을 기울인 결과, 2008년 매출액 1조원 돌파, 당기순이익 1,534억 원을 기록하며 5년 연속 흑자경영을 실현했습니다. 2008년도에는 3조 원이 소요된 2단계 건설사업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을 낮추고 재무안전성을 강화했습니다.
▶2009년 - 매출 1조 1,866억 원 기록, 6년 연속 흑자경영 달성
2008년도때와 같이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항공수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비항공수익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1조 1,866억 원, 당기순이익은 2,688억 원을 기록하며 6년 연속 흑자경영을 실현, 위기 상황 속에서도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3조원이 소요된 2단계 시설 건설 및 운영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을 85%로 낮추며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했습니다.
▶2010년 - 매출 1조 2,860억 원 기록, 7년 연속 2천억대 흑자경영 달성
경기회복에 따른 항공수익 증가에 힘입어 개항 이래 최대의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8.4% 증가한 1조 2,860억 원, 당기순이익은 22% 증가한 3,242억 원으로 7년 연속 흑자의 내실있는 경영성과를 시현했습니다. 또한, 개항 당시 166%에 이르던 부채비율을 69%로 대폭 낮추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보했습니다.
Ⅱ. 최근이슈
2010-2011년 최근 경영이슈를 설명한 후 가장 최근 이슈(2012년 3월)를 설명하겠습니다.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브 경쟁력 강화, 미래 성장기반 구축, 안전 및 운영효율 제고, 경영시스템 선진화입니다.
1)허브경쟁력 강화
▶이용 여객 및 항공화를 역대 최고 실적 기록
글로벌 경기회복, G20 서울 정상회의 개최 등의 호재 속에 항공노선망을 확충하고 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적극 전개한 결과, 2010년 여객 3,348만 명, 화물 268만 톤이라는 개항이래 최고 실적을 시현했습니다.
▶카타르·터키 항공 화물기 신규취항으로 신흥시장 화물 네트워크 강화
투입 기종은 90ton의 화물 탑재가 가능한 B777F로, 매주 월, 목에 인천과 카타르 항공의 허브인 도하 구간을 운항하게 됩니다. 특히 도하를 경유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인 요하네스버그까지 동일 편으로 서비스가 가능해 그간 공급이 부족했던 아프리카 지역의 공급을 충족시켜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앞서 지난 26일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 네트워크를 보유한 터키항공이 최대 65톤의 화물 탑재가 가능한 A330F 화물기로 인천-이스탄불 구간에 주 1회 신규 취항함에 따라 그간 공급 부족을 겪고 있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화물 네트워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천공항공사 최홍열 영업본부장은“두 항공사의 신규 취항으로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 연간 25,000톤 가량의 신규 화물 공급이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항공화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아프리카, 남미 등 신흥 시장 발굴 및 의약품, 수산물 등 신성장 항공화물 품목 유치를 위해 인천공항을 기반으로 하는 항공사 및 물류기업과의 공동 수요 조사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시아 루트회의의 성공적인 개최
2011년 3월 항공노선 개발 분야 세계 최대 국제회의인 아시아 루트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 각국 공항당국 및 항공사와의 네트워크를 보다 강화하며 탄탄한 항공사 유치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차별화된 환승시스템과 최신 IT 및 문화예술공항의 이미지를 전세계에 부각시켰습니다.
▶초일류 메가허브 공항을 위한 3단계 확장
세계 각국의 공항들은 파급효과가 큰 허브공항 전략을 바탕으로 항공수요 선점을 위해 공항인프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은 동북아 항공시장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가기 위해 3단계 확장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5년까지 약 4조원이 투입되는 3단계 공항건설은 제2여객터미널 신설, 화물터미널 확장, 항공기 계류장 확충을 주요 골자로 접근교통시설 확충, 공항 배후물류단지 2단계 조성을 포함하는 대규모 확장사업입니다.
3단계 확장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여객처리느
▶항공화물
2008년 화물실적은 전년대비 5.2% 감소한 2,423,717톤을 기록했습니다. 상반기에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하반기에 들어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북미, 유럽 등 선진국 항공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며 아시아 지역 생산화물이 급감하여 전체적인 물동량은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환적물량 또한 전년대비 6.8% 감소한 119만 톤을 기록하였으나 환적률은 49.2%로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2009년 항공화물은 경기침체 영향으로 상반기까지 감소세를 지속하였으나 하반기부터 IT 및 금속 업종을 중심으로 중국, 미국, 일본 등으로 수출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4.6% 감소한 2,313,001톤을 기록했습니다. 2010년 화물실적은 반도체, 액정디바이스 등 주요 항공수출품목의 수요 증가와 신규 화물항공사 유치 및 노선 증편으로 전년대비 16% 증가한 2,684,499톤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5. 매출현황(10년간)
매출현황은 먼저 표로 2004~2010년까지의 매출액, 당기순이익을 표시하였으며, 그 뒤 208년부터 2010년까지의 구체적인 매출현황을 설명하였습니다.
단위 : 억 원
매출액
당기순이익
2004
7,051
1,495
2005
7,925
1,239
2006
8,753
1,451
2007
9,714
2,071
2008
10,727
1,534
2009
11,866
2,668
2010
12,860
3,242
▶2008년 - 매출 1조원 돌파, 5년 연속 흑자경영 실현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항공수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재무 개선 노력을 기울인 결과, 2008년 매출액 1조원 돌파, 당기순이익 1,534억 원을 기록하며 5년 연속 흑자경영을 실현했습니다. 2008년도에는 3조 원이 소요된 2단계 건설사업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을 낮추고 재무안전성을 강화했습니다.
▶2009년 - 매출 1조 1,866억 원 기록, 6년 연속 흑자경영 달성
2008년도때와 같이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항공수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비항공수익 증가에 힘입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1조 1,866억 원, 당기순이익은 2,688억 원을 기록하며 6년 연속 흑자경영을 실현, 위기 상황 속에서도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3조원이 소요된 2단계 시설 건설 및 운영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을 85%로 낮추며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했습니다.
▶2010년 - 매출 1조 2,860억 원 기록, 7년 연속 2천억대 흑자경영 달성
경기회복에 따른 항공수익 증가에 힘입어 개항 이래 최대의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8.4% 증가한 1조 2,860억 원, 당기순이익은 22% 증가한 3,242억 원으로 7년 연속 흑자의 내실있는 경영성과를 시현했습니다. 또한, 개항 당시 166%에 이르던 부채비율을 69%로 대폭 낮추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확보했습니다.
Ⅱ. 최근이슈
2010-2011년 최근 경영이슈를 설명한 후 가장 최근 이슈(2012년 3월)를 설명하겠습니다.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브 경쟁력 강화, 미래 성장기반 구축, 안전 및 운영효율 제고, 경영시스템 선진화입니다.
1)허브경쟁력 강화
▶이용 여객 및 항공화를 역대 최고 실적 기록
글로벌 경기회복, G20 서울 정상회의 개최 등의 호재 속에 항공노선망을 확충하고 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적극 전개한 결과, 2010년 여객 3,348만 명, 화물 268만 톤이라는 개항이래 최고 실적을 시현했습니다.
▶카타르·터키 항공 화물기 신규취항으로 신흥시장 화물 네트워크 강화
투입 기종은 90ton의 화물 탑재가 가능한 B777F로, 매주 월, 목에 인천과 카타르 항공의 허브인 도하 구간을 운항하게 됩니다. 특히 도하를 경유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인 요하네스버그까지 동일 편으로 서비스가 가능해 그간 공급이 부족했던 아프리카 지역의 공급을 충족시켜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앞서 지난 26일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 네트워크를 보유한 터키항공이 최대 65톤의 화물 탑재가 가능한 A330F 화물기로 인천-이스탄불 구간에 주 1회 신규 취항함에 따라 그간 공급 부족을 겪고 있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화물 네트워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천공항공사 최홍열 영업본부장은“두 항공사의 신규 취항으로 중동 및 중앙아시아 지역에 연간 25,000톤 가량의 신규 화물 공급이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항공화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아프리카, 남미 등 신흥 시장 발굴 및 의약품, 수산물 등 신성장 항공화물 품목 유치를 위해 인천공항을 기반으로 하는 항공사 및 물류기업과의 공동 수요 조사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시아 루트회의의 성공적인 개최
2011년 3월 항공노선 개발 분야 세계 최대 국제회의인 아시아 루트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 각국 공항당국 및 항공사와의 네트워크를 보다 강화하며 탄탄한 항공사 유치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차별화된 환승시스템과 최신 IT 및 문화예술공항의 이미지를 전세계에 부각시켰습니다.
▶초일류 메가허브 공항을 위한 3단계 확장
세계 각국의 공항들은 파급효과가 큰 허브공항 전략을 바탕으로 항공수요 선점을 위해 공항인프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인천국제공항은 동북아 항공시장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가기 위해 3단계 확장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5년까지 약 4조원이 투입되는 3단계 공항건설은 제2여객터미널 신설, 화물터미널 확장, 항공기 계류장 확충을 주요 골자로 접근교통시설 확충, 공항 배후물류단지 2단계 조성을 포함하는 대규모 확장사업입니다.
3단계 확장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여객처리느
추천자료
포스코 더샾 주상복합 분양성공요인 & 송도국제도시의 성과와 과제
환경영향평가와 국제환경협약
[항공화물운송][항공화물]항공화물운송의 개념, 항공화물운송의 판매, 외국의 항공화물운송 ...
[항공화물운송사업]항공화물운송산업 중요성, 항공화물운송산업 특성, 세계 항공화물운송산업...
인천 공항 화물운송 실태
송도국제도시 개발계획
[동북아][동북아시아]동북아(동북아시아) 경제중심정책, 동북아(동북아시아) 경제중심국가, ...
[국제항공운송] 물류정보 (항공운송절차,항공화물 보험,국제 민간 항공 기구,종합정보물류망,...
부산항과 로테르담항 비교 분석
[실용한문] 인천선 공항선 분당선
[물류조사방법론] AHP기법을 이용한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연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과 ...
항공서비스경영론 - 에어차이나 (Air China / 중국국제항공공사).pptx
국제복합운송
인천공항 베이징공항 창이공항 첵랍콕공항
소개글